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우드웍스가 국내 건설사와 공동 개발한 산업 특화 AI 통역앱이 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주관한 ‘임팩트를 위한 혁신(Innovate for Impact)’ 프로젝트에 영향력 있는 AI 활용 사례로 선정됐다. 해당 앱은 건설과 조선 분야에 특화된 통번역 기능으로 산업현장의 안전성과 커뮤니케이션 효율을 크게 높인 점에서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ITU는 전 세계 정보통신 기술의 표준을 제정하는 유엔 산하 전문기구로, 올해 ‘임팩트를 위한 혁신’ 프로젝트를 통해 총 32개국에서 접수된 234건의 AI 활용 사례 가운데 우수 사례를 선별해 공식 리포트를 발간했다. 이 중 한국에서는 15건이 최종 선정됐으며, 크라우드웍스의 사례는 대표적인 산업 현장 AI 적용 모델로 주목받았다. 크라우드웍스의 AI 통역앱은 거대언어모델(LLM)에 건설·조선업에서 실제 사용되는 전문 용어 10만 건 이상을 학습시킨 것이 특징이다. 일반 통역앱이 제공하지 못하는 산업 특화형 통번역 기능을 구현했으며, 20개국 이상 언어에 대해 높은 정확도의 음성 및 문장 번역을 지원한다. 특히 음성 인식(STT)과 음성 합성(TTS) 기능이 함께 탑재돼, 소음이 많은 건설 현장에서도 원활한
윤성호 대표 ‘산업특화 인공지능, 미래 산업을 다시 쓰다’ 주제로 강연 진해 마키나락스가 국방 분야와의 접점을 넓히며 본격적인 기술 확장에 나섰다. 마키나락스는 지난 10일 해군 1함대사령부의 초청으로 열린 ‘퍼스트 인사이트 특강’에서 강연을 진행하고, AI 기술의 국방 적용 가능성과 전략을 제시했다. 이번 특강에는 곽광섭 1함대사령관과 류윤상 1해상전투단장 등 지휘관을 포함해 100여 명의 해군 관계자가 참석했다. 마키나락스 윤성호 대표는 ‘산업특화 인공지능, 미래 산업을 다시 쓰다’를 주제로 강연에 나서 제조 현장에서의 AI 적용 사례와 이를 국방 환경에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공유했다. 윤성호 대표는 “국방은 높은 보안 요구, 폐쇄망 환경, 데이터 부족, 복잡한 행정 절차 등으로 AI 도입에 어려움이 많다”며 “이는 제조 AI 초기에도 유사하게 마주했던 문제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확도가 생명인 산업 환경과 마찬가지로, 국방에서도 오차 없는 AI 기술이 필수인 만큼 마키나락스의 경험과 플랫폼이 강력한 기반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마키나락스는 자체 개발한 AI 플랫폼 ‘런웨이(MakinaRocks Runway)’를 바탕으로 반도체, 자동
초경량 LLM 모델 ‘LLM42’ 및 생성형 AI 에이전트 ‘DocuAgent42’ 공개 포티투마루가 6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테크코리아 2025(STK 2025) ‘AI & 빅데이터쇼’에 참가해 산업별 특화 초경량 LLM 모델 ‘LLM42’와 실무 중심의 기업용 생성형 AI 에이전트 ‘DocuAgent42’를 선보인다. STK 2025는 국내 최대 규모의 ICT 전시회로, 총 6개 전문 테크쇼가 통합 개최되는 융합 전시 플랫폼이다. AI, 빅데이터, 로봇, 유통, 보안 등 다양한 기술 분야의 글로벌 혁신 사례와 기술 트렌드가 한자리에 모이는 자리로, 포티투마루는 C홀 입구 앞 C300 대형 부스에서 전시 및 비즈니스 상담을 운영한다. 이번 전시의 핵심은 기업 실무에 즉시 적용 가능한 ‘DocuAgent42’다. 이 솔루션은 별도의 학습이나 복잡한 튜닝 없이도 내부 문서, DB, 개인 파일, 웹 링크 등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연결해 정확하고 실시간으로 질문에 응답할 수 있는 Plug & Play 형태의 AI 에이전트다. 설치형(SI)과 클라우드(SaaS) 환경 모두를 지원하며, 문서 검색과 생성형 응답을 결합한 R
김동환 대표, 'GPT가 연 생성형 AI 시대' 주제로 발표 나서 생성형 AI의 글로벌 경쟁 구도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포티투마루가 ‘AI 에이전트’ 기술을 전면에 내세워 한국형 AI 전략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28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포럼 2025’에 연사로 참여한 포티투마루 김동환 대표는 'GPT가 연 생성형 AI 시대'를 주제로 한 세션에 패널로 나서 AI 에이전트 기술의 현주소와 글로벌 대응 전략을 공유했다. 서울경제신문과 서울경제TV가 공동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후원한 이번 포럼은 ‘ALL on AI: The Future is Now’를 주제로, AI 중심의 미래 사회에 대한 인사이트가 오간 자리였다. 김 대표는 “해외에서는 산업별 특화 AI 에이전트를 통해 업무 효율화와 생산성 향상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며 “반면 한국은 여전히 GPU 인프라나 파운데이션 모델 중심의 담론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2주마다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대한민국도 실질적인 AI 전략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포티투마루는 환각(hallucination) 문제 해결을 위한 검색증강생성(RAG42), 독해 기반 AI
런웨이 핵심 기능을 실시간 데모 및 응용 애플리케이션 공개 마키나락스가 오는 5월 14일부터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AI 엑스포 코리아 2025’에 참가한다. 이번 전시는 마키나락스가 AI 엑스포에 처음으로 부스를 열고 자사 플랫폼 ‘런웨이(MakinaRocks Runway)’를 공개하는 자리로 주목받고 있다. 마키나락스는 전시 기간 동안 부스를 통해 런웨이의 핵심 기능을 실시간 데모 형태로 선보이며, 산업 현장에서 AI 도입을 고려 중인 기업에 직접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기업 내부 데이터를 간편하게 연결해 맞춤형 챗봇을 개발하거나, LLM 기반 웹 대시보드를 빠르게 구축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도 함께 공개된다. 이번 참가를 기념해 마키나락스는 중소 조직에서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런웨이 라이트(Runway Lite)’ 버전과 AI 서버 어플라이언스 형태의 다양한 오퍼링도 함께 선보이며, 산업계 AI 활용의 문턱을 낮추는 데 방점을 뒀다. 마키나락스 윤성호 대표는 “런웨이는 기업이 AI를 가장 가볍게 시작해 가장 빠르게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 AI 플랫폼”이라며 “이번 전시를 통해 고객들이 런웨이에서 어떻게 핵심 업무에 AI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