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전문기업 포티투마루(42Maru, 대표 김동환)가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부대행사인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컨퍼런스’에서 기후테크와 인공지능의 접목 가능성을 제시했다. 김동환 대표는 ‘ClimateTech @The Age of Agentic AI’를 주제로 발제에 나서, 생성형 AI의 진화 흐름과 기후산업이 나아가야 할 지속가능한 전략을 강조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주최한 자리로, 국내외 산학연 및 글로벌 전문가 150여 명이 참석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AI의 활용 방안을 논의했다. 김 대표는 알파고의 등장부터 초거대 언어모델(ChatGPT), 최근 주목받는 에이전틱 AI(Agentic AI)와 피지컬 AI(Physical AI)에 이르는 AI 기술의 발전 단계를 짚으며, 기후위기 대응에 AI가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조망했다. 특히 그는 기후 변화 완화와 적응을 지원할 기후테크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방향을 제안하며 산업계의 전략적 접근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세션에는 김 대표 외에도 블룸버그NEF 아시아태평양 대표 알리 이자디, 삼성물산 정기석 상무가 발제를
혜움이 자사의 AI 에이전트 ‘알프레드’를 경영지원 보고서 서비스 ‘알프레드 레포트’의 홈 화면 전면에 배치하며 에이전트 중심 서비스로의 전환을 본격화했다. 기존에는 홈페이지 우측 하단 아이콘으로 제공되던 알프레드가 이제 홈 화면 메인에 자리 잡으면서, 사용자는 사이트 접속과 동시에 자연어 대화 방식으로 업무를 시작할 수 있다. 복잡한 메뉴 탐색이나 기능 학습이 필요하지 않고, 단순히 질문이나 요청만으로 즉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높아졌다는 평가다. 알프레드는 기업의 경리, 급여, 세무 등 다양한 금융 업무를 통합 관리하는 비서형 에이전트다. 특히 경영지원 보고서 서비스인 ‘알프레드 레포트’와 연동돼 있어, 의사결정에 필요한 재무 지표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주요 기능으로는 재무 데이터를 손쉽게 확인하는 정보 조회, 데이터를 조합해 복합적인 분석 결과를 얻는 정보 처리, 세무·노무 등 전문가 수준의 답변 제공, 증명서와 계산서 발급 같은 업무 실행 기능이 포함돼 있다. 즉, 사업자는 채팅만으로 다양한 금융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셈이다. 옥형석 혜움 대표는 “이번 업데이트는 알프레드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사용자의 업무 출발점이자 대화
크라우드웍스가 9월 3일부터 5일까지 서울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1회 산업AI 엑스포’에 참가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산업 전반에서 AI 활용을 본격 확대하고, 현장 맞춤형 AI 솔루션을 선보이며 시장 공략에 나선다. 올해 처음 열리는 산업AI 엑스포는 산업별 난제를 해결하는 버티컬 AI의 최신 동향과 솔루션을 다루는 국내 최초의 산업 AI 전문 전시회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생산성본부, 대한상공회의소 등 주요 기관과 단체가 공동으로 주관한다. 크라우드웍스는 이번 전시에서 자사의 에이전틱 AI 도입 솔루션 ‘Alpy(알피)’를 기반으로 구축한 산업 맞춤형 AI 에이전트 사례를 선보인다. 이를 통해 실제 제조, 물류,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AI 활용 전략을 제시할 계획이다. 특히 전시 부스에는 산업별 AI 도입을 위한 상담 공간과 AI 에이전트 핵심 솔루션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데모존이 마련된다. 또한, 부대행사로 진행되는 ‘AI Tech 세미나’에서 크라우드웍스 양수열 최고기술책임자(CTO)가 강연을 맡는다. 9월 4일 오전
오라클이 엑사스케일 인프라스트럭처 기반의 ‘오라클 글로벌 분산형 엑사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정식 출시하며 글로벌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이 서비스는 전 세계 OCI 리전에 걸쳐 데이터를 자동 배포·저장·동기화해 리전 장애 시에도 무중단 운영을 지원하며, 데이터 레지던시 규제를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신규 서비스는 하이퍼스케일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복잡한 설정 없이 워크로드 변화에 따라 자동 확장·축소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에이전틱 AI, 실시간 데이터 분석, 대규모 트랜잭션 등 고성능 워크로드를 실행하는 기업은 상시 가동 환경, 비용 절감, 운영 간소화, 글로벌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오라클은 이 서비스가 고성능, 미션 크리티컬 가용성, 데이터 레지던시,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췄다고 밝혔다. RAFT 복제를 활용한 다중 데이터센터 액티브-액티브-액티브 아키텍처로 결제 처리, 전자상거래, 주식 거래와 같은 핵심 서비스에 필요한 극도의 가용성을 보장한다. 또한 데이터는 자동화된 배포 정책에 따라 각국 OCI 데이터센터에 배치돼 금융·의료 등 규제 산업의 요건을 충족한다. 이 서비스는 페타바이트 규모의
센드버드가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와 전략적 협력 협약(SCA·Strategic Collaboration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센드버드는 AI 에이전트 역량을 확대하고 AWS와의 공동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특히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을 통한 아마존 노바(Amazon Nova) AI 모델 도입 등 AWS 기술 통합을 강화한다. 센드버드는 AWS 마켓플레이스의 신규 ‘AI 에이전트 및 도구(AI Agents and Tools)’ 카테고리 런칭 파트너로 참여해 자사 AI 에이전트를 디지털 카탈로그를 통해 제공 중이다. 회사 측은 이를 계기로 에이전틱(AI Agentic) AI 분야에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Gartner)는 2029년까지 에이전틱 AI가 고객 서비스 문의의 80%를 자율적으로 처리할 것으로 전망한다. 고객은 더 신속하고 지능적인 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기업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 경쟁을 벌이고 있다. 센드버드는 매달 70억 건 이상의 대화를 처리하며 관련 시장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포티투닷(42dot)이 미래차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총 5003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한다. 이번 자금 조달은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기술 고도화, 에이전틱 AI와 GPU 인프라 투자, 글로벌 핵심 인재 확보 등 중장기 성장 전략의 일환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의 글로벌 소프트웨어 센터 역할을 수행하는 포티투닷은 차량 운영체제 ‘Pleos Vehicle OS’, 자율주행 AI ‘Atria AI’,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Pleos Connect’, 에이전틱 AI ‘Gleo AI’, 차량·플릿 데이터 AI ‘Capora AI’ 등 핵심 SDV 기술을 개발해 왔다. 이들 기술은 지난 3월 열린 기술 컨퍼런스 ‘Pleos 25’를 통해 공개되며 성과를 입증했다. 포티투닷은 풀 스택 SDV 솔루션과 팹리스 OEM 모델을 기반으로, SDV 차량의 콘셉트 설계부터 검증, 양산차 적용까지 아우르는 엔드 투 엔드(End-to-End) 개발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글로벌 SDV 전환을 선도하는 동시에, 현대자동차그룹의 SDV 로드맵에도 핵심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회사는 2026년 SDV 페이스 카 개발을 시작으로, 2027년에는 양산차에 해당 기
국내 기업 10곳 중 9곳이 향후 1년 내 AI 에이전트를 도입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자동화 솔루션 기업 유아이패스(UiPath)는 최근 IDC에 의뢰한 인포브리프 ‘에이전틱 자동화: 오늘날 기업을 위한 유기적 오케스트레이션 구현’으로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약 24%는 이미 에이전틱 AI를 도입했으며 67%는 향후 12개월 이내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에이전트 기반 기술은 단순 시범 운영을 넘어 도입 확산 국면에 접어들었으며 특히 2025년은 기업 AI 도입 전략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도입 목적은 복잡한 업무의 효율적 처리, 생산성 향상, 경쟁력 확보로 나타났다. 에이전틱 AI는 기업 내 복잡한 업무를 자동화하고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기술로 RPA(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와 결합해 에이전틱 자동화로 발전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이 주목하는 활용 분야는 고객 지원(63%), 생산성 향상(54%), 리스크 관리 및 이상 탐지(50%) 등이다. 특히 금융·운송·교육 산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본격적인 확산을 가로막는 과제도 존재한다. 양질의 학습 데
크라우드웍스가 한국투자증권의 사내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 사업을 수주하며 금융권 AI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AI 에이전트 개발부터 통합 인프라 운영, 보안 설계까지 아우르는 대규모 구축 사업으로, 생성형 AI 기술을 실무에 적용하려는 금융권의 흐름을 반영한 사례다. 사업 핵심은 한국투자증권 내부 구성원이 문서 요약, 데이터 분석, 번역, 코드 작성 등 다양한 업무를 자연어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생성형 AI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다. 개발자뿐만 아니라 비개발자도 손쉽게 AI 에이전트를 구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시스템 환경이 마련될 예정이다. 크라우드웍스는 자사의 에이전틱 AI 통합 솔루션 ‘알피(Alpy)’를 이번 프로젝트에 적용한다. 알피는 데이터 전처리, 멀티 에이전트 구성, 성능 평가까지 지원하는 올인원 에이전틱 AI 프레임워크로, 기업이 복잡한 AI 생태계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플랫폼이다. 또한 실시간 정보 반영과 정확도 향상을 위해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반의 질의응답 시스템도 함께 구축된다. 이와 함께 금융권의 보안 규제와 정책을 고
알리바바가 자사 최고 수준의 에이전틱 AI 코딩 모델 ‘Qwen3-Coder’를 공개하며 AI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의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했다. 이 모델은 코드 생성, 워크플로우 자동화, 디버깅 등 전체 개발 과정을 아우르는 고성능 에이전트형 코딩 시스템으로, 오픈소스 모델 중 최고 수준의 성능을 기록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Qwen3-Coder-480B-A35B-Instruct는 Mixture-of-Experts(MoE)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전체 4,800억 개 파라미터 중 토큰당 350억 개 파라미터만을 활성화함으로써 연산 효율성과 성능을 동시에 확보했다. 이 모델은 SWE-Bench Verified 벤치마크에서 추론 확장 없이도 오픈소스 AI 모델 중 최고 성능을 달성했으며, 에이전틱 코딩 및 툴 연동 테스트에서도 주요 SOTA(state-of-the-art) 모델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Qwen3-Coder는 단순한 코드 자동완성을 넘어, 명령 수행, 도구 제어, 문제 해결 등 복잡한 소프트웨어 개발 업무를 다단계로 수행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최대 100만 토큰까지 처리 가능한 확장형 컨텍스트 윈도우를 통해, 대규모 코드베이스
자동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툴 콜링’ 기능 강화 생성형 AI를 넘어 실무에 적용 가능한 ‘에이전틱 AI’ 경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디노티시아가 차세대 고성능 대형언어모델(LLM) ‘DNA 2.0’을 공개하며 기술력과 시장 전략을 동시에 내세웠다. DNA 2.0은 단순한 텍스트 생성 기능을 비롯해 외부 도구와의 연동을 통해 자동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툴 콜링(Tool Calling)’ 기능을 강화한 점이 핵심이다. 이 기능은 사용자의 명령을 이해한 뒤 검색, 요약, 계산 등 다양한 작업을 스스로 처리해주는 구조로, 향후 비즈니스 자동화와 운영 효율화 측면에서 주목받는다. 특히 디노티시아는 한국어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모델을 설계했다. 한국어 기반 명령어 구조에 최적화한 후처리 체계를 적용해, 명령어 해석과 응답 형식의 일관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실제 사용자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활용 가능한 에이전트 실행 환경 구축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DNA 2.0은 디노티시아가 독자 개발한 MCP(Model Context Protocol) 기반 구조를 채택해 자연어 명령을 내부 명세에 따라 자동 변환하고 외부 API와 연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정제영 원장 "하이 터치와 하이 테크의 결합으로 교사 역량 배가시키는 방식 필요" AI가 일상과 산업을 넘어서 교육 현장까지 파고들고 있다. 그러나 기술이 고도화할수록 오히려 본질적인 질문이 제기된다. ‘AI는 교사를 대체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이다. 이에 정제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은 지난 17일 열린 'AI BUS 2025' 컨퍼런스에서 "AI는 교육을 돕는 도구일 뿐이며, 교육의 주체는 여전히 교사"라고 명확히 말했다. 정제영 원장은 이날 "교사를 돕는 학생을 돕는 AI"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서며, 현재 디지털 교육이 처한 개념의 혼란부터 짚고 넘어갔다. 그는 "AI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공감하지만, 정작 AI 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르다"고 진단했다. 학생과 학부모, 교사 간 교육의 목적 인식 차이처럼, AI 교육 역시 '무엇을 위한 것인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그는 AI 활용에서 대상 구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유아와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은 발달 단계에 따라 AI를 활용하는 방식이 달라야 하며, 같은 AI 기술이라도 교사를 위한 것과 학생을 위한 것은 목적이 다르다고 말했다. "AI 교육이라
"자율적으로 업무 수행하는 에이전트형 AI, 제조 산업의 경쟁력 좌우할 핵심 기술될 것" 세일즈포스가 7월 10일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인더스트리 서밋 : MFG 데이’를 개최하며, 국내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AI 기반 생산성 향상 전략을 집중 조명했다. 이번 포럼은 세일즈포스가 부산·울산·경남 지역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처음 연 오프라인 행사로, 약 100명의 제조업 리더와 실무진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이날 세일즈포스는 제조 현장에서 단순 반복 업무 자동화를 넘어 인간과 협업하며 자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에이전트형 AI가 앞으로 제조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AI 에이전트는 견적 작성, 주문 관리, 영업 분석, 파트너 대응 등 실무 현장의 다양한 업무를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하며,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지방 제조업체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김평호 세일즈포스 인더스트리 전략 본부장은 환영사를 통해 산업별로 특화한 AI CRM 솔루션의 도입 효과와 함께, 기존 AI와 에이전틱 AI 간의 차이를 설명했다. 그는 “에이전틱 AI는 정책과 지침에 따라 자율적으로
[세줄 요약] ·지스케일러, 제로트러스트 및 AI 기반 보안 플랫폼 국내 출시 ·LLM 프록시·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등 AI·클라우드 환경 대응 기술 공개 ·“30분→3분 위협 대응”...인수·기술 통합 통해 자동화 고도화 추진 지스케일러가 제로트러스트 연결 기술과 AI 기반 보안 솔루션 국내 시장 공식 출시를 맞아 10일 파크 하얏트 서울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에 선보인 솔루션은 지난 6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연례 보안 행사 ‘제니스 라이브 2025(Zenith Live 2025)’에서 처음 공개된 후, 한국에서 고객 대상 행사와 함께 본격적인 적용 전략이 소개됐다. 지스케일러는 제로트러스트 원칙을 모든 접점에 적용하며 산된 인프라 환경과 AI 확산에 따른 보안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제이 야다브 지스케일러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은 “지스케일러는 제로트러스트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기업의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디바이스, IoT, OT 환경 전반에 일관된 보안을 적용하고 있다”며 “AI 기반 세그멘테이션, 자동화된 정책 적용, 프롬프트 가시화 등 독자적인 기술을 통해 복잡한 보안 과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고 고객이 AI를 안전하게 도
가트너 "다수의 프로젝트, 에이전트 워싱 현상에 갇혀 있어" 가트너가 기업들의 에이전틱 AI 도입 움직임에 경고를 보냈다. 가트너는 2027년 말까지 전체 에이전틱 AI 프로젝트 중 40% 이상이 비용 증가, 불분명한 비즈니스 가치, 부적절한 위험 관리 등의 이유로 중단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가트너 시니어 디렉터 애널리스트인 아누쉬리 버마(Anushree Verma)는 “현재 대부분의 에이전틱 AI 프로젝트는 실험적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과대광고나 잘못된 적용으로 인해 실질적인 도입까지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며 “기업들은 기술적 유행이나 마케팅 메시지에 휘둘리기보다, 어디에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전략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에이전틱 AI는 기존의 자동화 시스템보다 더 진화한 개념으로, 자율적인 의사결정과 복잡한 작업 수행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가트너는 아직 많은 프로젝트가 ‘AI 어시스턴트’, ‘RPA’, ‘챗봇’ 등 기존 기술을 에이전틱 AI로 포장하는 ‘에이전트 워싱(Agent Washing)’ 현상에 갇혀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시장에 등장한 수천 개의 공급업체 중 실제로 에이전틱 AI 기술을 제공하는 업체는 약 130개에 불과하다는
[헬로즈업 세줄요약] ㆍ어드밴텍, ADF 2025서 ‘Edge 3.0’ 시대 본격화 선언 ㆍ생성형·에이전틱·피지컬 AI로 산업 현장 자동화 고도화 ㆍ인텔·퀄컴 등 엣지 기반 실전 전략과 활용 사례 집중 공유 엣지 컴퓨팅과 AI가 산업 전반의 설계를 다시 쓰고 있다. 어드밴텍은 지난 19일 서울 엘타워에서 '2025 어드밴텍 임베디드 디자인-인 포럼(ADF)'을 개최해 엣지 AI 산업 적용 가능성과 기술적 진화를 집중 조명했다. ‘Everything Comes Back to Edge’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는 어드밴텍을 비롯해 퀄컴, 인텔, 엔비디아, AeiROBOT, 퓨리오사, 마크베이스 등 국내외 주요 반도체·AI 기업들이 대거 참석해 차세대 엣지 컴퓨팅의 실전 전략을 공유했다. 첫 번째 기조 발표에 나선 Steve Chang 어드밴텍 부사장은 엣지 기술 발전을 세 단계로 정리하며 현재를 ‘Edge 3.0’ 시대로 정의했다. 그는 “Edge 1.0은 단순한 기능 장비, Edge 2.0은 클라우드 중심 서비스였다면 이제는 ‘기기가 스스로 실시간 결정을 내리는’ 지능형 엣지, 즉 Edge 3.0이 도래했다”고 말했다. 이어 “공장, 병원, 물류, 운송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