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화한 데이터 분석과 비즈니스 인사이트 도출 수행해 마이크로소프트가 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개최한 ‘AI 투어 인 서울’을 통해 AI 혁신 기술과 글로벌 전략을 발표하며, 한국의 산업 전반에 걸친 AI 전환 가속화에 나섰다. 이날 행사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CEO 사티아 나델라가 방한해 비즈니스 리더들과 직접 소통했으며, KT, LG전자, 씨젠, GS리테일, 아모레퍼시픽, 한화큐셀, 갤럭시 코퍼레이션 등 국내 유수 기업들이 대거 참여해 각자의 AI 도입 전략과 사례를 공유했다. AI를 통한 실질적 문제 해결력과 산업별 확장 가능성을 강조한 이번 행사에서는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공개된 두 가지 AI 에이전트가 주목을 받았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에 적용된 추론 모델 기반 ‘리서처(Researcher)’와 ‘애널리스트(Analyst)’는 고도화한 데이터 분석과 비즈니스 인사이트 도출을 가능케 하며, 4월부터 순차 도입될 예정이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AI는 이미 한국인의 삶과 비즈니스 방식에 변화를 이끌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의 혁신을 현장에서 확인했다”며, “마이크로소프트는 한국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 협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LG CNS가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협력을 강화하며 생성형 AI 기반 혁신 사례를 공개했다. LG CNS는 26일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Microsoft AI Tour in Seoul)에 참가해 제조·금융 등 산업 분야에서 생성형 AI를 이용한 혁신 사례를 선보였다. LG CNS는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Microsoft Copilot)’을 활용해 기업들이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AI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돕는 컨설팅 프로그램도 공개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현재 전 세계 60개 도시를 순회하며 AI 혁신 사례를 공유하는 투어를 진행 중이다. 이번 서울 행사에서는 AI를 활용한 비즈니스 혁신과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 방법이 주요 화두로 다뤄졌다. LG CNS는 이날 행사에서 제조기업 A사의 제품 설계업무에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클라우드를 바탕으로 생성형 AI 기반의 검색 지능화 서비스를 도입한 사례를 발표했다. 이 서비스는 직원들이 업무 중 문제가 발생하거나 궁금한 사항에 대해 채팅창에 질의하면 생성형 AI가 제품 설계 지침서, 과거 설계 이슈를 해결한 사례들을 종합 분석해 최적의 답변을 제공한다. 수백·수천페이지의 지침서는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겸 이사회 의장이 기조연설 나서 마이크로소프트가 오는 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모두를 위한 AI, AI 혁신의 오늘과 내일(AI for Everyone, AI Innovation today and tomorrow)’을 주제로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Microsoft AI Tour in Seoul)’을 개최한다. 이 행사는 전 세계 60개 도시에서 진행되는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의 일환으로, 국내 개발자·엔지니어·비즈니스 리더·기술 전문가 등이 AI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혁신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사전 신청을 통해 무료로 참가할 수 있으며, AI 기술 도입 및 활용 사례를 심층적으로 다룬다. 이번 행사의 키노트 연설에는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겸 이사회 의장이 연사로 나선다. 그는 토마스 돔케 깃허브 CEO, 조원우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대표와 함께 AI가 국내외 산업과 업무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조망할 예정이다. 특히, 국내 주요 기업의 AI 혁신 사례가 발표되며, AI를 활용해 실제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한 경험과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AI 산업 혁신과 적용 사례를 다루는 브레
델 테크놀로지스가 발표한 최근 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일반 PC 실사용자 중 68.2%가 현재 사용 중인 일반 업무용 PC에서 AI PC로 전환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는 한국IDG와 발간한 ‘업무용 PC 사용 현황 및 AI PC 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기업 환경에서 AI를 활용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에 따라 AI PC 및 업무용 PC·워크스테이션의 사용 현황과 향후 전망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으며, 2024년 11월 2주간 업무용 PC 실사용자 및 IT 구매 담당자 2982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에 따르면 기업 환경에서 학습 데이터 가공, AI 모델 트레이닝, 시뮬레이션 및 테스트 등 AI 관련 워크로드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 테크놀로지스가 지난 2023년 11월 진행한 ‘업무용 PC 및 워크스테이션 사용 현황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워크스테이션을 통해 AI 워크로드를 처리한다는 응답은 9.8%에서 13.1%로, 일반 PC는 3.2%에서 7.1%로 증가했다. 업무 환경에서 AI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반면 AI PC에 대한 최종 사용자와 기업 IT 관리자들의 인지도는 아직
PTC는 마이크로소프트 및 폭스바겐 그룹과 협력하여 PTC 코드비머(Codebeamer)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관리(ALM) 솔루션을 기반으로 하는 생성형AI 코파일럿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코드비머 코파일럿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제품 요구사항을 생성 및 관리하고 테스트, 검증 및 릴리스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실제 제품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한다. 코드비머 코파일럿의 개발은 폭스바겐 그룹이 브랜드 및 차량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코드비머를 채택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 PTC와 폭스바겐 그룹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AI 기능에 생성형AI를 내장함으로써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했다. 폭스바겐 그룹의 IT 엔지니어링 책임자인 로버트 카트너(Robert Kattner)는 협업에 대해 설명하는 동영상에서 “코드비머 소프트웨어에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AI를 탑재함으로써 새로운 사양과 테스트 사례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중복을 제거하고 기존 품질 표준과 대조하여 요구사항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우리 팀이 오래된 IT 시스템에서 요구 사항 참조를 가져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PT
티센크루프 오토메이션 엔지니어링(thyssenkrupp Automation Engineering)이 지멘스의 생성형AI 기술을 활용해 장비 HMI에서 PLC 코드를 개발하고 데이터 시각화를 생성하며 산업 자동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 이는 전기 자동차 배터리 품질 검사를 위한 첨단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지멘스에 따르면, 전 세계 제조업체들은 경쟁 심화와 숙련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성형AI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특수 기계 및 플랜트 제작업체인 티센크루프 오토메이션 엔지니어링이 지멘스의 산업용 코파일럿(Copilot) 기술을 채택한 사례는 이 기술의 실질적 효과를 잘 보여준다. 지멘스는 이 기술이 PLC용 SCL(구조화된 제어 언어) 코드를 보다 신속히 개발하고 TIA 포털 프로젝트에 지능적으로 통합하는 동시에 WinCC Unified를 활용한 기계 시각화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티센크루프는 반복적이고 단조로운 작업을 줄이고, 엔지니어링 팀의 효율성을 크게 높이고 있다. 지멘스는 2025년부터 티센크루프의 전 세계 지사에서 기계 엔지니어링 작업에 생성형AI 기반 어시스턴트를 대규모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MS 솔루션 활용해 이뤄낸 비즈니스 혁신 사례 및 기술적 인사이트 공유 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내달 3일부터 4일까지 이틀간 'Microsoft AI Transformation Week'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국내 주요 기업과 기관이 마이크로소프트 솔루션을 활용해 이뤄낸 비즈니스 혁신 사례와 기술적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자리다. 애저 오픈AI, 보안,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고객사가 솔루션 활용 과정에서 얻은 실질적인 경험과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행사는 이틀 모두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사전 등록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참여 가능하다. 행사 첫날에는 ‘애저 오픈AI로 해결하는 비즈니스 과제’를 주제로 다양한 산업군의 성공 사례가 공개된다. LS ITC, 포스코 E&C, 아산병원, 현대퓨처넷 등의 사례가 발표된다. LS ITC는 LS그룹의 AI 도입 여정을 소개한다. 직원 교육과 변화 관리, 전담 조직 구성, 시범 과제 수행을 거쳐 자체 생성형 AI 플랫폼 ‘LS GPT’를 구축하기까지의 과정을 공유한다. 포스코이앤씨는 LLM(대형언어모델) 기반 계약 문서 검토 솔루션 포스-닥(POS-DOC)을 활용한 사례를 발표한
800개 이상의 세션, 데모, 실습으로 AI 기술로 인한 업무 방식 변화 체험 마이크로소프트(이하 MS)가 현지시간 19일 '마이크로소프트 이그나이트 2024(Microsoft Ignite 2024)'를 개최하고 생산성 가속화, AI 앱 관리, 데이터 보호를 위한 80여 개의 솔루션과 신규 업데이트를 공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신규 AI 에이전트와 기능, 코파일럿 + AI 스택, 자율 에이전트, 클라우드 보안 디바이스, 개발자 플랫폼, 보안 기술과 전략에 관한 신제품과 기능이 대거 발표된다. 고객, 파트너, 개발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술 리더들이 주도하는 800개 이상의 세션, 데모, 실습을 통해 AI 기술의 잠재력 발휘와 업무 방식의 혁신적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모든 제품의 기반에는 설계부터 보안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시큐어 퓨처 이니셔티브 원칙이 적용됐다. 2024년은 AI 트랜스포메이션이 기업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은 해로 평가된다. IDC 2024 AI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조직의 75%가 AI를 도입해 평균적으로 1달러당 3.70달러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일부 상위 리더들은 최대 10달러의 수익을 실현한
"한국형 GPT-4o, 코파일럿 등 공동 개발…"아시아 시장 진출" KT가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분야에서 마이크로소프트와 수조원 규모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어 국내와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29일 밝혔다. 김영섭 KT 대표와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최고경영자(CEO) 겸 이사회 의장은 지난 27일(현지 시각) 미국 워싱턴주 레드먼드 마이크로소프트 본사에서 AI·클라우드·IT 분야 사업 협력 및 역량 공유를 위한 5개년 파트너십에 서명했다. 두 회사는 향후 5년간 ▲한국형 특화 AI 설루션 및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대한민국 기술 생태계 전반의 AI 연구개발 역량 강화 ▲공동 연구 및 국내 수만 명의 AI 전문 인력 육성 등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챗GPT의 음성 모델인 GPT-4o과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챗봇 코파일럿을 한국형으로 개발, 국내와 아시아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LG전자는 16∼17일 이틀간 전 세계 장애 청소년들의 인공지능(AI) 역량 강화를 위한 '2024 글로벌 장애 청소년 IT챌린지'(GITC) 예선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GITC는 장애 청소년들의 정보 활용 능력을 높여 사회 진출의 기반을 마련하도록 2011년부터 진행해 온 대회다. 올해는 LG와 보건복지부, 필리핀 정부가 주최하고 LG전자와 GITC 조직위원회, 필리핀 국가장애위원회(NCDA)가 주관한다. 지금까지 13년간 총 40개국에서 5000여명의 장애 청소년이 참여했으며 올해는 총 16개 국가에서 600명이 넘는 장애 청소년이 참가해 코딩, PPT 등 6개 종목에서 열띤 경쟁을 펼쳤다. 특히 이번 대회에는 오픈AI 챗GPT, MS 코파일럿, 구글 제미나이 등 생성형 AI 기술 활용 능력이 새로운 평가 요소로 추가됐다. 최근 생성형 AI가 글로벌 정보기술(IT) 업계의 화두로 떠오른 데 따라 디지털 인재로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번 예선을 통과한 장애 청소년들은 오는 11월 3∼8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리는 본선 대회에 참가한다. 대회 종합 1등 및 종목별, 장애 유형별 성적 우수 참가자들에게는 상장과 상금이 수여된다. 이 밖에도 한국 장애 청
최초의 서피스 Copilot+ PC, 퀄컴 스냅드래곤 X 엘리트 및 스냅드래곤 X 플러스 프로세서 탑재 한국마이크로소프트(이하 한국MS)가 오늘부터 내달 6일 공식 출시되는 ‘서피스 프로 11번째 에디션’ 및 ‘서피스 랩탑 7번째 에디션’ 사전 예약 판매를 시작한다. 사전 예약은 쿠팡, 네이버 서피스 브랜드 스토어, 하이마트(온라인 및 잠실/월드타워점 외 일부 오프라인 매장), 현대백화점(더현대 서울/판교), 지마켓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스토어에서 진행된다. 지난 5월, 마이크로소프트는 AI 기술로 설계된 Copilot+ PC라는 새로운 윈도우 PC 카테고리를 공개, 칩셋부터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클라우드까지 PC의 모든 요소를 AI 중심으로 완전히 재구성해 윈도우 플랫폼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이번 신제품 2종은 최초의 서피스 Copilot+ PC로, 개선된 성능과 배터리 효율성을 자랑하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X 엘리트 및 스냅드래곤 X 플러스 프로세서가 탑재됐다. 해당 프로세서의 NPU는 45 TOPS를 처리할 수 있으며, 소형언어모델(SLMs)을 비롯한 여러 최신 AI 모델을 통해 사용자는 디바이스에서 직접 실행되는 새로운 AI 경험을 할
샌드빅(Sandvik)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하여 제조 소프트웨어에 인공지능(AI)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제조용 코파일럿(Copilot)은 9월에 출시되는 CAD/CAM 소프트웨어 Cimatron, GibbsCAM 및 SigmaNEST의 다음 버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코파일럿은 현재 폭넓게 접근할 수 없는 지식에 원활하게 액세스하여 사용자 경험을 단순화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의 변화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회사측은 내다보고 있다. 각 코파일럿은 12개월 동안 제품 지식 기반과 같은 각 브랜드 고유의 독점 지식과 최적화된 프롬프트에 대해 교육을 받았다. 코파일럿은 지속적으로 기술 지원에 대한 추가 교육을 받고 궁극적으로 서로 연결하여 작업 현장에 더 많은 인텔리전스를 제공할 것이다. 샌드빅에 따르면, 코파일럿은 Microsoft Azure 클라우드 및 AI 서비스와 협력하여 개발되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연중무휴 24시간 지능형 고객 지원을 통해 간편하고 접근성이 높은 경험을 할 수 있다. 코파일럿은 실시간 업데이트를 제공하고 정보에 입각한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고객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AI 로드맵의 첫 번째 단계다. 이 기능은 시장을 선도하는
오늘날 AI 시장을 주도하는 집단이 미국의 빅테크라는 사실에 대부분 동의할 것이다. 이 빅테크는 높은 기술 완성도와 막대한 인프라 규모, 훌륭한 인적 자원을 기반으로 AI의 현재와 미래를 주도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가 등장한 이래로, 빅테크의 영향력은 국가와 산업을 뛰어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빅테크의 행보를 바탕으로 이들이 제시하는 기술 방향성과 비즈니스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애플 인텔리전스’로 경쟁력 과시한 애플 지난 6월, 애플이 드디어 야심찬 AI 전략을 세상에 공개해 화제가 됐다. 지난 6월 10일(현지시간) 미 캘리포니아주 애플 파크 본사에서 연례 세계 개발자 회의(WWDC) 2024를 열고, 아이폰 운영체제 iOS 18 등 업데이트 사항을 발표했다. 가장 큰 변화는 AI 기능의 탑재다. 애플은 자체 AI 시스템을 ‘애플 인텔리전스’라고 소개했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텍스트를 요약하고 이미지를 생성하며 사용자가 필요할 때 관련성 높은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 활용된다. 크레이그 페더리기 애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수석 부사장은 “우리는 강력한 생성형 AI 모델을 아이폰과 아이패드, 맥 OS에 탑재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특히 애플은 오
퀄컴 AI PC 전용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X 엘리트’ 탑재돼 에이서(Acer)가 4일부터 7일까지 대만 타이베이에서 개최되는 ‘컴퓨텍스 2024’에서 차세대 AI 기능을 탑재한 노트북을 비롯한 신제품을 공개했다. 이번 컴퓨텍스 2024에서 공개된 에이서의 AI 노트북 신제품 ‘스위프트 14’는 에이서가 첫 선보이는 코파일럿+ PC로, 퀄컴의 AI PC 전용 프로세서인 ‘스냅드래곤 X 엘리트’가 탑재돼 다양한 영역에서 강력한 생산성과 사용자의 창의성 구현을 지원한다. 대표적인 코파일럿+의 전용 기능인 ‘리콜’을 통해 과거 작업했던 자료를 손쉽게 검색하며, ‘코크리에이터’, 라이브 캡션’까지 다양한 옵션을 지원해 빠르고 효율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다. 14.5인치의 WQXGA(2560x1600) IPS 패널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는 120Hz의 고주사율과 100% sRGB의 색 재현율로 풍부한 색감의 부드러운 화면을 구현하며,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TUV 라인란드 인증을 획득해 편안한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노트북에는 노트북 관리와 AI 기능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에이서센스(Acersense)’ 단축키가 탑재돼 편리성을 강화했으며, 최대 32GB LPDDR5X
MS 코파일럿 도입 및 활용 방안, 업무 분야에 따른 적용 사례 공유해 실무에 적용되는 생성형 AI 활용법을 공유하는 ‘제1회 G밸리 입주사를 위한 마이크로소프트 AI 활용 세미나’가 22일인 오늘 G밸리 기업시민청에서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G밸리에 근무하는 실무자 및 임원진을 대상으로 급속히 성장하는 생성형 AI, 특히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을 어떻게 활용할지, 업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전망를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세미나를 주관한 마이크로소프트 측은 생성형 AI 솔루션인 코파일럿을 활용해 기업의 업무를 혁신하고 성공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무엇보다 이번 행사에서는 한국어 기능이 추가된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에 초점을 맞췄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 4월 30일 열린 ‘마이크로소프트 AI 투어 인 서울’ 행사에서 MS 365 코파일럿 한국어 버전을 공식 출시했음을 밝혔다. 이제 사용자는 워드와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 등 MS 365 앱을 활용해 한국어 명령으로 콘텐츠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됐다. 이에 세미나에는 한국마이크로소프트를 비롯해 (주)첨단, 서울경제진흥원(SBA), 무늬랩스, (주)에쓰핀테크놀로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