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도안티루루엔 박사…환경공학 분야 학술지에 게재 전기자동차나 모바일 기기 등에 활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리튬-황 배터리의 용량 저하와 내부 쇼트를 해결할 분리막이 개발됐다. 16일 전북대학교에 따르면 도안티루루엔 바이오나노융합공학과 박사의 이 연구내용을 담은 논문이 환경분야 세계적 학술지 '어플라이드 카탈리시스 비: 인바이러멘탈(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도안티루루엔 박사는 리튬-황 배터리가 갖는 분리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리막 소재 표면에 폴리스티렌 마이크로 구체와 그래핀, 촉매를 각각 코팅해 3차원 형상의 새 분리막을 개발했다. 그는 새 분리막이 효과적으로 다황화물 확산을 제한하고 쇼트를 억제해 리튬-황 전지의 용량, 수명, 안정성을 향상하는 결과를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도안티루루엔 박사는 "좀 더 안정된 고용량의 리튬-황 배터리의 분리막을 개발하는데 정진하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삼성전자가 자사 보유 미활용 기술을 중소기업에 무상으로 이전해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부터 내달 23일까지 '2022년도 산업부-삼성전자 기술나눔' 참여 희망 기업을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 기술나눔은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와 혁신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대기업과 공공기업 등이 보유한 미활용 기술을 중소기업에 무상으로 이전해주는 사업이다. 2013년부터 삼성전자를 포함해 25개 대기업·공기업이 참여해 작년까지 총 1,043개 기업에 2,402건의 기술을 이전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모바일기기, 통신·네트워크,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7개 분야에서 총 276건의 기술을 공개한다. 기술 나눔을 받고자 하는 중소기업은 산업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에 게시된 사업공고에 따라 5월 13일까지 이메일로 신청하면 된다. 노건기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올해 중 한국전력, 포스코, SK그룹 등이 참여하는 기술나눔도 추가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헬로티 임근난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G 단말기 관련 중소기업의 기술개발과 제품 출시에 필요한 시험·검증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13일 구미전자정보기술원(이하 ‘GERI’)에서 ‘5세대(5G) 단말기 가늠터(테스트베드)’ 개소식을 개최했다. 과기정통부와 구미시는 세계 수준의 5G 단말기 가늠터를 구축하기 위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국비 128억 원, 지방비 70억 원 등 총 198억을 투입하여 이동통신사 상용망 수준의 시험·검증 기반시설을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2019부터 2020년까지는 3.5/28GHz 대역 비단독모드(NSA) 시험망 장비 구축 및 5G 시험전용 공간을 확보했으며, 2021년도에는 국제표준 기반의 5G 단독모드(SA) 시험장비를 선도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서울 구로 MFT(Mobile Field Testbed)센터에 엣지 컴퓨팅 장비를 설치하고, 구미 가늠터와 연동하여 수도권 기업들을 대상으로 모바일기기와 5G 초고속·초저지연 융합서비스 개발 및 성능검증 등도 병행하여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5G 단말기 가늠터에서는 국내 제조사가 개발한 단말기의 기능 및 성능을 검증하고, 국내 및 글로벌 주파수 대역
[헬로티] 로옴는 VR·MR·AR 등의 기능을 탑재하는 게임기 및 산업 분야의 헤드셋,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용도로 측면 발광 타입의 초소형 적외 LED 'CSL1501RW'를 개발했다. ▲초소형 적외 LED 'CSL1501RW' 최근 IoT 기술의 진화에 따라 등장한 VR·MR·AR은 헤드셋이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탑재돼 게임기 분야에 채용됨으로써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산업 분야에서도 3D 공간 시뮬레이션 및 현실 공간에 데이터를 투영시킨다는 점에서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어 향후 VR·MR·AR을 활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시장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도 더욱 진화되고 있다.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탑재됐던 신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뿐 아니라 새롭게 시선 추적 기능을 실현하는 적외 LED가 채용되기 시작했다. 로옴은 소형 모바일 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에 최적인 초소형 칩 LED 'PICOLED 시리즈'를 개발해 시장 실적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PICOLED 시리즈로서 시대가 요구하는 측면 발광 타입의 초소형 적외 LED 신제품을 개발했다.
[첨단 헬로티] 국내 증강현실(AR) 원천기술 보유기업 맥스트(MAXST)가 최근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만으로 실내 공간을 3D맵으로 재현, 추적하는 비주얼 슬램(Visual SLAM)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기존에 제공하던 일정 크기의 환경을 가상 지도로 만드는 기술 범위가 실내 공간으로 범위가 확장됐다. ▲ 실내 공간에서 현재 위치를 추적하는 모습 이번에 업그레이드된 비주얼 슬램은 MAXST VPS(시각 측위 시스템)이 적용되어 모바일 기기로 실내공간을 비추었을 때, 별도의 장치 없이 스마트폰 카메라만으로 실내에서 50cm 내외의 오차 범위로 정확한 위치와 카메라의 포즈를 정확하게 찾아낸다. 모바일 기기로 실내 공간을 비추면 AR 지도상에서 현재의 위치와 카메라가 바라보는 방향을 분석하고, 해당 키프레임에서 확인되는 포인트 클라우드에 AR 콘텐츠를 증강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맥스트 AR 지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AR 지도는 모바일 기기에서 영상을 촬영한 후, 서버 처리 과정을 거쳐 포인트 클라우드 맵으로 추출된 뒤, 맥스트 맵 에디터(MAXST AR Map Editor)에서 최종적으로 완성된다. 맵 에디터는 포인트 클라우드 맵과 실제 도면을 비교하며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차세대 모바일기기용 '512GB eUFS(embedded Universal Flash Storage)'를 양산한다. 2015년 1월 스마트폰용 '128GB eUFS' 양산으로 UFS 시장을 창출한 삼성전자는 2016년 2월 '256GB eUFS'에 이어 지난달 업계 유일하게 512GB eUFS 라인업을 출시해 21개월만에 모바일기기의 내장 메모리 용량을 2배로 높였다. 이번 '512GB eUFS'는 고성능 64단 512Gb V낸드를 8단 적층하고 전용 컨트롤러를 탑재해 하나의 패키지로 만든 제품으로, 기존 48단 256Gb V낸드기반의 256GB 제품 대비 용량은 2배 늘리고 크기는 동일하게 유지했다. 64단 512Gb 3bit V낸드는 자체 개발한 고성능 컨트롤러를 통해, 가상의 주소를 물리적 주소로 보다 빠르게 변환할 수 있는 '초고속 매핑 기술'과 셀이 2배로 증가하면서 늘어나는 소비전력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초절전 기술' 등 최첨단 독자 기술 적용으로 성능과 안정성을 극대화했다. 기존 스마트폰에서 주로 사용되는 64GB eUFS의 경우 4K UHD(3840x2160) 모드로 10분짜리 동영상 13편을 촬영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