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원티앤디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초소형 모터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해원티앤디의 모터 시리즈는 세계 최소를 실현한 로터리 엔코더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밀도 정밀 삽입을 행하여 기존 AC 서보 모터의 약 3배의 토크 밀도를 실현한다. 초소형 DD모터와 초소형 중공축 모터는 전자 부품 등의 경량 워크의 그리퍼, 로브트 핸드에 최적화 됐다. 이밖에도 해원티앤디는 DYDEN 로보트 케이블, COGNEX 비전, NIDEC 스케일 등도 함께 전시했다. 1998년에 설립된 해원티앤디는 글로벌 기술 기반의 유통업 및 제조기업이다. 국내외 기술을 발굴해 해원티앤디의 잠재력과 결합,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조하고 있다. 이와 함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씽크 탱크 그룹(Think Tank Group)을 운영해 새로운 사업 아이템을 발굴·육성
독일 소재 정밀 포지셔닝 기술 업체 피아이(Physik Instrumente)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전시장에 등장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피아이는 압전 작동기(Piezo Actuator), 헥사포드(Hexapod), 에어 베어링 시스템, 갠트리 시스템, 모터 등 다양한 고정밀 포지셔닝 솔루션을 개발·제조하고 있다. 이번 전시장에는 PI 한국지사 피아이코리아가 부스를 꾸민다. 피아이코리아는 본사 기술력과 국내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Customization) 솔루션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AW 2025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한 반도체 웨이퍼 검사 시스템과 레이저 용접 기술 기반 밀봉 솔루션을 소개한다. 먼저,
로봇이 인간 영역에 파고든지 약 반세기가량이 지났다. 여기에 시발점을 마련한 로봇 형태가 바로 ‘산업용 로봇’이다. 산업용 로봇은 단순 반복 작업에서 인간을 대체하며 수차례에 걸친 산업혁명을 경험했다. 특히 소품종 대량생산 시스템의 꽃으로 인식되는 만큼, 제조업에서 다양한 레퍼런스를 축적하며 활약했다. 이러한 흐름은 10여 년 전부터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로봇의 활약 무대가 조금씩 확장되면서 촉발된 현상인데, 이 시점부터 로봇은 물류·서비스·의료·농업·식음료(F&B) 등 분야로 진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인운반차(AGV), 자율주행로봇(AMR), 서비스 로봇, 드론 등 새로운 형태로 로봇 형태가 다양화됐다. 이러한 차세대 로봇은 인공지능(AI)·빅데이터·정보통신기술(ICT)·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등 차세대 기술을 한데 업고 새로운 혁신으로의 도약을 앞두고 있다. 이 양상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로봇 중 하나가 협동로봇(Cobot)이다. 협동로봇은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로봇’이라는 콘셉트를 정립한 로봇 플랫폼이다. ‘작업자 안전 확보’를 테마로 한 산업안전 인식을 확산시킨 주체기도 하다. 협동로봇은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로의 전환이
웨비나를 통해 Trinamic 솔루션의 특징과 제품군 소개할 예정 WT Korea가 오는 10월 2일(수) 두비즈를 통해 '모터 제어의 새로운 패러다임 : ADI Trinamic Solution'이라는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한다. 오늘날 다양한 산업군에서 모터를 적용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되고 있다. 시간이 갈수록 고속, 정밀제어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며, 이를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개발 환경에 대한 요구도 많아지고 있다. ADI의 Trinamic 모터 제어 솔루션은 디지털 정보를 효율적인 물리적 모션으로 변환하는 데 중점을 둔 광범위한 제품 및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왔다. 마이크로스테핑부터 StealthChop, 하드웨어의 Field Oriented Control, Trinamic의 자체 통합 개발 환경이 포함된다. Trinamic 모터 제어 솔루션은 StealthChop과 같은 기술을 통해 모터 소음과 진동을 획기적으로 줄인다. 특히, 산업 자동화 및 로보틱스에 적합하며, 높은 정밀도와 에너지 효율을 바탕으로 다양한 모터 제어 요구를 충족한다. ADI의 Trinamic 솔루션은 Field Oriented Control과 통합 개발 환경을 통해 모터 성능
모터 애플리케이션에 불어온 혁신 오늘날 모터는 산업, 의료, 스마트홈, 사물인터넷(IoT), 운송 및 사무 환경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며 일상의 모든 측면에 깊이 파고들었다. 모터 회전의 정밀한 제어는 고도의 기술을 통해 일상의 편리함과 편안함을 높여준다. 특히 디지털 정보가 정확한 물리적 동작으로 변환될 수 있는 오늘날의 디지털 시대에는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일들이 현실이 되고 있다. 첨단 로봇공학, IoT, 적층제조(AM), 보철(그림 1) 및 IIoT는 몇 가지 사례에 불과하다. 디지털 정보를 완벽한 물리적 회전으로 효과적으로 변환하려면 노력이 필요하다. 성능을 향상하려면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성 요소가 필요하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열을 줄이기 위해 전력 소비를 줄여야 한다. 또한, 출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작업 부하를 최소화해야 하며,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해 통합을 극대화해야 한다. 이는 아나로그디바이스(ADI)의 Trinamic 모터 모션 및 제어 솔루션이 수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달성해 온 목표로서, Trinamic은 몇 가지 주요 기술 혁신을 통해 모터 애플리케이션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이뤘다. 한 잔의 맥주를
전 세계적 기후변화와 이상 기온으로 지구는 나날이 뜨거워지고 있다. 이와 동시에 산업도 기술발전을 필두로 절대적 온도를 높이고 있다. 인더스트리 4.0 체제가 도래함에 따라, 디지털 전환(DX)·인공지능(AI)·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등 차세대 기술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의 중요성이 증대된 데 따른 결과다. 각 기업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용·관리·활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데이터센터(Data Centre)를 구상했다. 데이터센터는 등장 초창기 ‘데이터 농장’ 혹은 ‘데이터 호텔’로 불리며 데이터의 보고로 인식됐다. 이후 파편화된 데이터를 한데 집중시킨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면서 데이터센터의 역할과 무게감은 날로 증폭됐다. 데이터센터는 산업을 가동하는 데 주요한 핵심 인프라로 활약 중이며, 세계 각지에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센터가 구축·운영되고 있다.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핫’한 산업에 추가적인 열풍을 불어넣는 영역이 있다. 스마트시티는 말 그대로 지능화 인프라를 갖춘 도시 개념으로, 차세대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을 기반으로 도시 내 모든 요소가 연결돼 기존에 발생한 도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구축·관리하는 과정에도 데
9월 12일(목)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진행돼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오는 9월 12일(목) 두비즈를 통해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100년의 기술 혁신 디지털 모터 관리 시스템, 테시스(TeSys) 라인업'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이번 웨비나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오정훈 매니저가 발표자로 참여한다. 모터는 생산 공정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다. 다양한 기계와 장비에 동력을 제공하고, 생산성 향상, 품질 보증, 에너지 효율 증대 등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모터의 노후화, 과부하로 인한 불량 및 기타 복합적인 이유로 발생된 다운타임은 전 생산 라인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전체 생산 공정의 성과와 효율성을 좌우하기에 모터의 사전 관리 및 유지 보수가 중요하다. 올해로 100주년을 맞은 디지털 모터 관리 시스템 '테시스' 라인업은 세계 최초로 바 마운트 전자 접촉기를 개발하며 시작됐으며, 뛰어난 기술 신뢰성과 혁신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판매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는 다양한 규모의 현장에 적용 가능한 '테시스 아일랜드', '테시스 기가' 등의 라인업을 제공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번 웨비나를 통해 테
9월 12일(목)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진행돼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오는 9월 12일(목) 두비즈를 통해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100년의 기술 혁신 디지털 모터 관리 시스템, 테시스(TeSys) 라인업'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이번 웨비나는 슈나이더 일렉트릭 오정훈 매니저가 발표자로 참여한다. 모터는 생산 공정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다. 다양한 기계와 장비에 동력을 제공하고, 생산성 향상, 품질 보증, 에너지 효율 증대 등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모터의 노후화, 과부하로 인한 불량 및 기타 복합적인 이유로 발생된 다운타임은 전 생산 라인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전체 생산 공정의 성과와 효율성을 좌우하기에 모터의 사전 관리 및 유지 보수가 중요하다. 올해로 100주년을 맞은 디지털 모터 관리 시스템 '테시스' 라인업은 세계 최초로 바 마운트 전자 접촉기를 개발하며 시작됐으며, 뛰어난 기술 신뢰성과 혁신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판매를 기록하고 있다. 현재는 다양한 규모의 현장에 적용 가능한 '테시스 아일랜드', '테시스 기가' 등의 라인업을 제공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번 웨비나를 통해 테
제빙기 및 냉장고 모터 내세워 “사용자 필요에 따라 설계 가능” 지지엠(GGM)이 KIMEX 2024에 참가해 각종 모터 솔루션을 소개했다. ‘제15회 한국국제기계박람회(Korea International Machinery Expo, KIMEX 2024)’는 지난 1997년 경상남도 최초로 개막한 기계산업 기술 전시회다. KIMEX 2024는 이달 25일부터 4일 동안 개막한다. 디지털 전환(DX)에 직면한 기계산업에 기존과 다른 차별화된 시각을 제시하기 위해 인공지능(AI)·로봇·빅데이터·오토메이션·IoT 등 기술이 접목된 솔루션이 총출동했다. 17개국, 160개사, 350개 부스 규모로 열린 이번 나흘간의 여정에는 머시닝센터, 고속 및 복합 가공기, 절단기 등 금속 절단 및 절삭 솔루션부터 센서, 액추에이터, 드라이브, 모션 컨트롤, 유공압기기, 로보틱스, 각종 소재·부품 등 제품이 최신 기술과 접목된 사례를 참관객에게 제공한다. 특히 탄소중립 및 에너지 전환 트렌드를 이끌 각종 친환경 솔루션도 전시돼 기계산업에 또 다른 방향성을 제안한다. BLDC 모터, DC 모터 등을 취급하는 지지엠은 이번 전시장에 제빙기 전용 모터와 냉장고용 모터 등 우리 삶에 익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특화’ 웹 기반 팬 선정 서비스 플랫폼 팬 제품 필터, 적합 팬 수 분석, 이산화탄소 배출량 보고서 등 제공 이비엠팝스트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용 팬을 추천하는 웹 기반 플랫폼 ‘팬스카우트(FanScout)’를 소개했다. 이 솔루션은 특정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팬을 선정하는 데 기여하는 플랫폼이다. 웹 기반으로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적합한 팬을 검색할 수 있다. 플랫폼에는 작동 지점, 작동 시간, 전압, 주파수, 모터 종류 등으로 구성된 제품 필터 탭이 구축돼 직관적 선택을 지원한다. 여기에 각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팬 수를 제안하고, 작동 지점, 치수, 효율 그래프 등 제품 데이터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한다. 아비엠팝스트 관계자는 “팬스카우트는 팬의 최적 수명 주기 조합을 결정하는 옵션도 갖추고 있어 사용자는 팬 활용 전주기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팬스카우트 버전을 지속 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진동 신호를 이용한 산업용 모터 및 회전체 설비 AI 예지진단 솔루션’ 웨비나 열려 AI 기반 모터 고장 예측 솔루션 ‘Motor Sense’ 소개 제조 영역에서의 설비 고장은 수율 및 생산성 저하, 비용 및 사고 발생, 설비 내구성 문제 등을 야기한다. 이에 설비를 관리하는 데 있어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고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스마트 팩토리 체제가 확립됨에 따라 이러한 설비 고장 예측에 대한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는 지능화 요소가 접목된 자동화 설비를 구축하기 때문에 인공지능(AI) 활용에 특화됐다. 이에 따라 AI 기술이 이식된 설비 고장 예측 솔루션이 각광받는 중이다. 이달 5일 온라인 세미나 플랫폼 ‘두비즈(duBiz)’에서 모터 고장 예측 솔루션을 제시하는 ‘진동 신호를 이용한 산업용 모터 및 회전체 설비 AI 예지진단 솔루션’이 송출된다. 이날 방송에서는 각 회전 설비에 부착된 센서가 진동 및 온도 등 정보를 수집한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최적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디쌤의 ‘모터 센스(Motor Sense)’가 소개된다. 이 솔루션은 회전 설비에서 발생하는 고장 및 오류의 종류, 발생 확률 등을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진동 신호를 이용한 산업용 모터 및 회전체 설비 AI 예지진단 솔루션’ 웨비나 열려 AI 기반 모터 고장 예측 솔루션 ‘Motor Sense’ 소개 제조 영역에서의 설비 고장은 수율 및 생산성 저하, 비용 및 사고 발생, 설비 내구성 문제 등을 야기한다. 이에 설비를 관리하는 데 있어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고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스마트 팩토리 체제가 확립됨에 따라 이러한 설비 고장 예측에 대한 필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는 지능화 요소가 접목된 자동화 설비를 구축하기 때문에 인공지능(AI) 활용에 특화됐다. 이에 따라 AI 기술이 이식된 설비 고장 예측 솔루션이 각광받는 중이다. 이달 5일 온라인 세미나 플랫폼 ‘두비즈(duBiz)’에서 모터 고장 예측 솔루션을 제시하는 ‘진동 신호를 이용한 산업용 모터 및 회전체 설비 AI 예지진단 솔루션’이 송출된다. 이날 방송에서는 각 회전 설비에 부착된 센서가 진동 및 온도 등 정보를 수집한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최적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디쌤의 ‘모터 센스(Motor Sense)’가 소개된다. 이 솔루션은 회전 설비에서 발생하는 고장 및 오류의 종류, 발생 확률 등을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브러시리스 모터 이식...무부하 속도 최대 3400rpm, 타격률 최대 4000bpm 3단 속도·토크 조절 기능, 원터치 비트 체결 방식 등 편의 기능 채택 보쉬가 하이엔드 세그먼트 18V 충전 임팩트 드라이버 ‘GDR 18V-220 C Professional’을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1/4 육각 드라이브가 내장된 임팩트 드라이버로, 브러시리스 모터 기반 토크 성능을 발휘한다. 구체적으로 무부하 속도 최대 3400rpm, 타격률 최대 4000bpm, 토크 220 Nm을 갖췄다. 특히 더블 볼 베어링으로 비트 고정이 가능해 불안전한 비트 장착 현상인 ‘와블(Wobble)’을 방지한다. 여기에 헤드 길이 113mm, 1kg 중량으로 설계돼 공간 작업성이 향상돼 건물 외관 구조물, 공조시스템(HVAC), 전기, 목공 등 작업에 특화됐다. 아울러 원터치 비트 체결 시스템, 3단 속도·토크 조절 기능, 드라이버 속도 조절 기능 등을 내재했다. 보쉬 관계자는 “GDR 18V-220 C Professional은 제어력을 개선했고, 안전성까지 고려된 제품”이라며 “강력한 성능, 콤팩트 디자인, 가벼운 중량이 해당 제품의 강점”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DC·BLDC·리니어·스테퍼 등 각종 파울하버 모터 총출동 스위스아미에트가 소형 드라이브 솔루션 업체 파울하버의 고정밀·고출력 제품을 들고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출격했다. 스위스아미에트는 지난 1991년 설립 이후 파울하버 솔루션을 필두로 한 드라이브 기술을 국내에 제시하고 있다. 현재 로봇·자동화·의료기기 등 분야에서 활약 중이며, 제품 판매를 넘어 고객과 동반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력과 서비스를 지속 고도화하고 있다. 향후 바이오 산업으로 영향력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전했다. 스위스아미에트가 이번 전시장에 출품한 파울하버 드라이브 제품은 DC 모터, BLDC 모터, 리니어(Linear) 모터, 스테퍼(Stepper) 모터 등 콤팩트 제품군이다. 특히 DC 소형 모터를 강조했다. Skew wounded 디자인 코어리스 모터로, 토킹 토크(Cogging Torque) 없이 부드럽게 작동한다. 해당 제품은 최대 회전속도 2만4000rpm, 최대 구동토크 224mNm 등 성능을 보유했다. 스위스아미에트 관계자는 “산업은 작고 성능 높은 모터 및 컨트롤러를 요
협동로봇부터 비전 기술, 산업안전 시스템, 커피타주는 로봇, 용접 로봇, 와인 디켄팅 로봇으로 ‘이목 집중’ 내년 출시 ‘HCR 시리즈’ 공개...“올해 말 시제품 제작 목표” 글로벌 산업은 성장의 핵심 동력이자 고도화의 지향점으로 ‘자동화’를 꼽는다. 여기에 이어 ‘자율화’를 새로운 청사진으로 제시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자율화는 설비 및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면서 대응책을 마련해 자율적으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개념으로 ‘완전 자동화’에 가깝다. 쉽게 말해 자동화의 ‘끝판왕’이다. 이 비전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핵심으로 언급되는 기술 중 하나가 로보틱스다. 눈으로 보이는 로봇 실체 자체인 하드웨어를 비롯해, 눈에 보이지 않게 로봇 전반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그리고 이를 통합하는 솔루션까지 로봇 전주기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로보틱스 솔루션 업체 한화로봇틱스는 협동로봇을 시작으로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비전, 산업안전 시스템, 모바일 로봇 기술 등 자체개발 올인원 솔루션을 보유했다. 최근 도달거리가 긴 ‘롱리치’ 협동로봇 새 모델 출시를 앞두고 있고, 용접 공정에서 활용 가능한 휴대용 용접로봇을 개발하는 중이다. 한화로보틱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