AIoT 국제전시회 2025가 지난 26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며 다양한 산업군에 걸쳐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AIoT 기술의 최신 흐름을 집약적으로 보여줬다. AI·IoT 융합 기술을 중심으로 국내외 기업들이 대거 참여해 스마트 제조, 도시 인프라, 모빌리티, 에너지, 통신, 산업 안전 등 분야별 최신 솔루션을 선보였으며, 지능형 센서·엣지 AI 디바이스·무선 통신 칩셋·AI 분석 플랫폼·클라우드 운영 시스템 등 차세대 초연결 생태계를 구성하는 핵심 기술이 집중 전시됐다. [노르딕 세미컨덕터] 초저전력 무선 플랫폼으로 AIoT 시대의 연결성을 재정의하다 저전력 무선 기술의 글로벌 리더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AIoT 코리아 2025에서 차세대 초연결 시대를 겨냥한 다양한 무선 솔루션을 선보이며 기술 리더십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노르딕은 블루투스 LE, 채널 사운딩(Channel Sounding), 매터(Matter), LTE, Wi-Fi 등 AIoT 생태계 핵심 프로토콜을 아우르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하드웨어–소프트웨어–클라우드 플랫폼까지 확장된 무선 플랫폼 전략을 전개했다. 특히 nRF54L 시리즈 데모는 이전 세대 대비 크게 향상된
헬로티 서재창 기자 | SK텔레콤(이하 SKT)이 지난 20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AIoT 국제 전시회에 참가해 IoT와 AI가 접목된 다양한 응용 솔루션을 선보였다. '사람을 잇는 DNA(Data, Network, AI) 기술'을 슬로건으로 내세운 SKT는 부스 전면에서 1인 가구 안부살핌 서비스, C-ITS(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스마트지킴이2, SKT에너지 솔루션 등을 소개했다. 1인 가구 안부살핌 서비스는 가정 내 전력 사용 패턴을 AI 기반 솔루션으로 분석한 뒤, 시간대별 통화 수발신 및 문자 발신, 모바일 데이터 사용 여부, 외출 여부 등의 통신 데이터와 결합해 이상 상황이 감지되면 복지담당자에게 알림이 전달되는 시스템이다. 이 서비스는 스마트 밴드 같은 추가 기기가 필요없어 운영 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자에게 생활방식의 변경을 수반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사용자가 일정한 행동을 반복하지 않아도 되기에 생활 간섭 우려도 적으며, 수도, 가스 등 다른 생활 데이터와 연계해 서비스를 확장하기에도 용이하다. C-ITS도 SKT가 주목하는 사업 중 하나다. C-ITS는 차량과 보행자, 교
헬로티 서재창 기자 | AIoT 국제 전시회(AIoT Korea Exhibition 2021)가 10월 20일(수)부터 22일(금)까지 총 3일간 코엑츠 C홀에서 개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지능형사물인터넷협회와 K FAIRS가 주관한 이번 전시회는 올해로 8회째를 맞으며 지난해 코로나19로 취소되면서 2년만에 열리게 됐다. 전시회 주제는 '지능형 사물인터넷, 삶과 미래를 잇다'였다. IoT 기술에 AI가 접목된 지능형 사물인터넷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사람의 안전과 편의를 돕거나 제조 공정을 개선하는 등 삶의 질을 개선하고 있다. 이에 전시회에서는 IoT 디바이스 및 플랫폼부터 AIoT 지능형 서비스 및 솔루션까지 일상 곳곳에 파고든 AIoT 기술을 소개했다. 여기에 대표 미래 산업으로 각광받는 메타버스 솔루션도 전시됐다. 특히 AIoT 지능형 서비스 및 솔루션은 도시·안전, 헬스·의료, 홈·가전·오피스, 에너지, 제조, 환경, 자동차·교통, 유통·물류·소매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편의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핵심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SK텔레콤(이하 SKT)은 IoT와 AI가 결합된 기술로 다양한 영역에 활용되는 솔루션을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