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적인 부품 인식 오류와 위치 오차, 픽업 실패 등 자동화 현장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소개하는 웨비나가 오는 7월 2일 수요일 오후 2시부터 온라인으로 열린다. 이번 웨비나는 제조 공정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핵심 문제에 대해 센서 및 비전 솔루션 전문 기업 센소파트(SensoPart)의 VISOR® 시리즈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해결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로봇 자동화에 적용되는 정밀 비전 센서 기술은 공정 효율화 및 품질 향상에 직결되는 요소로 자동화 엔지니어와 생산기술 실무자들의 높은 관심이 기대된다. 이번 웨비나는 △VISOR® 제품군 및 Robotic 제품 소개 △Z-축 인식을 통한 3D 위치 인식 기능 △디스태킹 공정 정의 및 사례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을 위한 실전 솔루션 등 총 4개의 주요 세션으로 진행된다. 특히 이번 웨비나에서는 로봇에 통합 가능한 VISOR® Robotic 제품을 중심으로 3D 위치 인식이 필요한 디스태킹 공정에 최적화된 VISOR® Robotic+Z 제품을 소개한다.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설명과 함께 현장 실무자들이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제 적용 사례와 노하
반복적인 부품 인식 오류와 위치 오차, 픽업 실패 등 자동화 현장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소개하는 웨비나가 오는 7월 2일 수요일 오후 2시부터 온라인으로 열린다. 이번 웨비나는 제조 공정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핵심 문제에 대해 센서 및 비전 솔루션 전문 기업 센소파트(SensoPart)의 VISOR® 시리즈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해결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로봇 자동화에 적용되는 정밀 비전 센서 기술은 공정 효율화 및 품질 향상에 직결되는 요소로 자동화 엔지니어와 생산기술 실무자들의 높은 관심이 기대된다. 이번 웨비나는 △VISOR® 제품군 및 Robotic 제품 소개 △Z-축 인식을 통한 3D 위치 인식 기능 △디스태킹 공정 정의 및 사례 △제조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을 위한 실전 솔루션 등 총 4개의 주요 세션으로 진행된다. 특히 이번 웨비나에서는 로봇에 통합 가능한 VISOR® Robotic 제품을 중심으로 3D 위치 인식이 필요한 디스태킹 공정에 최적화된 VISOR® Robotic+Z 제품을 소개한다.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설명과 함께 현장 실무자들이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제 적용 사례와 노하
한국요꼬가와가 오는 7월 7일부터 10일까지 고양 킨텍스에서 열리는 ‘국제안전보건전시회(KISS 2025)’에 참가해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에 대응하는 디지털 안전 솔루션을 대거 선보인다. 올해로 40주년을 맞는 KISS는 산업안전보건 분야의 대표 전시회로, 고용노동부가 후원하고 안전보건공단이 주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3만 5,000여 명의 산업안전 관계자가 참관할 예정이며, 300개 이상의 국내외 기업이 참가해 기술과 제품을 선보인다. 한국요꼬가와는 이번 전시에서 공정안전관리(PSM) 항목에 맞춘 디지털 종합 솔루션을 중심으로 구성된 부스를 운영한다. 전시 품목은 디지털 작업절차 관리 시스템, 설비안전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모바일 작업허가 시스템, 플랜트 현장 작업자 교육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기술은 실제 산업 현장 적용 사례를 기반으로 실효성과 현장 적합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요꼬가와는 수십 년간 축적한 자동화 및 운영 기술에 디지털 역량을 융합해 산업 현장의 안전 관리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 특히 중대재해처벌법 등 강화된 산업안전 규제에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맞춤형 전략이 돋보인다. 한국요꼬가와 관
지능형 로봇 자동화 기업 씨메스(CMES Inc.)가 국내 최대 물류 전문 전시회인 ‘국제물류산업대전 2025(KOREA MAT 2025)’에 참가해 대표 솔루션인 ‘랜덤 박스 팔레타이징’과 ‘오토배거 피스피킹’ 등 현장 중심형 물류 자동화 기술을 대거 선보인다. 이번 전시의 핵심은 ‘즉시 도입 가능한 로봇 자동화’다. 씨메스는 실제 제조 및 물류 현장에서 검증된 솔루션을 중심으로 별도 설비 변경 없이 빠르게 운영 가능한 자동화 시스템을 제시하며 업계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대표 전시 솔루션 중 하나인 ‘랜덤 박스 팔레타이징’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박스를 AI와 3D 비전 기반으로 실시간 인식 및 적재하는 기술이다. 기존 자동화 시스템이 동일 규격 박스만 다룰 수 있었다면 이 솔루션은 사전 정렬 없이도 다양한 상품을 안정적으로 한 팔레트에 적재할 수 있어 효율성을 대폭 높인다. 또 다른 주목 솔루션은 ‘오토배거 피스피킹’이다. 이는 무작위로 담긴 제품의 위치와 형태를 인식해 자동으로 집어 들고 지정된 위치로 이송한 뒤 포장까지 이어지는 전 과정을 자동화한 시스템이다. 로봇 피킹과 포장기(오토배거)를 통합해 기존 생산설비와 별도 연동 없이 즉시 운영 가능
메크마인드로보틱스(이하 메크마인드)는 AI 기반 3D 비전 솔루션을 통해 글로벌 자동화 시장을 혁신하는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로봇 가이던스와 검사 시스템을 통합하는 기술을 통해, 기존의 단순 자동화 시스템을 뛰어넘어 완전한 지능형 자동화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 한국 시장에 대한 전략도 적극적이다. 메크마인드 본사는 한국을 중요한 시장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최근 서울 지사 확장과 교육 센터 설립을 진행하기도 했다. 지난 12일부터 14일, 서울에서 열린 AW 2025 전시회 현장에 대형 부스를 마련한 것도 이러한 행보의 일환이었다. AW 2025 현장에서 메크마인드의 정명진 선임매니저를 직접 만나 메크마인드가 자동화 시장에서 어떤 차별점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향후 비전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봤다. Q. 메크마인드가 이번 AW 2025에서 중점적으로 소개한 솔루션은 무엇인가요? 메크마인드는 이번 전시회에서 두 가지 주요 제품을 선보였습니다. 첫 번째는 나노 울트라(Nano Ultra-GL)입니다. 이는 컴팩트한 크기와 높은 정밀도를 갖춘 3D 비전 솔루션으로 소형 제조 공정에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더벤처스가 베트남 AI 기반 고객 경험 관리(CXM) 플랫폼 Filum AI에 100만 달러(약 13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동남아 AI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이번 투자에서 더벤처스는 리드 투자자로 참여했으며 베트남 최대 기업 빈그룹 산하의 빈벤처스를 비롯한 다수의 전략적 투자자들도 동참했다. 베트남의 AI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고객 경험(CX) 혁신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AI 기반 자동화와 맞춤형 고객 대응 기술이 글로벌 기업들의 필수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Filum AI는 AI 에이전트 기반 자동화와 고객 맞춤형 인터랙션 기술을 통해 CXM 시장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더벤처스는 이번 투자를 통해 Filum AI의 기술력과 시장 확장성을 강화하고 동남아 CXM 시장 내 AI 도입 확대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Filum AI는 2020년 실리콘밸리와 베트남 출신 AI 및 디지털 전문가들이 설립한 스타트업으로 AI 기술을 활용해 기업의 고객 경험을 혁신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I 기반 맞춤형 인터랙션 ▲고객 여정 분석 및 자동화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고객 응대 등 CX 전반을 최적화하는 기술을
제이엔제이테크(JNJ Tech)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성능 이오나이저 및 정전기 제거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제이엔제이테크는 이번 전시에서 최고의 이온 밸런스를 유지하며 빠르고 균일한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밀도 이온바를 중심으로 정전기 제어 솔루션을 공개했다. 정전기 제거 장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 부품, 정밀 기계 산업 등에서 필수적인 설비로 불량률을 낮추고 공정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핵심 솔루션이다. 제이엔제이테크의 이오나이저는 2만 시간 이상 청소 관리 없이 사용 가능하며 방전침 수명이 5년 이상 지속되는 높은 내구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특히, 자기진단 기능과 원격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실시간으로 이온 발생 상태를 점검할 수 있으며 정전기 제거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기능도
한강에프에이(Hangang FA)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정밀 유성감속기(SPX-B, KPX-B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한강에프에이는 높은 정밀도와 안정성을 갖춘 SPX-B, KPX-B 시리즈 유성감속기를 전시하며 스마트팩토리 및 정밀 자동화 설비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시했다. 유성감속기는 로봇, CNC 장비, 산업용 자동화 시스템 등에서 정밀한 구동을 지원하는 핵심 부품으로 고효율·저소음 설계가 특징이다. SPX-B, KPX-B 시리즈는 고효율 구동 및 저소음 제어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최적화된 관성 모멘트를 제공하여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전체 서비스에 대해 무상 유지보수를 제공하며 고객 맞춤형 옵션을 지원한다. 한편,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아톰로봇코리아(Atomrobot Korea)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델타 로봇(D3 Series)과 MD20 시리즈 박스 팔레타이저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아톰로봇코리아는 이번 전시에서 고속·고정밀 델타 로봇과 효율적인 물류 적재 자동화를 위한 팔레타이저 솔루션을 공개하며, 제조업 및 물류 산업에서의 혁신적인 자동화 가능성을 제시했다. D3 시리즈 델타 로봇은 검증된 설계의 고속 병렬 로봇 구조를 채택해 X, Y, Z축의 3차원 공간 이동 및 Z축 회전을 지원하는 자동화 솔루션이다. 고정밀 머신 비전 시스템을 장착해 식품 및 제약 산업과 같은 고속 생산 작업에 적합하며 가벼운 소형 부품 또는 무작위 재료의 조립, 이송, 분류 작업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MD20 시리즈 박스 팔레타이저는 고효율 적재 및 이송 작업을 위해 설계
버넥트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Automation World 2025, AW 2025)’에 참가해 스마트 제조를 위한 자동화 솔루션을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버넥트는 이번 전시에서 로봇 기반 자동 위험 감지 시스템과 AI 기반 게이지 인식 기술을 핵심적으로 소개했다. 제조업의 디지털 혁신을 앞당길 스마트 공장 솔루션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데모와 시연을 준비했다. 특히, CES 2025 혁신상을 수상한 ‘VisionX’도 공개됐다. 모델 솔루션과 공동 개발한 이 AI 스마트 보안경은 산업 현장에서 실시간 데이터 분석과 작업자 지원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버넥트의 로봇 기반 자동 위험 감지 시스템은 제조 현장을 순찰하며 작업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위험 요소를 자동으로 탐지하는 AI 솔루션이다. 작업자의 쓰러짐 감지, 안전 장비 미착용 여부 판
글로벌 풀필먼트 솔루션 기업 오토스토어가 AI 기반 자동화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물류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번 솔루션은 주문 피킹 자동화, 운영 효율성 향상, 유지보수 간소화를 목표로 캐러셀AI™, 베르사포트, 에센셜 소프트웨어 패키지, 확장된 피오 제품군, 서비스타워 등 총 5가지 기술로 구성된 점이 특징이다. 캐러셀AI™는 오토스토어가 처음 선보이는 AI 기반 로봇 피스 피킹 솔루션으로 로보틱스 기술 선도기업 버크셔 그레이(Berkshire Grey)와 협력하여 개발되었다. 이 솔루션은 주문 피킹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연중무휴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며 다양한 SKU를 효율적으로 처리해 풀필먼트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기존 오토스토어 고객은 대규모 인프라 변경 없이 캐러셀AI™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으며 올해 여름부터 글로벌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베르사포트(VersaPort™)는 물류창고 운영의 유연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워크스테이션 솔루션이다. 다양한 워크플로우와 고객의 운영 요구 사항에 맞춰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창고 관리 소프트웨어(WMS)와 직접 연동해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작업을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다. 2025년 여름 유럽 및 북미 시장
인아그룹의 3개 계열사(인아오리엔탈모터, 인아텍앤코포, 인아엠씨티)가 오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AW 2025(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한다. ‘AW 2025’는 산업 변화와 트렌드에 발맞춰 최신 기술과 시스템, 혁신적인 솔루션을 선보이는 전시회로,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 한국머신비전산업전이 통합 개최된다. 인아그룹은 이 가운데 산업 자동화를 위한 혁신적인 제품과 솔루션이 총집합하는 ‘제35회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에 참여한다. 이번 전시에서 인아그룹은 ‘FIND THE NEXT Solution = INA’를 콘셉트로, 고객의 자동화 니즈에 맞춘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인아오리엔탈모터는 신제품 소형 로봇 OVR을 위한 ‘OVR Zone’을 구성한다. OVR은 αSTEP AZ Series 모터를 적용한 소형 로봇으로, 로봇 컨트롤러 MRC01을 통해 간편한 설정 및 제어가 가능하다.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시에서는 MRC01을 적용한 SCARA, DELTA, 6축 다관절 로봇을 선보인다. 이 외에도 △공
필츠코리아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배터리 제조 및 장비 산업의 안전성과 규정 준수를 위한 최신 솔루션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된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았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필츠코리아는 기계 안전 및 자동화 솔루션을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기업으로, 전 세계 산업 현장에서 안전성과 규정 준수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기업들은 필츠코리아의 솔루션을 통해 기계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최신 규정을 준수할 수 있다. 필츠코리아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솔루션은 DRA-FAT-SAT 프로세스, Machinery Regulation(MR), Security 및 Machine Safety Evaluation(MSE), International Compliance 등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DRA-FAT-SAT 프로세스는 설계 단계의 위험 평가(DRA), 공장 수락 시험(FAT 및 SAT)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배터리 장비의 안전성을
비앤비테크놀러지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공압 비례 밸브 솔루션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비앤비테크놀러지는 1995년 창립 이래 압력제어 기술과 공압비례밸브, 공압서보밸브 분야에서 신기술과 신제품을 선보여왔다. 반도체, IT, 자동차 제조 및 부품, 타이어, 식품, 섬유, 시험기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공압비례밸브 및 서보밸브 제품을 국내 특허를 기반으로 높은 정밀도와 반복성을 갖춘 자체 생산 제품으로 확보했다. Electro-Pneumatic Proportion&Servo MECA 기술을 기반으로 솔루션 고도화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다. 비앤비테크놀러지는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PSV1 공압 비례 밸브는 정밀한 압력 제어와 높은 응답성을 갖춘 자동화 솔루션이다. 아날로그 명령값(010V, 420mA) 및 RS485 통신을 지원하며 출력 압력의 아날로그 및
한국체인모터가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자동화솔루션 모토바리오 감속기 제품군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는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한국체인모터는 1989년 설립 이후 전문성을 바탕으로 동력전달 장치와 자동화 핵심 부품을 공급했다. 현재 30여 개의 국내외 브랜드와 협력해 SERVO SYSTEM, 고·저압 전동기, 기어모터, 중·대형 기어박스, BALL SCREW, LINEAR GUIDE, 고·저압 인버터 등 다양한 자동화 부품을 제공하고 있다. 이 부품들은 2차전지 설비, 물류 장비, 수처리 장비, 포장 기계,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이탈리아 모토바리오와 대리점 계약을 맺고 웜 감속기, 헬리컬 감속기, 프리미엄 전동기 등 고품질 제품을 국내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한국체인모터가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모토바리오의 헬리컬베벨 감속기는 낮은 백래쉬, 고효율, 고강성, 고토크 성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