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운영체제(ROS) 기술 업체 오픈마인드, 암호학 기반 검증 기술 업체 서싱트 ‘맞손’ 개인정보 노출 없이 로봇 이력 검증하는 ‘영지식 증명(ZKP)’ 기반 프라이버시 보존형 감사 시스템 공동 개발 약속 로봇운영체제(ROS) 기술 업체 오픈마인드가 암호학 기반 검증 기술 업체 서싱트와 손잡고 로봇 인공지능(AI) 보안 분야의 새로운 해법을 제시한다. 양사는 로봇의 행동과 작업 이력을 개인정보 노출 없이 증명하는 ‘프라이버시 보존형 감사 시스템(Privacy-Preserving Audit System)’을 공동 개발한다고 밝혔다. 현시점 로봇은 카메라·레이더·마이크 등 다양한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원이나 사생활 정보가 함께 기록된다. 이는 로봇 개발 주체가 작동 로그나 영상 데이터를 통해 업무 수행을 검증할 때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높이는 요소로 지적받는다. 오픈마인드와 서싱트는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 이하 ZKP)’ 기술을 로봇 감사 구조에 적용할 예정이다. 이때 ZKP는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고도 특정 사실을 수학적으로 증명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스마트 기기 4개 품목 ‘개인정보보호 중심 설계(PbD)’ 시범인증 대상 선정 로봇 청소기, 가정용 로봇, 홈 카메라, 블랙박스 등 제품 개인정보 보호 안전성 검증 카메라 해킹 등 사생활 유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는 출시를 앞둔 스마트 기기 4개 품목에 대해 개인정보 보호 안전성 검증에 나선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이들 제품을 ‘개인정보보호 중심 설계(PbD)’ 시범 인증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달 중 이를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이번 정책은 대상 스마트 기기에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이식하는 것이 핵심이다. 최근 해당 제품군에서 카메라 해킹 등에 따른 사생활 유출 우려가 커지자 정부가 움직인 것으로 분석된다. PbD는 제품·서비스 개발 초기 단계부터 개인정보 보호 요소를 필수적으로 고려해 설계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위원회는 지난 2023년부터 이 인증제를 시범 운영했고, 현재까지 SK쉴더스 가정용 폐쇄회로(CCTV), 삼성전자 로봇 청소기 등 총 4개 제품에 인증을 부여한 바 있다. 올해는 홈 카메라, 스마트 가전 등 일상생활 밀착형 제품뿐 아니라,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 분야로 인증 대상을 확대했다. 당 기관은 희망 기업을 대상으로
에이아이스페라가 일반인도 쉽게 IP카메라 노출 여부 체크가 가능한 보안 자가진단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최근 러시아 해커 조직의 공격과 해외 직구로 구매한 중국산 저가 IP카메라의 보안 취약성으로 인한 사생활 노출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이에 에이아이스페라는 보안 우려 해소를 위해 ‘크리미널 IP’ 공식 웹사이트에서 누구나 IP카메라 노출 여부를 클릭 한 번으로 확인하는 자가 점검 기능을 공개했다. 해당 서비스는 웹사이트 메인의 ‘내 IP 주소 검색’을 클릭하면 10초 이내로 IP카메라의 보안 취약점을 진단한다. 이후 검사 결과 페이지 좌측 상단에 ‘IP Camera’ 표기가 나타난다면 보안 점검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에이아이스페라는 이러한 경우 비밀번호를 변경하거나, 공유기의 외부 노출 기능(포트 포워딩)을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할 것을 권했다. 에이아이스페라는 IP카메라 해킹의 주요 원인으로 ‘비밀번호 미설정’, ‘기본 비밀번호 방치’, ‘외부 접근 허용’, ‘보안 패치 미실시’를 꼽았다. 일반 음식점이나 가정집의 경우 대부분 기본 비밀번호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외부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해 놓은 경우가 많았다. 특히, 보안 패치는 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