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즈포스가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6500명의 서비스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글로벌 서비스 트렌드 보고서(State of Service Report)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약 30%의 고객 문의가 AI로 처리되고 있으며 2027년에는 AI 에이전트 활용이 가속화됨에 따라 50%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해당 조사에 답한 고객 서비스 전문가의 69%는 최소 하나 이상의 AI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 가운데 39%는 AI 에이전트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고객 서비스 전문가들이 AI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분야는 ▲지식 문서 검색 ▲고객 FAQ ▲인력 관리 ▲서비스 담당자·기술자 교육 ▲지식 콘텐츠 생성 순이었다. 또한 한국 응답자의 약 89%는 AI가 기업의 고객 서비스 향상에 기여한다고 답했으며, 82%는 복잡한 사례를 AI와 함께 처리할 때 가장 효과적이라고 응답했다. AI 도입에 따른 조직 성과 개선 영역도 주목을 받았다. 글로벌 서비스 담당자들은 AI가 도입될 경우 기존 고객에게 추가 제품·서비스를 제안하는 업셀(upsell) 매출이 평균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고객 만족도(20%) 향상, 고객
유아이패스는 형원준 신임 지사장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는 국내 기업들이 AI 파일럿을 넘어 핵심 비즈니스 워크플로우 전반에 에이전틱 자동화를 확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유아이패스의 전략적 행보다. 형원준 지사장은 S&I코퍼레이션, 두산그룹, SAP코리아, 삼성전자 등 국내외 주요 기업에서 30여 년간 디지털 혁신을 주도해온 전문가다. 최근까지 S&I코퍼레이션 대표이사로 재직했으며, 그 이전에는 두산그룹 최고디지털책임자와 SAP코리아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두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과 디지털 전환을 이끌었다. 마크 깁스 유아이패스 국제 부문 사장은 “형원준 지사장은 엔터프라이즈 프로세스 혁신과 디지털 전환에 대한 깊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유아이패스의 다음 단계 성장을 이끌 최적의 리더”라며 “기술을 통해 기업 혁신을 추진해온 검증된 성과와 글로벌 모범 사례, 그리고 현지 시장에 대한 깊은 이해를 겸비해 한국 기업들이 에이전틱 자동화를 통해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전 세계 기업들이 AI 파일럿을 넘어 측정 가능한 비즈니스 성과를 요구하는 시점에서, 형원준 지사장이 이끌어온 종합적인
마이크로소프트가 현지시간 18일 마이크로소프트 이그나이트 2025를 개최하고 AI 중심의 프론티어 기업 도약을 이끌 신규 기술과 업데이트를 대거 공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기획부터 구축, 운영, 배포까지 ‘AI 라이프사이클’ 전 과정을 아우르는 전략과 제품을 선보였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는 AI 기능을 구동하는 데이터센터부터 이를 사용하는 개인과 조직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에서 AI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조직이 더욱 책임감 있고 현명하게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조직이 AI를 활용해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함으로써, 차세대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프론티어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주요 발표에는 업무 데이터와 조직 지식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지능 레이어인 업무 IQ(Work IQ),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데이터를 연결하는 패브릭 IQ(Fabric IQ), AI 에이전트를 위한 관리형 지식 시스템 파운드리 IQ(Foundry IQ)가 포함됐다. 이와 함께 조직이 에이전트 IQ 레이어를 통합해 자체 에이전트를 손쉽게 설계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에이전트 팩토리(Agent Factory), 다양한 플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는 SAP와의 협력을 통해 기업이 스노우플레이크 AI 데이터 클라우드와 SAP 비즈니스 데이터 클라우드(Business Data Cloud, 이하 BDC)의 시맨틱 데이터를 통합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데이터 복제 없이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공유하며, 엔터프라이즈급 AI 애플리케이션 구축과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 솔루션 ‘SAP 스노우플레이크(SAP Snowflake)’를 선보였다. 해당 솔루션은 SAP의 비즈니스 데이터 전문성과 스노우플레이크의 AI·ML 역량을 결합한 것으로, 2026년 1분기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SAP 스노우플레이크는 SAP BDC의 개방형 데이터 생태계와 스노우플레이크의 AI 데이터 클라우드를 통합하여, 기업에게 데이터 활용의 개방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이를 통해 SAP 환경 내에서도 스노우플레이크의 분석, 데이터 엔지니어링, 협업, 마켓플레이스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규모의 컴퓨팅 및 스토리지 확장을 통해 데이터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양사의 통합 플랫폼을 활용하면 기업은 실시간 비즈니스 인사
퓨어스토리지가 시스코, 엔비디아와 함께 기업용 생성형 AI 구현을 위한 통합 인프라를 제시했다. 퓨어스토리지는 시스코와 공동으로 ‘플래시스택 시스코 인증 디자인(FlashStack Cisco Validated Design, CVD)’을 발표하며, 엔비디아와 시스코가 공동 개발한 ‘시스코 시큐어 AI 팩토리(Cisco Secure AI Factory)’의 핵심 모듈인 AI 파드(AI PODs) 컬렉션에 새롭게 추가됐다. 이번 협력은 컴퓨트, 스토리지, 네트워킹, 소프트웨어를 하나로 통합한 프로덕션급 플랫폼을 통해, 기업이 파일럿 수준의 AI 프로젝트를 실제 운영 단계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퓨어스토리지의 마치에이 크란츠 엔터프라이즈 총괄 매니저는 “많은 기업이 GPU나 컴퓨팅 성능에 집중하지만,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없이는 모델이 잠재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없다”며 “시스코 및 엔비디아와의 협업은 이러한 데이터 장벽을 제거해 고객이 AI를 운영화하는 데 필요한 성능, 단순성, 효율성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시스코의 제레미 포스터 수석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는 “이번에 선보인 새로운 플래시스택 CVD는 단순히 하드웨어를 검증하는 수준을 넘어, RAG의
줌 커뮤니케이션스가 엔비디아(NVIDIA)와 협력해 맞춤형 엔터프라이즈 AI 시대를 연다. 양사는 생성형 AI 성능 강화와 기업 맞춤형 AI 기능 확장을 목표로 협력을 강화하고, 줌의 ‘AI 컴패니언(AI Companion)’ 서비스 전반을 고도화한다. 줌은 연합형 AI 아키텍처(Federated AI Architecture)에 엔비디아의 오픈 모델 기술인 ‘네모트론(Nemotron)’을 도입하며 ‘AI 컴패니언 3.0’의 활용 범위를 금융, 의료, 공공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대했다. 이 구조는 빠른 응답이 필요한 작업에는 자체 소규모 언어모델(SLM)을, 복잡한 문제 해결에는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업무 특성에 따른 최적의 성능을 제공한다. 줌의 AI 프레임워크는 각 업무에 적합한 모델을 지능적으로 선택해 실행하는 구조로 설계됐다. 이를 통해 엔비디아의 고성능 GPU 인프라와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고객의 비용 부담을 줄였다. 이번 협업에는 엔비디아 오픈 모델 ‘네모트론’을 기반으로, 생성형 AI 개발 도구 ‘네모(NeMo)’를 활용해 설계된 줌의 490억 파라미터 규모 대형 언어모델
구글 클라우드가 기업용 AI 플랫폼 '제미나이 엔터프라이즈(Gemini Enterprise)'를 공개했다. 이번 발표는 전 세계 모든 임직원이 하나의 인터페이스에서 AI를 활용해 업무 효율과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의 출범을 의미한다. 제미나이 엔터프라이즈는 직관적인 제미나이 채팅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6가지 핵심 기능을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해 제공한다. 구글의 최신 제미나이 모델이 플랫폼의 두뇌 역할을 수행하며 노코드 워크벤치(no-code workbench)를 통해 모든 부서의 직원이 복잡한 코딩 없이 데이터 분석, 에이전트 구성, 프로세스 자동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도입 초기부터 기업이 실질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심층 연구와 데이터 분석을 지원하는 구글의 사전 구축형 에이전트 태스크포스가 함께 제공된다. 제미나이 엔터프라이즈는 구글 워크스페이스(Google Workspace), 마이크로소프트 365(Microsoft 365), 세일즈포스(Salesforce), SAP 등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 안전하게 연결된다. 이를 통해 AI 에이전트는 풍부한 비즈니스 컨텍스트를 바탕으로 더욱 정교한 인사이트를 제공
SAP가 지난 6일부터 3일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새롭게 선보인 연례행사 ‘SAP 커넥트(SAP Connect)’를 개최해 AI 기반 비즈니스 스위트의 차세대 혁신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는 ‘AI,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의 결합이 만드는 비즈니스 혁신’을 주제로, 역할 기반 AI 어시스턴트 네트워크 ‘쥴(Joule)’의 진화와 데이터 통합 생태계, 공급망 리스크 대응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SAP 제품 엔지니어링 총괄 및 이사회 임원 무하마드 알람(Muhammad Alam)은 “불확실성이 일상이 된 시대에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최고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단순히 조합하는 것 이상의 접근이 필요하다”며 “AI,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의 결합은 더 나은 의사결정과 빠른 실행, 그리고 확장 가능한 혁신을 가능하게 한다”고 말했다. SAP는 이번 행사에서 사람과 협력하는 AI의 새로운 단계로 진화한 ‘쥴’의 역할 기반 어시스턴트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스위트를 재정의했다. 각 어시스턴트는 특정 업무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과 협력하도록 설계돼 전문 에이전트 팀을 구성·조율하며 생산성과 인사이트를 극대화한다. 예를 들어, 피플 매니저 어시스턴트(People Manager Ass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가 금융 산업을 위한 ‘금융 특화 코텍스 AI(Cortex AI for Financial Services)’를 출시했다. 이를 통해 금융 기관들은 높은 수준의 보안과 규제 준수를 유지하면서도 AI 모델, 애플리케이션, 에이전트를 활용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금융 특화 코텍스 AI는 시장 분석, 리스크 관리, 이상 거래 탐지, 고객 지원, 보험 청구 관리 등 다양한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고 효율화할 수 있는 기업용 AI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금융 기관은 업무 시간을 절감하고 운영비를 낮추며, 신속하고 정확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다. 스노우플레이크는 또한 산업 전반에서 활용 가능한 관리형 ‘MCP 서버(Model Context Protocol Server)’를 퍼블릭 프리뷰로 선보였다. MCP 서버는 기업 내부의 민감한 데이터를 스노우플레이크 환경 내에서 안전하게 관리하며, 앤트로픽, 크루AI, 세일즈포스 등 주요 에이전트 플랫폼과 연결해 풍부한 컨텍스트를 갖춘 AI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외부 데이터와 내부 데이터를 분리·보호하면서도 상호 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웃시스템즈(OutSystems)가 1일 ‘아웃시스템즈 에이전트 워크벤치(Agent Workbench)’를 정식 출시했다. 이번 플랫폼은 기업이 AI 및 에이전틱 시스템의 비즈니스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부서·데이터·워크플로우 전반에서 지능형 AI 에이전트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정식 출시 전 진행된 얼리 액세스 프로그램(Early Access Program, EAP)에는 악소스 뱅크(Axos Bank),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 아치 컴퍼니(The Arch Company), 그리훔 하우징 파이낸스(Grihum Housing Finance), 팀워크(TeamWork) 등 글로벌 기업이 참여했다. 이들은 운영 효율성 제고, AI 도입 가치 실현 속도 향상, 고객·직원 경험 개선에서 성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케빈 헌 악소스 뱅크 소비자 뱅킹 개발 총괄 수석부사장은 “에이전트 워크벤치를 통해 오류 로그 분석이나 문서 기반 데이터 입력 자동화 등 다양한 사례에서 필요한 에이전트를 빠르고 안전하게 구축할 수 있었다”며 “이는 미래 금융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지능적이고 민첩한 뱅킹 생태계를
데이터브릭스가 오픈AI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글로벌 기업에 프론티어 AI를 제공한다. 데이터브릭스는 26일 오픈AI와 다년간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데이터브릭스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Data Intelligence Platform)과 자사 AI 제품인 에이전트 브릭스(Agent Bricks)에 오픈AI 모델을 네이티브로 통합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업 규모는 1억 달러(약 1천4백억 원)로, 데이터브릭스를 사용하는 전 세계 2만여 고객사 모두가 오픈AI 모델을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협력을 통해 기업은 데이터브릭스 에이전트 브릭스를 기반으로 오픈AI 최신 모델 GPT-5를 프로덕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GPT-5는 코딩, 수학, 글쓰기, 추론 전반에서 최고 성능을 제공하는 모델로 고객사는 자사 거버넌스 데이터와 결합해 고품질 AI 애플리케이션과 에이전트를 개발, 평가, 확장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이동 없이 기존 데이터 환경에서 즉시 활용 가능하다는 점이 차별점이다. 기업들은 데이터 분석과 실행, 복잡한 워크플로우 자동화, 보안과 거버넌스 기준 충족 등 다양한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 데이터브릭스는 오픈AI 모델
AMD가 보안 중심 엔터프라이즈 AI 기업 코히어(Cohere)와 글로벌 협력을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력 강화로 코히어 고객들은 ‘커맨드 A(Command A)’, ‘커맨드 A 비전’, ‘커맨드 A 번역 모델’, ‘노스(North)’ 등 주요 AI 제품군을 AMD 인스팅트(Instinct) GPU 기반 인프라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 세계 기업과 소버린 AI 프로젝트는 성능과 총 소유 비용(TCO) 측면에서 더 많은 선택지를 확보하게 된다. AMD는 코히어의 노스 플랫폼을 자사 내부 엔터프라이즈 AI 포트폴리오에 통합할 계획도 밝혔다. 이에 따라 코히어의 기술은 AMD 내부와 엔지니어링 AI 워크로드에서 핵심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닉 프로스트 코히어 공동 설립자는 “AMD 인스팅트 GPU에서 코히어 모델과 노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협력 관계가 한층 확대됐다”며 “공공과 민간 고객들이 우리의 보안 최적화 AI 제품군을 AMD 인프라에서 실행하면 훨씬 더 큰 유연성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AMD는 AI 인프라를 통해 매력적인 TCO를 제공하기 때문에 전 세계 소버린 AI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선택지가 될 것”이라고 덧붙
디노도테크놀로지(디노도)가 인공지능(AI) 혁신을 지원하는 ‘디노도 딥쿼리(Denodo DeepQuery)’ 기능을 탑재한 ‘디노도 플랫폼(Denodo Platform) 9.3’을 출시했다. 딥쿼리는 단순 질의응답을 넘어 복잡하고 분석적인 질문에 대한 답변과 추론 과정을 설명하는 딥 리서치 기능이다. 오늘날 AI는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답변하는 챗봇이나 상황에 따라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AI 에이전트 등 운영 환경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분산된 대규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면서 보안·규제 준수와 비용 절감을 동시에 달성해야 한다. 그러나 MIT 조사에 따르면 AI 프로젝트의 95%는 투자 수익을 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급변하는 운영 환경을 뒷받침할 데이터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디노도 플랫폼 9.3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목표로 다양한 기능을 강화했다. 구체화된 뷰(Materialized Views)와 데이터 캐시가 스키마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AI 애플리케이션이 끊임없이 변하는 메타데이터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동적 접근 제어 기능으로는 변화가 잦은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요건에 민첩하게
솔트룩스가 미국 법인을 통해 선보인 AI 에이전트 서비스 ‘구버(GooVa)’가 출시 3개월 만에 글로벌 이용자 100만 명을 확보하며 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AI 검색, 자동 브리핑, 리포트 생성 등 차별화된 기능을 앞세운 구버는 개인 투자자, 연구자, 기업 관계자 등 다양한 사용자층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구버의 주요 기능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된다. 사용자가 질문하면 최적화된 답변과 함께 출처를 제공하는 ‘에스크 구버’, 관심 주제에 관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요약하는 ‘브리핑 에이전트’, 단 3분 만에 완성되는 ‘AI 리포트’, 그리고 AI 보이스를 기반으로 한 ‘팟캐스트’ 서비스가 그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단순 정보 검색을 넘어 맞춤형 정보 소비와 콘텐츠 생산을 동시에 지원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했다. 특히 구버는 세계 최고 수준의 추론 모델을 기반으로 한 딥 리서치와 심층 리포트 생성 기능을 제공한다. 복잡한 데이터 분석이나 심층적인 인사이트가 필요한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연구자와 개인 투자자, 벤처캐피털 투자심사역에게도 주목받고 있다. 솔트룩스는 기업 고객을 위한 온프레미스 버전 ‘구버 엔터프라이즈’도 선보였다.
코난테크놀로지가 개발한 고성능 검색증강생성(RAG) 솔루션 ‘코난 RAG-X’가 지난달 GS인증 1등급을 획득하며 시장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 GS인증 1등급은 국가 표준에 따라 공인 시험기관의 엄격한 품질 검증을 통과한 소프트웨어에 부여되는 최고 등급으로, 인증 제품은 조달청 우선 구매 대상으로 지정된다. 이번 성과로 코난테크놀로지는 공공 및 국방 분야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낼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코난 RAG-X’는 코난테크놀로지가 지난 2월 자체 개발해 선보인 RAG 솔루션으로, 다년간의 검색 기술 노하우와 정밀한 벡터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한다. 특정 소스에서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아내고, 이를 생성형 AI와 결합해 신뢰성 있는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기업 내부 문서, 기존 레거시 시스템, 실시간 외부 웹사이트, 공공기관 자료 등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연동할 수 있어 웹 기반 검색에 한정된 다른 솔루션과 차별화된다. 이 솔루션은 내부 민감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외부 최신 정보와 결합해 답변을 생성하기 때문에 보안성과 최신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산업 현장에 적합하다. 생성형 AI 도입이 확산되면서 기업들은 최신 정보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