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서재창 기자 | 아나로그디바이스(ADI)가 이전에 발표한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프러덕츠 인수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합병으로 ADI는 추정(pro forma) 기준으로 향후 12개월 간 90억달러 이상의 매출, 업계 선도적인 마진, 그리고 30억달러 이상의 잉여현금흐름을 통해 고성능 아날로그 반도체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했다. 아나로그디바이스의 빈센트 로취(Vincent Roche) 대표이사 CEO는 “1만 명 이상의 엔지니어와 함께 선도적인 기술의 폭과 깊이를 확장함으로써, 우리는 고객을 위한 훨씬 더 완벽한 첨단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서 있다. 우리는 함께 아날로그 반도체 혁신의 새로운 물결을 주도해 나가는 한편, 인류를 위해 더 건강하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종 계약 조건에 따라 맥심 주주들은 맥심 보통주 1주당 ADI 보통주 0.63주를 받았다. 맥심 보통주는 더 이상 나스닥 주식 시장에 상장되지 않는다.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글로벌 자동화 기술 업체 ‘오므론(OMRON)’의 NXR 시리즈 IO 링크 컨트롤러 및 IO 링크 I/O 허브에 맥심의 듀얼 IO 링크(IO-Link) 제품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맥심 제품이 오므론의 최초 원격 디지털 출력 IO 링크 I/O 허브(NXR-CD166C-IL2 모듈)에 추가됨으로써 오므론은 양방향 컨트롤러 및 디지털 입출력 기능을 확대하고 센서 분야에 국한됐던 IO 링크의 사용 범위를 넓혔다고 전했다. 맥심의 듀얼 IO 링크 제품이 장착된 NXR 시리즈는 생산 시설 내 생산 장비의 상태를 연속적으로 진단하고 모니터링 한다. 공장 자동화 시스템에 입출력 기능을 추가하는 새로운 방법을 자사 고객에게 제공하고, 맥심의 듀얼 IO 링크 컨트롤러 ‘MAX14819A’ 와 IO 링크 디바이스 ‘MAX14827A’, 디지털 출력 장치 ‘MAX14912’ 및 MAX14915’는 고객의 생산 라인에 인텔리전스를 제공한다. IO 링크의 양방향 링크는 센서와 액추에이터에 정보를 제공해 생산 장비가 제품 변화에
[헬로티] 시간당 300mA 배터리 시스템에 매일 태양광 30mW 충전 시 구동시간 50퍼센트 연장 가능해 ▲맥심 인터그레이티드에서 출시한 태양광 충전기 'MAX20361'를 부착한 손목 시계. (출처 :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 맥심 인터그레이티드가 MM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기능을 탑재한 단일/다중 셀 태양광 충전기 ‘MAX20361’을 12일 출시했다. 업계 최소 크기를 구현한 이 솔루션은 공간 제약적 제품의 구동시간도 향상시킬 수 있어 웨어러블과 사물인터넷(IoT)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는 평이다. 웨어러블,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설계자들은 초소형 사이즈, 긴 구동시간이라는 두 가지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MAX20361은 공간 제약적인 제품에 태양광 충전 기능을 구현, 보조 전원 공급을 통해 기기의 구동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했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측은 이 태양광 충전기는 부품 크기와 외부 구성품의 크기 및 개수를 줄인 최소형 태양광 충전 솔루션으로 경쟁사의 기존 제품들에 비해 솔루션 크기를 절반 이상 줄였다고 설명했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는 또한 적응형
[헬로티] 사진.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 한유아 신임 사장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전문업체인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한유아 사장을 선임한다고 밝혔다. 신규 선임된 한유아 사장은 국내 영업과 비즈니스 운영 업무를 총괄한다. 2004년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에 입사한 한유아 사장은 반도체 업계 경영∙운영∙마케팅 분야에서 많은 경험과 노하우를 쌓아왔다.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본사의 고객운영부문 이그제큐티브 디렉터로 재직하며 한국∙중국∙대만∙싱가폴 등 아시아 지역은 물론 미국과 유럽의 글로벌 주요 고객을 담당했다. 대기업, 중견∙중소기업 및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온라인 고객들을 비롯한 다양한 기업 고객들의 성장을 지원했다. 맥심에 합류하기 전 CTS 코퍼레이션(전 모토로라 부품사업부)에서 근무했으며, 단국대학교에서 인문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유아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 사장은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 사장을 맡게 돼 영광이다. 맥심의 혁신적 제품과 탄탄한 엔지니어링 자원으로 고객의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계속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존 임페라토(Jon I
[헬로티] 최고 정확성과 최저 대기전류로 배터리 수명 연장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대표 한유아)가 고정밀 리튬이온 퓨얼 게이지 IC ‘MAX17320’을 출시했다. 이를 통해 다중셀 배터리 구동 제품에서 자가방전 위험을 모니터링하고 작동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고 한다. 컴퓨팅, 사물인터넷(IoT), 전동 공구, 소비재, 헬스케어, 모바일 디바이스 분야에서 2~4직렬 리튬이온셀(2S-4S)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용 디바이스 설계자에게는 소비자 안전이 최우선 과제다. 손상 및 결함이 있는 배터리는 내부 셀에 누수를 발생시키기도 하며, 누수 상태가 계속되면 화재나 폭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누수된 셀 출하를 막기 위해서는 엄격한 공장 검수도 중요하지만 배터리 자체의 자가방전 감지도 중요하다. 하지만 그동안 자가방전 위험을 감지하는 솔루션은 없었다. MAX17320은 2~4직렬 리튬이온셀을 위한 팩사이드 퓨얼 게이지 및 프로텍터 IC로, 이상 전압, 전류 및 온도 조건을 차단해 2~4직렬 리튬이온 배터리의 안전한 충전 및 방전을 보장한다. 배터리 자체 자가방전을 감지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대표 최헌정)가 USB 타입 C(USB-C) 전원 공급 솔루션 2종 ‘MAX77958’, ‘MAX77962’를 출시했다. 휴대용 기기에 5G 연결, 4K 비디오 등 신기술이 추가되면서 많은 제품이 기존 단일 셀에서 2개의 직렬 셀 아키텍처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USB-C 전원 공급과 25W 이상 고전력 충전이 요구되는 전원 공급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 맥심 인터그레이티드가 맥심 USB-C 전원 공급 솔루션을 출시했다. (사진 :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맥심이 출시한 솔루션은 게임,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기기와 카메라, 무선 스피커, 휴대용 프린터, 모바일 컴퓨터는 물론 산업용 장비나 의료 기기 등의 애플리케이션에도 적합하다. 기존의 USB-C PD 시스템은 차세대 휴대용 가전, 산업용, 의료 전자기기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지만 USB-C 규격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여러 구성품과 개발에 수개월이 소요되는 맞춤형 펌웨어가 필요하다. 맥심의 ‘MAX77958’ 독립형 USB-C PD 컨트롤러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기반 맞춤
[첨단 헬로티] 전력 솔루션 크기 최대 50퍼센트 감소 및 설계 복잡성 낮춰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대표 최헌정)가 4출력 자동차 디스플레이 전력관리 집적회로(IC) ‘MAX16923’을 출시했다. 자동차 전자시스템 설계자들은 MAX16923을 워치독(watchdog) 타이머와 함께 사용해 차량에 더 많은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수 있다. 자동차 제조사가 첨단 계기 패널 및 인포테인먼트, 헤드업 디스플레이, 센터 디스플레이, 뒷좌석 엔터테인먼트, 스마트미러 애플리케이션 등을 탑재하면서 차량 한 대당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수는 증가하고 있다. 스크린에 필요한 전원공급 회로는 제한된 차량 내부 공간에서 수 많은 전자시스템과 자리를 경쟁해야 해 복잡성을 고려해야 한다. MAX16923은 4개 파워레일과 함께 높은 집적성을 제공하며 하나의 IC에 고전압·저전압 벅 컨버터, 고전압·저전압 LDO, 전자파간섭(EMI) 완화, 워치독 타이머를 탑재했다. 고도의 집적성 덕분에 기존 4~5개 IC로 구성해야 했던 자동차 전력 솔루션을 큰 온도 증가 없이 하나의 칩으로 구현해 복잡성을 줄여
[첨단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디지털 클래스 D 오디오 앰프(amplifier)인 ‘MAX98357’, ‘MAX98358’을 출시했다. 설계자는 맥심의 비용 효율적인 소형 오디오 플러그 앤 플레이(Plug-and-play) 솔루션으로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초소형 폼팩터(Form factor)로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3.2W의 클래스 AB 오디오 성능으로 뛰어난 음질을 제공하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전통적으로 전자제품 설계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서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와 라인 드라이버 앰프가 탑재된 아날로그 앰프를 사용한다. 이는 스피커 출력에 전반적인 집적회로(Die) 비용이 추가되고 전체 솔루션 폼팩터 크기에 영향을 준다. 음성 인식(Voice-activated) 컨슈머 기기가 증가함에 따라 설계자는 최상의 오디오 품질을 실현하는 동시에 간소화된 효율적 저전력 설계를 유지해야 한다. MAX98357 펄스 부호 변조(PCM), MAX98358 펄스 밀도 변조(PDM) 플러그 앤 플레이 스피커 앰프에는 맥심의 뛰어난 핀아웃(Pin-out) 기능이 적용됐다. 또한 전형적인 아날
[첨단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배터리 수명과 기능을 향상시키는 초저전력 마이크로컨트롤러(MCU) ‘MAX32660’, ‘MAX32652’를 출시했다. 맥심의 DARWIN MCU 제품군은 웨어러블에 적용되는 초저전력 기술, 동급 최고 임베디드 메모리, 가장 진보된 임베디드 보안 기술이 통합된 솔루션이다. 시스템 설계자는 사물인터넷(IoT), 환경 센서, 스마트 워치, 메디컬∙질병 예방 웨어러블 기기, 기타 소형 기기를 설계할 때 FPU(Floating Point Unit)가 탑재된 ‘ARM Cortex-M4’ 프로세서 기반 맥심 MCU를 이용해 제한된 전력 상황에서 뛰어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메모리, 크기, 전력 소비, 프로세싱 능력은 스마트한 IoT 애플리케이션의 복잡한 알고리즘 설계에 중요 요소다. 그러나 기존 솔루션은 전력 소비가 적절하면 프로세싱과 메모리 기능이 떨어지고, 강력한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충분하면 전력 소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반해 MAX32660은 고급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센서를 관리할 수 있는 충분한 메모리(256KGB 플래시
[첨단 헬로티] 멀지 않은 미래에 자동차는 출퇴근 시간 대 사무실이 되고 장거리 여행을 할 때에는 엔터테인먼트 센터가 될 것이다. 탑승자는 자동차 안에서 비디오 게임을 하거나 소셜 미디어에 포스팅을 하고 UHD 디스플레이로 영화를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동시에 자동차는 탑승자를 약속한 지점으로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시켜 줄 것이다. 이것이 바로 자율 자동차가 약속하는 미래다. 자율 주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회사 및 협력사는 자율 주행 기술로 자사와 타사 브랜드를 차별화할 수 있을 것이라 믿으며 더욱더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아직 완전하지는 않지만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자율 주행 시스템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자동차의 진보를 경험하고 있다. 현재 자동차는 간단한 단일 기능의 저해상도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후방 카메라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제는 10여 개 이상의 카메라, 몇 대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모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시리얼 링크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trategy Analytics)는 자동차의 신호처리 주파수
[첨단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최소형 통합 DC-DC 전력 모듈 ‘MAXM17532’와 ‘MAXM15462’를 출시했다. 설계자는 맥심의 초소형(10핀 2.6mm x 3.0mm x 1.5mm) 시스템 단위 IC(uSLIC) 제품군을 이용해 제품 크기를 줄이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센싱, 커넥티버티, 클라우드 컴퓨팅의 엄청난 발전과 함께 소형화 기술은 인공지능, 머신러닝 같은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센서, 방산 제품, 네트워크 인프라 장비, 의료∙컨슈머 기기를 위한 차세대 시스템 설계는 데이터 수집 및 결합을 기반으로 진행돼야 한다. 새로운 인공지능 제품은 발열 문제 없이 더욱 작은 공간에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하다. 산업, 헬스케어, 통신, 컨슈머 시장용 맥심 파워 솔루션 MAXM17532와 MAXM15462는 LDO(선형 레귤레이터) 처럼 작은 크기와 단순함으로 업계 최고의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지향한다. 맥심의 파워 모듈은 초소형 uSLIC 크기로 와이드 인풋 동기식 벅 레귤레이터, FET(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보상 회로 등을 통합해 전력 공급 솔루션
최헌정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 대표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 임직원을 대표해 <전자기술>의 창간 30주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30년이라는 오랜 시간 동안 한국 반도체 및 IT 산업의 훌륭한 파트너로서 큰 역할을 담당해 온 전자기술 여러분께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는 아날로그 반도체 시장이 2022년에 80조원에 달하며 반도체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전력 운용, 신호 변환, 자율 주행 등이 아날로그 반도체 시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맥심은 아날로그·혼합 신호 반도체 선두 기업으로서 신뢰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안전하고 스마트한 미래를 구축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자기술의 통찰력 깊은 기사는 맥심이 나아갈 혁신 로드맵에 방향성을 제시해줬습니다. 앞으로도 한국의 대표적인 산업 전문 종합 미디어로서 미래 산업에 대한 혜안을 공유하며 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어주길 부탁드립니다. 다시 한 번 <전자기술>의 창간 30주년을 축하드리며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첨단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이하 맥심)가 초저전력 고집적 4-20mA 센서 트랜스미터 ‘MAX12900’을 출시했다. 시스템 설계자는 MAX12900을 활용해 정밀도 높은 저전력 소형 산업 자동화 제품을 설계할 수 있다. MAX12900은 산업 자동화와 공정 제어, 루프 전원 방식의 4-20mA 전류 트랜스미터, 원격 계측 장비, 스마트 센서에 적합한 솔루션이다. 더욱 진화된 4-20mA 센서 트랜스미터 개발을 위해 시스템 설계자는 광범위한 온도 조건에서 측정 정밀도를 높이고 소형 인클로저(encloser)에 적합하게 크기를 축소해야 한다. ▲맥심 MAX12900 블록 다이어그램 센서 출력은 최대 4mA인 전체 센서 트랜스미터 시스템의 엄격한 전류 설계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MAX12900은 기존 솔루션에 비해 최대 3.5배 낮은 10ppm/°C 전압 레퍼런스 온도 드리프트(drift)와 최대 0.01% 선형성으로 시스템 정밀성을 높인다. 5mmx5mm 패키지 크기의 소형 풋프린트(footprint)에 10개의 블럭이 통합돼 기존 4-20mA 센서 트랜스미터 대비 공간을 20~50%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내장된
사이버 범죄로 인한 피해액이 2016년 24% 증가해 13억3천만 달러에 달했다. 이는 FBI의 인터넷 범죄 신고 센터에 접수된 것만을 집계한 것이다. 해킹과 여타 보안 침해에 관한 사고가 거의 날마다 뉴스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다. 그럼에도 많은 제조업체가 보안 설계를 사후 문제로 취급한다. 보안을 구현하기 위해서 시간과 자원 측면에서 많은 비용이 들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된 결과다. 이 글은 이러한 인식이 왜 잘못된 인식인지 지적하고 사이버 공격을 강력하게 방어할 수 있는 경제성 뛰어난 최신 턴키 임베디드 보안에 대해 소개한다. 왜 여전히 보안 설계에 대해 무심할까? 지난 해 대형 통신 회사인 텔레포니카(Telefonica)는 사물인터넷(IoT) 솔루션의 발전에 비해 사이버 범죄에 대한 방어가 뒤쳐져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하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범위, 규모, 위험성: IoT의 보안 문제’ 보고서는 “이것은 단순히 개인 데이터에 대한 프라이버시나 디지털 신원확인의 보안성만의 문제가 아니다. 앞으로는 우리 삶을 둘러싼 모든 디바이스가 인터넷으로 연결될 것이다. 우리가 하는 모든 활동이 정보로 변환되며
[첨단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이하 맥심)가 RS-485 트랜시버(transceiver) 신제품인 ‘MAX22500E’, ‘MAX22501E’, ‘MAX22502E’을 출시했다. 이 새로운 시리즈는 데이터 전송률을 두 배 높이는 동시에 케이블 수용 거리를 최대 50% 연장시킨다. ▲맥심 RS-485 트랜시버 블록 다이어그램 MAX22500E/MAX22501E(반이중∙half-duplex)와 MAX22502E(전이중∙full-duplex) ESD(Electrostatic Discharge) 보호 RS-485/RS-422 트랜시버는 50미터 구간에서 100Mbps(100미터는 50Mbps) 최대 속도를 지원한다. 다양한 모션 컨트롤 애플리케이션용 케이블을 통해 100Mbps 업계 초고속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하고, 정확하고 경제적이며 견고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한다. MAX22500E, MAX22502E에서 설정 가능한 프리엠파시스(pre-emphasis) 기능은 경쟁사 대비 2배 높은 데이터 전송률로 인코더 해상도를 높이고 지연(latency)을 줄여준다. 이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