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회사 체제 전환·본점 소재지 이전안 주총가결 성공" 최 회장 "글로벌 연대·협력 강화하겠다" 포스코그룹은 최정우 회장이 한국협상학회가 주관하는 '2022 대한민국 협상대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협상학회는 최 회장이 상생을 도모하는 '윈윈' 협상력을 바탕으로 이해관계자를 설득해 작년 3월 그룹의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성공시킨 데 이어 올해는 지주사 본점 소재지 이전안을 주주총회에서 가결시키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또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를 아우르는 7대 핵심사업을 통해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이차전지 소재 사업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낸 점과 지난해 침수 피해를 본 포항제철소를 단기간에 정상화시킨 공로도 인정받았다. 특히 지난해 아르헨티나 대통령과 호주 총리를 만나 리튬·니켈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지지와 협력을 이끌어냄으로써 세계에서 유일하게 이차전지 소재 원료부터 제품까지 풀 밸류체인을 구축한 기업이 됐다는 평가다. 포항제철소 침수 당시에는 인도 JSW가 자사 열연공장용 설비로 제작 중이던 모터 드라이브를 지원받는 등 글로벌 협력을 통해 135일만에 복구를 완료한 점도 높게 평가됐다. 지주사 본점
포스코그룹은 25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2022 포스코그룹 기술컨퍼런스'를 열고 철강 및 신사업 분야 기술 개발 성과와 미래 신기술 동향을 공유했다고 밝혔다. 포스코그룹 기술컨퍼런스는 1989년부터 시작해 올해 34회째 열리는 행사로, 컨퍼런스에서 발표된 주요 기술은 포스코그룹의 중장기 기술 개발 전략에 반영돼 왔다. 올해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의 상황을 고려해 오프라인 참석 인원을 50명으로 제한했다. 대신 메타버스와 줌을 활용해 300명의 임직원이 온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사내TV와 PC생중계를 통해 모든 임직원이 시청할 수 있게 했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개회사에서 "끊임없는 노력과 과감한 도전을 통해 포스코그룹이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혁신상(2건), 창의상(4건), 도약상(4건) 등 총 10건의 '포스코 기술대상(大賞)'과 O&C(Open & Collaboration)상 시상식도 진행됐다. 기술대상 1등상은 연연주비(연속 주조가 가능한 레이들 수) 혁신을 통해 고효율·유연 생산체계를 구축한 광양 제강부 장기철 과
최정우 회장, “수소·이차전지소재 투자 속도 높이고, 신기술 확보에 심혈을 기울여야…탄소 배출 없는 철강은 친환경 미래소재” 포스코홀딩스가 그룹의 미래 소재 기술을 점검하고, 향후 기술 개발 전략에 대해 논의하는 ‘미래기술전략회의’를 개최했다. 포스코홀딩스는 2일 포스코그룹 최정우 회장, 포스코 김학동 부회장, 포스코홀딩스 전중선 경영전략팀장, 정창화 미래기술연구원장 등 그룹사 주요 임원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첫번째 회의를 가졌다. 포스코그룹 최정우 회장은 “포스코그룹의 새로운 사업영역인 수소와 이차전지소재 사업은 투자 속도를 높이고 신기술 확보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장기적으로 우리가 앞서나가 글로벌 Top-Tier가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주문했다. 또한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철강은 이차전지소재, 수소와 함께 그룹을 이끄는 ‘친환경 미래소재’”라며 “포스코그룹이 수소환원제철기술 등 저탄소 친환경 공정기술 개발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이날 회의는 △인공지능 플랫폼, △친환경미래소재, △그린철강, △ 미래연구원 연구분야별 벤처투자/산학연협력 현황 등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인공지능 플랫폼’세션에서는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