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의 물류 전문 자회사인 무신사로지스틱스가 2024년 재난 대비 및 대응 분야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경기도지사 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표창은 무신사로지스틱스가 2024년 한 해 동안 지역 사회에서 재난 대비와 대응에 적극 참여하여 경기도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에 기여한 노고를 인정받은 결과다. 지난해 12월 31일 여주소방서에서 열린 시상식에는 김진용 무신사로지스틱스 대표가 참석해 표창장과 상패를 받았다. 무신사로지스틱스는 2024년 주요 경영 방침으로 '재난 대응 및 대비 역량 강화'를 내세우며, 여주소방서와 협력하여 다양한 재난 대응 훈련에 적극 참여해왔다. 현재 무신사로지스틱스는 경기도 여주시 대신면에 본사 겸 물류센터를 운영 중이다. 특히, 2024년 상반기에는 소방합동훈련을, 하반기에는 자체 훈련을 실시하며 비상 대응 훈련 주기를 늘렸다. 또한, 물류센터 인근 지역 소방서와 연계하여 임직원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과 응급처치 교육을 진행했으며, 협력사 근로자들에게도 이러한 교육을 제공하여 안전 의식을 높였다. 무신사로지스틱스 관계자는 "평소 안전한 근무 환경 조성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 발생 시 임직원들이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훈련을 진
사고상황·설비 건전상태·비상발전·전력복구 등 대응조치 정의 후 실행 화재·침수·지진 등 긴급재난 시 SOP/EOP 자동 실행해 2차 피해 방지 중대재해처벌법이 상시 근로자 5인 이상의 모든 기업으로 확대 적용된 가운데, LS일렉트릭이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장 내 통합 위기관리와 사고 대응이 가능한 솔루션을 개발했다. LS일렉트릭은 전력, 공조, 기계, 건물 등 사업장 내 모든 인프라 설비에 대해 3D 디지털 트윈을 구현, 가상운전을 통해 위기를 관리하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중대재해솔루션 ‘CUBE(Connected Ubiquitous Block Enhancement) 스테이션’을 개발해 최근 자사 청주사업장에 구축했다고 밝혔다. CUBE 스테이션은 각종 장비에 따라 별도의 시스템과 인터페이스를 적용, 재난과 안전 관련 통합 데이터를 취득해 위기를 관리하는 솔루션이다. CUBE 스테이션은 초고압, 고압, 저압기기를 아우르는 전력 인프라와 UPS, STS(이중화전원시스템 ; Source Transfer Switch), 비상발전기 등 비상 장비를 모두 연결해 사고 상황, 설비의 건전상태, 비상발전, 정전 시 전력복구 등 다양한 대응 조치를 정의하고,
롯데정보통신이 지난 27일 금천구청, 금천소방서와 함께 '2023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참여해 재난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선진형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훈련이다. 이번 훈련에서는 사업장 재난 상황을 가정하고 사업장 전 직원이 대피훈련에 참여하는 등 민관이 연계해 대응하는 체계를 훈련했다. 서울 금천구에 본사를 두고 있는 롯데정보통신은 롯데그룹의 IT시스템뿐 아니라 공공, 금융, 민간, 글로벌 등 다양한 영역의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핵심시설로 24시간, 365일 상시 모니터링 및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 운영하고 있다. 특히 재난 및 화재 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자동 방재 및 이중화 시스템과 자위소방대를 구축하고 정기적으로 소방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롯데정보통신 관계자는 "사업장의 안전확보를 경영의 최우선 원칙으로 삼고 운영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민관이 서로 유기적으로 공조할 수 있는 비상대응체계를 공고히 하고 반복적이고 실질적인 훈련을 통해 재난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안전한 드론길로 혈액배송·국가시설 안전감시…실증사업 추진 안전한 드론길을 발굴하고 혈액배송, 재난대응, 시설물 안전관리 등 드론의 활용 범위를 넓히는 실증사업이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K-드론시스템’ 실증 공모사업에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공항공사, KT 등 7개 수행 사업자를 선정했다고 13일 밝혔다. ‘K-드론시스템’은 드론의 비행계획승인, 위치정보 모니터링, 주변 비행체와의 충돌방지 기능을 하는 드론교통관리시스템이다. 실증사업 수행자는 K-드론시스템 연구개발(R&D) 과제로 개발된 기술을 실생활 영역에 접목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사업 영역 확대를 위해 필수적인 교통관리체계 운영을 실증하게 된다. 이번 실증사업은 실제 사업화 가능성이 크고 안전 확보가 필요한 영역을 중심으로 ▲도심·비행로(한국국토정보공사) ▲공항·특수시설(한국공항공사·KT) ▲공공(한국수자원공사·한컴인스페이스) ▲민간(시스테크) ▲자유공모(해양드론기술) 등 5개 분야에서 진행한다. 공항·도심분야는 지난해에 이어 2회째로 조금 더 고도화된 기술검증을 진행하고 배송에 대해서는 이미 상용화된 해상 물품배송에 추가해 병원으로 혈액을 배송하는 비행실증 등이 추가된다. 도심·비행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울산에서 환경감시와 재난대응을 위한 자율무인시스템 연구가 시작된다. 첨단센서를 장착한 드론 등을 활용해 산업단지를 상시적이고 즉각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공해와 재난상황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UNIST는 9일 제5공학관(112동)에서 ‘환경감시 자율무인시스템 연구센터(센터장 장재성)’ 현판식을 개최했다. 연구센터는 이날 행사에 이어 대학중점연구소 산학연정위원회 워크숍을 열고 연구 협력을 위한 현안도 논의했다. 환경감시 자율무인시스템 연구센터는 지난 2020년 교육부 주관의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센터는 지원 사업을 통해 교육부와 울산광역시로부터 최대 9년 간 79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으며 인재육성과 기술개발을 진행한다. 연구센터는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개발, 이를 장착한 이동형 환경감시 시스템 구축, 자율운용이 가능한 스마트 무인항공기 구현,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정보공유 및 생화학 재난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장재성 센터장은 “산업의 고도화로 인해 대기오염물질의 발생과 환경재해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첨단 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