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인스텍이 2022년 하반기 머신비전 세미나를 개최했다. 12월 14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진행된 이번 화인스텍 하반기 머신비전 세미나는 고객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기술과 제품, 트렌드를 공유하는 자리였다. 머신비전 산업에 3D 검사 비중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어플리케이션에 3D 솔루션이 적용되고 있다. 화인스텍은 이번 세미나에서 레이저 삼각법, 구조광 3D센서, Confocal, WSI 등 다양한 3D 솔루션과 사례에 대해 소개했다. 이번 머신비전 세미나는 ▲3D 어플리케이션: PIN-CHECKER ▲구조광 3D 센서를 이용한 로봇 빈피킹 솔루션 ▲딥러닝 소프트웨어 FAIN-DL ▲Wafer Level Packaging 공정에서의 광계측 기술 동향 ▲2022 독일 머신비전 진시회 리뷰를 포함한 머신비전 시장 동향 순으로 진행됐다. 특정 광학 셋업으로 위치·모양 등이 랜덤한 여러 불량을 검출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김현명 이사는 "확인되지 않은 랜덤한 불량을 모두 확인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는데 그 정답이 3D 시스템 솔루션"이라고 말했다. 김 이사는 최근 트렌드와 함께 핀체커의 센서 선정, 센서 셋업, 현장 대응 및 검사 노하우 등
서울 코엑스 세미나 12월 14일, 부산 벡스코 세미나 12월 21일 진행 화인스텍에서 진행하는 하반기 머신비전 세미나가 오는 12월 14일 코엑스, 그리고 12월 21일 벡스코에서 각각 개최된다. 머신비전 산업에 3D 검사의 비중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어플리케이션에 3D 솔루션이 적용되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레이저 삼각법, 구조광 3D센서, Confocal, WSI등 다양한 3D 솔루션과 사례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딥러닝 등의 인공지능 솔루션의 수요도 늘어남에 따라 화인스텍에서는 자체 개발한 딥러닝 소프트웨어 1종도 소개할 예정이다. 이번 머신비전 세미나는 ▲레이저 삼각법을 이용한 3D시스템의 실제 테스트 시연 및 어플리케이션 소개 ▲구조광 3D 센서를 이용한 로봇 빈피킹 솔루션 ▲딥러닝 소프트웨어 FAIN-DL ▲Wafer Level Packaging 공정에서의 광계측 기술 동향 ▲2022 독일 머신비전 진시회 리뷰를 포함한 머신비전 시장 동향 순으로 진행된다. 이번 세미나는 화인스텍 홈페이지를 통해 참가 신청할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머신비전 기술 세미나 2021’이 내달 8일, 9일 양일 간 코엑스 1층 전시장 B홀 내 세미나룸에서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의 제목은 ‘스마트팩토리 구현의 핵심기술로 자리잡은 머신비전’이다. 4차 산업혁명에서 머신비전 기술은 제조 및 산업 부문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 산업이 디지털 전환 시대로 접어들면서 머신비전 기술은 혁신기술들과 접목돼, 기업들에 훨씬 더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머신비전 세미나에서는 산업 일선의 전문가들의 발표를 통해 머신비전의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한다. 먼저 첫째 날에는 화인스텍의 오인택 부장이 머신비전 카메라의 트렌드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고 뉴로클&앤비젼가 오토 딥러닝 알고리즘에 대한 내용을 공유한다. 둘째 날에는 이오비스의 한영진 부장이 ‘쉽고 유용한 3D 및 광학 검사 솔루션’, 앤비젼이 ‘머신비전 솔루션의 신흥강자 IRAYOLE’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진행하고 아이코어의 박경석 이사가 머신비전 조명기술의 트렌드에 대한 내용을 나눈다. 본 행사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예방 조치 시행에 따라 철저한 소독과 방역 하에 진행되며, 무료다. 아래 링크(http://asq.kr
[헬로티 = 김동원 기자] 물류 산업에 스마트를 입히는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사물, 인간, 기업, 사회를 이어주는 시스템 중 하나인 물류 시스템은 4차 산업 시대를 맞이하며 혁신을 더한 기술로 스마트 물류 시스템으로 발전을 모색해왔다. 그런데 물류 시장은 특히 스마트 시스템 도입이 더디다. 비용이 많이 들고, 프로젝트 기간도 길기 때문이다. 실제로 글로벌 물류 기업 운영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산업의 정보화율이 70% 수준인 지금, 물류 산업은 45% 이하에 불구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코로나19의 기습과 인건비 상승 문제 등으로 상황이 바뀌었다. 이미 글로벌 기업들은 스마트물류와 물류4.0 구현에 앞장서고 있다.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4차 산업 기술의 집합체라 불린다. 인공지능 기술부터 증강현실, 가상현실,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의 주요 기술들이 모두 적용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자동인식 기술도 포함되어 있다. RFID와 센서, 바코드 등 자동인식과 머신비전 관련 기술은 물류4.0의 핵심 기술로 불린다. 이 기술로 인건비 절감을 이루면서 이력 추적, 품질 검사 등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핵심열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한
스마트 팩토리의 대표적인 키워드 중에서도 머신비전이 눈여겨봐야 할 점은 모듈 공정이나 자율분산 시스템, 설비 자체(공정 라인)가 언제 바뀔 수 있는지에 대한 대비, 그리고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스마트 센서 등의 키워드를 갖춘 스탠드얼론 시스템으로 모듈 공정이나 라인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머신비전 세미나에서 라온피플 김헌중 기술이사가 발표한 ‘스마트 솔루션과 플랫폼을 위한 고성능 스마트 비전 카메라’에 대한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라온피플 김헌중 기술이사 머신비전은 사람의 눈이 아닌 이미지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비전 알고리즘을 통해 여러 가지 검사를 한다. 검사를 하고 측정을 하고 불량을 검출하고, 로봇 가이드를 위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바코드나 문자를 인식하는 등의 일을 수행한다. 머신비전 솔루션 시스템 구성에는 일반적인 머신 비전 카메라와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한 PC 또는 부가적으로 프레임 그래버가 들어간다. 그리고 거기에 필요한 비전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추가된다. 또 이런 전체적인 구성을 하나로 묶어 놓은 스마트 카메라 형태로도 비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기도 하며 실제로도 존
스마트 팩토리는 생산방식에서 설비단위가 지능화되고, 사람 대신 로봇이 작업하며, 운송단위는 AGV로, 장표는 MES/ERP로 처리한다. 또한, 한사람이 속해있는 경제단위가 다양해져 멀티경제시대라는 말이 나오며 모바일라이프에 영향을 끼치고 클라우드와 빅데이터에 근거한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머신비전 세미나에서 어드밴텍 최수혁 부장이 발표한 ‘IIoT 솔루션과 스마트 팩토리’에 대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어드밴텍 최수혁 부장 IoT 시대가 열리면서 필요한 플랫폼이 IoT SRP(Solution Ready Platform)이다. IoT SRP는 패키지 형태로 스마트 팩토리를 플랫폼화 하는 것이다. 여기서 패키지화하고 필요한 것들이 구성되면 이 플랫폼에 들어가는 디바이스들을 모듈화하고 여기에 모인 데이터들은 클라우드에 넘겨 분석한다. 그리고 산업 단위가 클라우드에 얼마만큼 사용되는가 하는 것이 그다음 단계인 IoT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IoT 시대의 클라우드 서비스 IoT의 혁명이 일어났을 때 임베디드 하드웨어 플랫폼이 늘어나려면 하드웨어를 많이 살 수밖에 없다. 여기서 다양한 이윤과 커버리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로 어드밴텍은
작업자가 데이터를 수기로 하다 보면 오기와 누락이 생길 수 있으며 서류정리 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적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무선 SPC 시스템을 도입하면 시간 단축은 물론 페이퍼리스 작업도 가능해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머신비전 세미나에서 성신인스트루먼트 박용수 팀장이 발표한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SPC 시스템 적용과 도입 효과’에 대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성신인스트루먼트 박용수 팀장 성신인스트루먼트는 제조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계측기를 판매하는 미쓰토요 한국총판이다. 요즘 스마트 팩토리라고 해서 여러 가지 솔루션들이 많은데, 성신인스트루먼트는 실시간으로 계측기 데이터 입력을 받아서 측정된 데이터가 합격인지 불합격인지를 통계적 공정관리 기법을 사용해서 모니터링하고, 이상 원인이나 불량 내용들의 제거를 통해 양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SPC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무선 SPC 시스템 구성 제조업체에 가보면 품질 검사 성적서라는 게 있다. 대부분은 수기로 하고 있는데, SPC 시스템을 도입하면 이 모든 과정을 쉽고 간편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SPC 시스템은 계측기에 무선 송신기 시스템을 달아서 원거리에
정부는 1만개의 스마트 팩토리를 2020년까지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해 정보화 및 지식화하는 통합 플랫폼화가 중요하다.머신비전 세미나에서 (주)첨단 차남주 대표가 발표한 ‘중소기업을 위한 한국형 스마트 팩토리 구현 방안’에 대한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주)첨단 차남주 대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크다. 정부는 1만개의 스마트 팩토리를 2020년까지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로크웰, 지멘스 등의 대기업 중심의 모델이 중소·중견 기업에 적합한 것인지는 고민해봐야 한다. 이와 관련해 중소기업을 위한 한국형 스마트 팩토리 구현 방안에 대해 주식회사 첨단의 차남주 대표가 발표한 내용을 정리한다. 스마트 미디어와 스마트공장 최근 신문, TV, 잡지 등으로 대표되는 매스미디어가 스마트미디어로 넘어가는 추세다. 따라서 중소 출판사 및 잡지사의 지식 지능화 서비스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스마트 미디어 통합 IT 서비스 플랫폼 개발이 필요해 보인다. 국내에만 2만 여개의 출판사가 존재한다. 그 중 전문 잡지사는 약 450개이다. 이를 지식서비스할 수 있는 플랫폼을
스마트 팩토리는 생산방식에서 설비단위가 지능화되고, 사람 대신 로봇이 작업하며, 운송단위는 AGV로, 장표는 MES/ERP로 처리한다. 또한, 한사람이 속해있는 경제단위가 다양해져 멀티경제시대라는 말이 나오며 모바일라이프에 영향을 끼치고 클라우드와 빅데이터에 근거한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머신비전 세미나에서 어드밴텍 최수혁 부장이 발표한 ‘IIoT 솔루션과 스마트 팩토리’에 대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어드밴텍 최수혁 부장 IoT 시대가 열리면서 필요한 플랫폼이 IoT SRP(Solution Ready Platform)이다. IoT SRP는 패키지 형태로 스마트 팩토리를 플랫폼화 하는 것이다. 여기서 패키지화하고 필요한 것들이 구성되면 이 플랫폼에 들어가는 디바이스들을 모듈화하고 여기에 모인 데이터들은 클라우드에 넘겨 분석한다. 그리고 산업 단위가 클라우드에 얼마만큼 사용되는가 하는 것이 그다음 단계인 IoT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IoT 시대의 클라우드 서비스 IoT의 혁명이 일어났을 때 임베디드 하드웨어 플랫폼이 늘어나려면 하드웨어를 많이 살 수밖에 없다. 여기서 다양한 이윤과 커버리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플랫폼 서비스로 어드밴텍은
작업자가 데이터를 수기로 하다 보면 오기와 누락이 생길 수 있으며 서류정리 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적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무선 SPC 시스템을 도입하면 시간 단축은 물론 페이퍼리스 작업도 가능해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머신비전 세미나에서 성신인스트루먼트 박용수 팀장이 발표한 ‘스마트 팩토리를 위한 SPC 시스템 적용과 도입 효과’에 대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성신인스트루먼트 박용수 팀장 성신인스트루먼트는 제조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계측기를 판매하는 미쓰토요 한국총판이다. 요즘 스마트 팩토리라고 해서 여러 가지 솔루션들이 많은데, 성신인스트루먼트는 실시간으로 계측기 데이터 입력을 받아서 측정된 데이터가 합격인지 불합격인지를 통계적 공정관리 기법을 사용해서 모니터링하고, 이상 원인이나 불량 내용들의 제거를 통해 양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SPC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무선 SPC 시스템 구성 제조업체에 가보면 품질 검사 성적서라는 게 있다. 대부분은 수기로 하고 있는데, SPC 시스템을 도입하면 이 모든 과정을 쉽고 간편하게 자동화할 수 있다. SPC 시스템은 계측기에 무선 송신기 시스템을 달아서 원거리에
정부는 1만개의 스마트 팩토리를 2020년까지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해 정보화 및 지식화하는 통합 플랫폼화가 중요하다.머신비전 세미나에서 (주)첨단 차남주 대표가 발표한 ‘중소기업을 위한 한국형 스마트 팩토리 구현 방안’에 대한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주)첨단 차남주 대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크다. 정부는 1만개의 스마트 팩토리를 2020년까지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로크웰, 지멘스 등의 대기업 중심의 모델이 중소·중견 기업에 적합한 것인지는 고민해봐야 한다. 이와 관련해 중소기업을 위한 한국형 스마트 팩토리 구현 방안에 대해 주식회사 첨단의 차남주 대표가 발표한 내용을 정리한다. 스마트 미디어와 스마트공장 최근 신문, TV, 잡지 등으로 대표되는 매스미디어가 스마트미디어로 넘어가는 추세다. 따라서 중소 출판사 및 잡지사의 지식 지능화 서비스를 위한 빅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스마트 미디어 통합 IT 서비스 플랫폼 개발이 필요해 보인다. 국내에만 2만 여개의 출판사가 존재한다. 그 중 전문 잡지사는 약 450개이다. 이를 지식서비스할 수 있는 플랫폼을
스마트 팩토리의 대표적인 키워드 중에서도 머신비전이 눈여겨봐야 할 점은 모듈 공정이나 자율분산 시스템, 설비 자체(공정 라인)가 언제 바뀔 수 있는지에 대한 대비, 그리고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스마트 센서 등의 키워드를 갖춘 스탠드얼론 시스템으로 모듈 공정이나 라인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머신비전 세미나에서 라온피플 김헌중 기술이사가 발표한 ‘스마트 솔루션과 플랫폼을 위한 고성능 스마트 비전 카메라’에 대한 강연 내용을 정리했다. ▲ 라온피플 김헌중 기술이사 머신비전은 사람의 눈이 아닌 이미지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토대로 비전 알고리즘을 통해 여러 가지 검사를 한다. 검사를 하고 측정을 하고 불량을 검출하고, 로봇 가이드를 위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바코드나 문자를 인식하는 등의 일을 수행한다. 머신비전 솔루션 시스템 구성에는 일반적인 머신 비전 카메라와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한 PC 또는 부가적으로 프레임 그래버가 들어간다. 그리고 거기에 필요한 비전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추가된다. 또 이런 전체적인 구성을 하나로 묶어 놓은 스마트 카메라 형태로도 비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기도 하며 실제로도 존
기술 전문 미디어그룹 (주)첨단이 머신비전 기반 스마트공장 구현 방안을 제시하는 ‘머신비전 세미나’를 9월16일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개최한다. (주)첨단과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공동 주최로 열리는 이번 세미나는 ‘스마트한 전략이 스마트공장을 만든다’는 주제로 머신비전 기반의 스마트공장 구현 방안을 제안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을 위한 한국형 스마트공장 구현 방향, 한국형 스마트공장 도입 추진 전략,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를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구현 방안, SPC 통계적 공정관리, 하이브리드 플랫폼을 사용한 머신비전 시스템 구현과 사례, 스마트 솔루션과 스마트 플랫폼을 위한 고성능 스마트 비전 카메라, 산업용 IoT와 스마트공장을 위한 제어 계측 시스템 등에 대해 생산기술연구원, 로크웰오토메이션, 성신인스트루먼트, 어드밴텍, 라온피플, 한국NI, KSTEC에서 나와 강연을 진행한다. 세미나 관련 자세한 내용은 관련 홈페이지를 방문하거나 (주)첨단 컨퍼런스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et)
고속영상처리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FPGA 프로그래밍 최근 머신비전 시장은 실시간 고속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수요가 계속 증가 하고 있고 고속 처리를 위해 일반적인 CPU 방식, 병렬 처리 GPU 방식, 실시간 FPGA pre-processing 방식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PC 기반 내에서의 처리는 이미 한계에 도달해 이에 따른 솔루션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VisualApplets’은 이런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하나의 솔루션으로 활용이 가능한 제품이다. 머신비전 세미나(Machine Vision Seminar)에서 다트비전 기술연구소 김상래 부장이 발표한 ‘VisualApplets’ 제품을 살펴본다. ▲ 김상래 부장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는 비메모리 반도체의 일종이며, 회로변경이 가능해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썼다, 지웠다를 반복 할 수 있다. 현재 머신비전에서 다양하게 활용 중이고 카메라에도 기본 탑재돼 있다. 실시간 고속 애플리케이션을 위해서는 FPGA가 필수다. 이미지 프로세싱에서 FPGA를 사용하는 목적은 CPU의 Charging(충전)없이 연속적인 연산을 수행 할 수 있으며 또한, 실시간 처리 구현
머신비전에서 GPGPU를 이용한 효율적 프로세싱 방안 GPGPU는 프로세서가 부담을 갖는 작업을 대신 처리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는 머신비전 세미나에서 앤비전의 성용원 차장이 발표한 ‘머신비전에서 GPGPU를 이용한 효율적 프로세싱 방안’ 내용을 요약했다. ▲ 성용원 차장 CPU를 이용한 프로세스는 CPU의 속도(Clock)에 의존하기 때문에 알고리즘에 한계를 지니게 된다. 또한 CPU 코어가 멀티코어로 진화하고는 있지만 CPU의 설계 특성상 복잡한 기능을 위해 병렬화가 제한돼 대용량 IO가 필요한 요소를 저해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검출 시 발생하는 노이즈 등을 제거하기 위해 검출력을 높일 수 있는 고난이도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지만 실제로 적용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미 2005년 듀얼코어가 등장하면서 CPU 프로세스의 한계를 인식하게 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개선책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저해 요소들이 존재한다. GPGPU란? GPGPU(General-Purpose computing on Graphics Process-ing Units)는 게임용 프로세서를 범용 프로세서로 발전시킨 것으로 GPGP 또는 GP2라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