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분야, 인구 감소·병력 축소·국방 예산 효율화 등으로 비전 AI 도입 수요가 높아져 슈퍼브에이아이가 ‘국제방위산업전시회(이하 KADEX 2024)’에 참가한다고 30일 밝혔다. KADEX 2024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방산 전시회로, 10월 2일부터 6일까지 5일간 충남 계룡대에서 진행된다. 500개 이상의 방산 기업과 50여개 국의 주요 인사 및 군 관계자들이 참석하며, 전장 기능별로 전시관을 구성해 참관객의 관람 편의와 기업 간 네트워킹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슈퍼브에이아이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신규 출시한 슈퍼브 온프레미스(슈퍼브 플랫폼의 온프레미스 버전)를 소개할 예정이다. 슈퍼브 플랫폼은 AI 개발 전체 사이클을 아우르는 고성능 AI 구축 플랫폼으로, 데이터 큐레이션, 라벨링, 그리고 AI 모델 학습 및 배포 기능을 제공해 E2E 비전 AI 개발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온프레미스 버전 제품은 보안이 보장된 환경에서 쉽고 빠르게 비전 AI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는 고객들의 니즈로 인해 개발됐다. 데이터 보안에 대한 우려로 퍼블릭 클라우드 활용이 어렵고, 외산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없는 국방 산업에서도 민감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며 비전 AI를
생성형 AI를 활용해 대체할 수 있는 데이터를 만들어 내는 기능 구현해 슈퍼브에이아이가 생성형 AI 기반 학습 데이터 생성 기능을 출시한다고 23일 밝혔다. 학습 데이터 생성 기능은 의료, 제조, 건설, 유통 등 실제 산업 현장에서 비전 AI 모델을 제작할 만한 고품질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려울 때, 생성형 AI를 활용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기능이다. 현장에서 쉽게 발생하지 않는 불량품 발생, 자연재해, 사건·사고 등의 희귀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개발됐다. 일례로 제조 공장에서의 화재 위험상황을 감지하는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실제 불이 난 상황에 대한 이미지나 영상 등을 충분히 학습해야 하지만, 자주 일어나지 않는 특수 상황이기에 데이터 확보에 대한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통상적인 제조 라인에서의 불량품 발생률은 1만 대 1 미만에 불과해 불량품이 발생한 상황에 대한 이미지나 영상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도 쉽지 않다. 슈퍼브에이아이는 자체 개발 및 운영 중인 비전 AI 올인원 플랫폼 '슈퍼브 플랫폼'에 다양한 데이터로 미리 학습해 둔 ReCo 생성형 AI 모델을 추가했다. 이 모델을 100장 미만의 소량의 데이터로 추가 학습하면
플랫폼 내 모든 제품에 한국어 적용 및 작업 수행과 데이터 분석 가능 슈퍼브에이아이(SuperbAI)가 13일 기업이 빠르게 인공지능(AI)을 개발 및 관리하는 슈퍼브 플랫폼의 한국어를 추가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도입에 관심이 높은 기업은 MLOps에 주목한다. MLOps는 인공지능의 효율적인 개발 및 운영을 촉진하기 위한 실행 방안을 수립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올바르게 구현될 경우 MLOps는 시장 진입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기업이 완전한 MLOps를 구현하려면 프로세스, 인력 및 도구라는 세 가지 주요 영역에 시간과 자원을 투자해야 한다. 이에 슈퍼브에이아이는 인공지능 도입을 위해 기업의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하는 플랫폼을 개발했다. 슈퍼브 플랫폼은 인공지능 개발의 핵심이 되는 데이터를 쉽게 관리하고 구축하도록 돕는 슈퍼브 라벨, 이 데이터를 이해하고 이 중에서 중요하거나 불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선별하기 위한 슈퍼브 큐레이트, 최종적으로 선별된 데이터로 인공지능을 학습, 진단, 배포하기 위한 슈퍼브 모델 마지막으로 이 제품을 연계해 생산성을 높이는 다양한 슈퍼브 앱스를 제공한다. 슈퍼브 앱스의 경우 슈퍼브 큐레이트, 라벨, 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