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통상산업포럼 개최…올해 통상 10대 과제 논의 한국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이 부진에 빠진 가운데 정부와 업계가 함께 신흥 경제권으로 통상 네트워크를 확대한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구자열 한국무역협회장은 13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무역협회에서 올해 제1차 통상산업포럼을 개최하고, 수출·투자 플러스 달성을 위한 통상 10대 과제 논의를 공동 주재했다. 통상산업포럼은 정부와 산업계 간 통상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2013년에 구성된 통상 분야의 민관 협업 채널이다. 이날 행사에는 주요 업종 협·단체, 수출·투자 지원·연구기관이 참여했다. 올해 통상 10대 과제는 ▲자국 우선주의 통상 리스크 선제 대응 ▲신흥경제권으로 통상 네트워크 확대 ▲ 수출·투자 견인을 위한 통상 역할 강화 ▲국격에 걸맞은 국제사회 기여라는 4개의 정책 방향에 맞춰 짜였다. 특히 정부와 업계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신흥국과 기존 자유무역협정(FTA) 체계에 공급망·디지털·기술전수 등의 협력 요소를 가미한 경제동반자협정(EPA) 방식의 신개념 FTA를 추진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걸프협력위원회(GCC), 에콰도르, 과테말라 등 중동과 중남미 국가를 상대로 올해 10개국 이상과 이런 방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가 9일 통상산업포럼 전자전기·전자부품 분과회의를 열었다. 통상산업포럼 분과회의는 산업과 통상의 연계 강화를 위해 2013년 신설돼, 주요 업종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전략 수립과 보완 대책 마련을 위한 지원 기능을 수행해 왔다. 이번 전자전기·전자부품 분과회의는 대중국 무역기술장벽(TBT) 애로 해소를 통해 한-중 FTA 효과를 극대화하고, 정부와 산업계가 통상정책 전략을 함께 고민하기 위해 개최됐다. 업계는 지난 1일 한-중 FTA가 정식 서명됐으나, 그 효과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강제인증(CCC)과 같은 중국의 TBT가 해소돼야 한다고 의견을 개진했다. 중국의 CCC 인증은 국내의 국가통합인증마크(KC) 인증 대비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2배 이상이며, 추가적으로 컨설팅 비용까지 부담해야 한다. 산업부와 업계는 중국의 무역기술장벽 해소를 위해 시험성적서 상호인정 협약 체결, 통관지연문제 개선 등을 포함한 한-중 FTA TBT 이행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또한 WTO 복수국 간 협정인 정보기술협정(ITA)과 환경상품협정(EGA)의 협상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