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임근난 기자 | 필츠가 가드 락킹을 포함한 기계식 안전 게이트 시스템 ‘PSENmech’와 조합된 새 안전 볼트 PSENbolt 버전을 출시했다. 필츠의 새 안전 볼트 PSENbolt 버전은 가드 락킹을 포함한 기계 안전 게이트 시스템 PSENmech와 조합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표준 버전과 키 포함 버전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PSENbolt 버전은 기계식 볼트, 핸들 그리고 유연한 새 안전 스위치로 구성돼 있으며, 이는 사람과 공정을 보호할 수 있는 더욱 유연하고 비용 효율적인 안전 게이트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표준 버전과 키가 통합된 버전이 있으며, 그중 일부에 이스케이프 릴리즈를 추가할 수도 있다. 키 통합 버전을 사용하면, 유지보수 등의 목적으로 누군가 플랜트에 접근해야 하는 경우 볼트를 열림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다른 어느 누구도 외부에서 게이트를 닫을 수 없으며 기계를 재시작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기계가 의도치 않게 시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키 통합 버전은 플랜트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한다. 안전성 극대화를 통한 효율 향상 가드 락킹을 포함한 안전 게이트 시스템 PSENmech와 조합한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오히너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다기능 게이트박스, 안전 스위치, 라이트 그리드 및 라이트 커튼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다기능 게이트박스 MGB의 업그레이드 모델인 MGB2는 4차 산업에 맞게 통신기능을 사용하여 다수의 도어를 효과적으로 잠금처리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설치 시 다수의 도어에 설치를 해도 쉽게 배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버튼구성에 대해 설치 및 변경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키고자 모듈식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희망에 맞게 쉽고 빠르게 도입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공장 내 안전시스템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오히너코리아가 선보인 안전 스위치는 △가드 잠금 기능 탑재 트랜스폰더 코딩형 안전 스위치 △자기 코딩형 안전 스위치 △가드 잠금장치가 있는 전기기계식 안전 스위치 등으로, 슬림한 사이즈에 LED형, 버튼내장형, 통신형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한 모
[첨단 헬로티] “확장성이 뛰어난 다양한 제품 공급으로 국내 세이프티 수준을 업그레이드하겠다.” 오히너코리아 배규범 이사는 자동화 산업이 IT와 접목하여 발전하면서 기존 공장에도 이더넷 통신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며, 여기에 접목할 수 있는 다양한 세이프티 제품을 공급해나가겠다고 말한다. 오히너는 대표격 제품인 통합형 안전 시스템 MGB2와 비접촉식 잠금 안전스위치인 CEM-C40을 비롯해 최근 세이프티 미니 PLC와 라이트커튼을 출시하며 산업에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배규범 이사는 아직 우리나라는 안전 기준에 대한 준수가 미흡하다고 지적하며 세이프티가 왜 필요한지, 적정한 세이프티 시스템 구성을 위하여 어떠한 점검사항이 있는지 등 보편적 인식을 확대하고 안전 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리는 데 오히너가 그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말한다. 세이프티 관련 최근 이슈와 오히너의 영업 전략을 배규범 이사에게 들었다. ▲ 오히너코리아 배규범 이사 Q. 제품 트렌드로 본 세이프티 시장 주요 이슈는. A. 최근 세이프티는 기존의 단순 기능들로만 구성되었던 1차원적인 제품에서 지금은 다양한 기능을 모듈화한 3차원적인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안전 스위치의 경
[헬로티] “안전 스위치 이상의 포괄적인 세이프티 기능 강화로 안전 기술 통합에 유연하게 대응하겠다.” 오히너코리아 기술영업부 배규범 부장은 최근 시스템 통합으로 제품 간의 호환성이 중요해졌다며, 오히너는 안전 관련 국제 표준 규격을 따라 신제품 개발 및 업그레이드로 통합 구성에 유연히 대응해 나가고 있다고 말한다. 대표격 주력 제품이 안전 스위치 ‘MGB’. 오히너코리아는 이 제품을 앞세워 기존 시장은 물론 미개척 산업 분야에도 적용을 확대하며 올해 80억원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안전 스위치 글로벌 메이커 오히너는 독일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한국에 지사가 설립된 지는 올해로 15주년째이다. 세이프티 관련 최근 이슈와 동향을 배규범 부장에게 들었다. ▲ 오히너코리아 기술영업부 배규범 부장 Q. 안전 자동화 관련 업계의 큰 이슈는 A. 최근 안전 규정이 강화되면서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건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도 안전 규정에 부합하게 세이프티 시스템을 사용하는 업체들은 많지 않은 것 같다. 사용하더라도 명목상으로 안전 규정에 맞추기 위해서 하다 보니 저가형 장비를 찾는 경우도 많다. 안전 규정에 맞는 시스템
‘PSENcode’는 코디드 타입의 안전 스위치이다. 이 제품은 기존 콤팩트 디자인과 비교했을 때 같은 무게이지만 13mm 얇아졌다. 또한 RFID 트랜스폴더 기술과 코드식 안전 스위치로 경제적인 직렬연결은 물론 높은 수준의 조작 보호를 제공한다. 위치 감시뿐만 아니라 안전 게이트를 감시하는 용도에도 적합하며, PSENsgate 또는 PSENslock과 함께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임근난 기자(fa@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