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하유는 뷰티 브랜드 토니모리에 ‘몬스터’ 역량검사 솔루션을 공급했다고 3일 밝혔다. 몬스터는 AI 면접과 AI 역량검사로 구성된 국내 최초 대화형 AI 채용 서비스로, 토니모리는 이 가운데 역량검사 기능을 도입했다. 토니모리는 글로벌 시장 확장에 따라 적합한 인재 채용을 위해 1차 면접 통과자를 대상으로 역량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원자의 성향과 역량을 객관적으로 검증해 최종 채용 단계까지 반영하고 있다. 해당 역량검사는 심리학 기반 문항을 통해 지원자의 인성, 메타인지, 직무 매칭률, 부적응 가능성 등을 종합 진단한다. 특히 조직 내 부적응 유형을 갈등 유발, 불성실 근무, 조기 퇴사 가능성으로 나눠 분석하며, 최종 결과는 양호·주의·위험 3단계 등급으로 제공된다. 최근 기업에서는 조직·직무 적합성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AI를 활용해 지원자의 성향과 역량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고 고성과자와 비교해 맞춤형 인재를 채용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무하유는 AI 서류 평가 서비스 ‘프리즘’, AI 면접·역량검사 서비스 ‘몬스터’를 통해 약 700여 개 기업에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신동호 무하유 대표는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는 토니모리와 같은
무하유가 AI 면접·역량검사 솔루션 '몬스터'의 역량검사 기능을 업데이트했다고 10일 밝혔다. 몬스터 역량검사는 심리학에 입각한 문항을 엄격히 선별한 후, 지원자 역량 수준을 파악한다. 인성, 메타인지, 직무매칭률, 직무의지, 부적응 가능성, 직업 가치관 등을 종합 진단하는 문항들로 구성됐다. 검사 타당화가 진행된 논문의 케이스를 참고해 문항을 설계함으로써 이론적·통계적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보했다. 실제 업무 현장에서 만날 수 있는 현실적인 부적응 행위를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조직 부적응 가능성을 파악하는 기준이 더욱 세분화됐다. 기존에는 자기과시, 냉담·비정함, 반사회성과 같은 항목으로 결과가 제공됐지만 권위주의적 태도나 뒷담화 가능성 등 입사 후에 어떻게 행동할지 예측할 수 있도록 평가 기준을 구체화했다. 몬스터 역량검사는 조직 내 문제를 일으키는 부적응 유형을 갈등 유발 가능성, 불성실 근무 가능성, 조기 퇴사 가능성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갈등 유발 가능성은 권위주의적 태도·분노조절장애·뒷담화·권모술수 등의 세부 요소를 평가하며, 불성실 근무 가능성은 조용한 퇴사 및 무임승차와 같은 행동을 파악한다. 3개 진단 영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