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돌이 이스트소프트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한 콘텐츠 제작 사업 확대에 나선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산돌의 구독형 폰트 플랫폼 ‘산돌구름’과 이스트소프트의 AI 기반 영상 더빙 서비스 ‘페르소닷에이아이(PERSO.ai)’를 연동한다. 사용자는 산돌구름 플랫폼 내에서 별도의 외부 툴 없이 다국어 영상 더빙과 자막 제작, 전문 폰트 활용을 원스톱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페르소닷에이아이는 텍스트 입력만으로 110개 언어의 음성과 AI 휴먼이 포함된 영상을 자동 생성하는 SaaS 기반 서비스다. 숏폼 콘텐츠, 교육용 영상, 기업 홍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현재 전체 이용자의 80%가 해외 사용자인 만큼 글로벌 수요도 빠르게 증가 중이다. 산돌은 이 같은 서비스 통합을 통해 콘텐츠 제작의 전 과정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수행할 수 있는 ‘AI 기반 콘텐츠 제작 허브’로서 산돌구름을 고도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LG CNS와의 협력을 통해 AI 이미지 생성 웹에디터를 플랫폼에 추가하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이 기능은 간단한 단어 입력만으로 고품질 이미지를 생성해주며, 콘텐츠 제작 경험이 없는 사용자도 쉽게 접근할 수
별도 촬영이나 출연자 없이 고퀄리티 영상을 제작하도록 설계돼 기업용 콘텐츠 제작 환경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생성형 AI 기술이 촬영 없는 고품질 영상 제작을 가능케 하며,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방식도 새롭게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브이캣이 선보인 ‘크리젠 랩(CREAGEN LAB)’이 주목받고 있다. 브이캣은 많은 기업들이 AI 기술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실제 콘텐츠 제작 현장에서는 여전히 AI 도입과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에 착안해 ‘크리젠 랩’을 기획했다. 이 서비스는 기업이 직접 AI 기반 영상 제작 전 과정을 체험하면서 자사에 맞는 콘텐츠 전략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핵심이다. 크리젠 랩은 브이캣의 생성형 AI 솔루션 ‘크리젠(CREAGEN)’을 기반으로 한다. 이 기술은 영상 편집 전문가의 노하우를 결합해 별도의 촬영이나 출연자 없이도 고퀄리티 영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AI로 구현된 이미지와 장면은 실제 촬영을 대체하며, 브랜드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극대화한다. 실제 사례도 다양하다. 한 치킨 브랜드는 50년 전통을 강조하기 위해 1980년대 매장을 AI로 재현했고, 한 헤어케어 브랜드는 ‘건조한 사막에서도 윤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