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 2025 현장서 비전 AI 기반 로봇 자동화 솔루션 펼쳐 “지능형 로봇의 산업 내 영향력 확장세 선보여” 씨메스가 비전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자동화 솔루션을 들고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등판했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이번 씨메스 AW 2025 전시부스의 하이라이트는 ‘비정형 박스 팔레타이징(Random Box Palletizing) 로봇 솔루션’과 ‘피스피킹(Piece Picking) 솔루션’이다. 양 솔루션은 씨메스 전시관에서 시연 장면을 연출해 참관객의 이목을 끌었다. 이 중 비정형 박스 팔레타이징 솔루션은 다품종 혼합 적재 자동화 시스템이다. 기존 비정형 박스 팔레타이징 공정은 각 대상물을 정렬하는 ’대형 얼라인(Alignment) 장비‘와 출고 순서 변경
자율주행 솔루션, 제어 시스템, 통합관제 체제 등 SW 역량과 로봇 하드웨어 기술 접목한다 클로봇과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제조·물류 로봇 산업 성장과 신규 비즈니스 창출을 위해 손잡았다. 지난해부터 협력 관계를 다져온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시장 확장을 위한 공동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클로봇은 자율주행 솔루션, 작업제어 시스템, 통합관제 솔루션 등을 개발한다. 이어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자율주행로봇(AMR) 분야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신규 발굴할 예정이다. 김창구 클로봇 대표는 “레인보우로보틱스 AMR과 클로봇의 범용 로봇 자율주행 솔루션 ‘카멜레온(CHAMELEON)과 클라우드 기반 이기종 관제 솔루션 ’크롬스(CROMS)’를 결합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제조·물류 산업 현장에서의 자동화 솔루션이 한층 고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이어 이정호 레인보우로보틱스 대표는 “이번 협력을 통해 제조·물류 산업 내 자동화 기술 고도화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로봇 산업 발전과 양사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협력을 지속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제고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클로봇은 최근 현대자동차와 20억 원
플래그십 협동로봇 시리즈 ‘인디’에 이식...모방학습·충돌회피 등 차세대 AI 기능 ‘착착’ “자율성, 작업 능력 갖춘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될 것” 뉴로메카가 인공지능(AI) 기반 충돌회피(Collision Avoidance) 기능을 발표했다. 이 기술은 자사 협동로봇 시리즈 ‘인디(Indy)’에 접목됐다. 뉴로메카는 이로써 지난해 선보인 ‘모방학습(Imitation Learning)’ 기술에 이어 또 다른 AI 기능을 추가하게 됐다. 충돌회피는 다양한 객체를 3차원화해 정확히 인식하는 뎁스 카메라(Depth Camera)와 라이다(LiDAR)를 기능의 핵심으로 한다. 작업 중 회피가 필요한 상황을 인지하고, 실시간으로 안전 경로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로봇의 자율성·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 모방학습 기능은 작업자의 업무 데이터를 AI가 학습해, 로봇이 이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복잡한 동작과 패턴을 그대로 재현해, 다양한 비정형 업무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기술은 지난 1월 인디에 본격적으로 이식됐다. 뉴로메카 측은 이 같은 AI 기능을 통해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 구현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김창구 대표, ‘제3회 인공지능 대전망 그랜드 서밋’ 연사로 지능형 AMR 미래상 제시 “편리하고 효율적 로봇 활용, AI가 새로운 가능성 열어” 김창구 클로봇 대표이사가 이달 22일 열린 ‘제3회 인공지능 대전망 그랜드 서밋’에서 지능형 자율주행로봇(AMR)의 현재와 미래를 역설했다. 김 대표는 클로봇의 솔루션과 로봇 사업 모델을 예시로 들어, 로봇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해 설명했다. 특히 물류·이송 로봇, 순찰·보안 로봇, 청소·안내 로봇 등 서비스 로봇 모델과 더불어, 클로봇의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한 로봇 솔루션 비즈니스를 강조했다. 김창구 대표이사는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은 지능형 AMR이 인간 삶 속에 스며들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소”라며 “AI는 우리가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로봇을 활용하는 데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기술”이라고 전했다. 클로봇은 제조·물류·서비스 등 분야에서 로봇 솔루션·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현재까지 약 130여 개 고객사에 기술을 제공하며 레퍼런스를 확장하고 있다. 김 대표는 “클로봇은 앞으로도 AI 기반 로봇 자율주행 기술을 고도화해 혁신적인 로봇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포부를 다졌다. 한편, 클로봇은 지난해
델토 그리퍼 시리즈 고도화 ‘청신호’...3년 동안 최대 20억 원 지원받는다 “사람 대신하는 그리퍼 라인업 완성하는 것이 목표” 테솔로가 신용보증기금 주관 ‘퍼스트펭귄’에 선정됐다. 퍼스트펭귄은 혁신 기술·아이디어를 보유한 스타트업을 선발하는 제도로, 대상 업체에 다양한 형태의 금융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테솔로는 퍼스트펭귄에 선정됨에 따라, 앞으로 3년간 최대 20억 원의 금융 지원과 법률·세무·컨설팅 등 다양한 지원을 받는다. 테솔로는 이번 선정을 통해 기존 그리퍼 제품 개선과 연구개발(R&D)에 역량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고객사를 지속 유치할 예정이다. 김영진 테솔로 대표는 “테솔로는 사람 손과 유사한 크기의 로봇 핸드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며 “앞으로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인간을 대체해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그리퍼 라인업을 완성할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여성가족부 주관 ‘2024 가족친화인증기업’...업무·가정 양립 지원 역량 검증받아 “가족 중심 경영 철학으로 임직원의 일·가정 균형 확립에 기여할 것” 브릴스가 올해 여성가족부 주관 ‘가족친화인증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가족친화인증기업은 일·가정의 균형을 목표로, 직원 복지에 힘쓰는 기업을 선정하는 제도다. 브릴스는 시차 출퇴근제, 매주 금요일 ‘가정의 날’ 조기 퇴근, 자녀 학자금·양육비 및 가족 휴가 지원금 지급, 문화생활 프로그램 등을 통해 임직원을 격려하고 있다. 이러한 가정 친화적 복지 정책을 통해 이번 인증을 획득했다. 특히 직원 대상 학자금 전액 지원, 직무·직급 교육 등 정책도 실시해 인재 양성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더불어 카페테리아·체력단련실·사내도서관 등을 구축해 사내 시설에 대한 투자도 지속하는 중이다. 전진 대표이사는 “임직원을 자사 최고 자산으로 생각하고, 임직원이 일과 가정에 함께 집중할 수 있도록 가족 중심 경영을 전개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임직원이 더 나은 근무환경에서 일·가정의 균형을 이루면서 행복을 누리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킴 포블슨 CEO 최초 방한...협력체계 강화 의지 피력해 “미·중 이어 한국에 글로벌 서비스센터 구축할 것” 파트너십 생태계, 기술력, 품질·성능, 소프트웨어 역량 등 강조...터닝포인트로 ‘폴리스코프 X’ 지목해 우리나라는 로봇 도입에 적극적인 시장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특히 제조업에서 그 양상이 뚜렷하다.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제조 현장에 배치된 로봇은 총 400만 대로, 한국은 ‘로봇 밀도(Robot Density)’ 측면에서 1위를 차지한 국가다. 여기서 로봇 밀도는 작업자 1만 명을 기준으로 사용하는 로봇 대수를 평가하는 지표다. 우리나라는 지난 2023년 로봇 밀도 1012대를 기록하며 싱가포르 770대, 중국 470대를 크게 따돌리고 독보적인 선두를 달리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8조 원이 넘는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협동로봇(Collaborative Robot, 이하 코봇)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형국이다. 자동차·전기전자·반도체·이차전지 등 제조 분야를 비롯해, 조선·항공우주·농업·의료·서비스 등 현장에서 코봇 도입률을 크게 늘리고 있다. 이에 전 세계 코봇 시장점유율 40%에 달하는 유니
과기부장관상, 4차산업경영 부문 대상 ‘2관왕’...로봇 솔루션 통한 기여점 인정받아 “SI부터 하드웨어 제조까지 턴키 솔루션 제공할 것” 브릴스가 이달 27일 열린 ‘2024 TV조선 경영대상’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이하 과기부장관상)과 4차산업경영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이번 시상식은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기관을 선정하는 행사로, 브릴스는 그동안의 연구개발(R&D)·기술력을 인정받아 시상식 더블 크라운을 차지했다. 로봇 시스템통합(SI)을 관장하는 로봇 표준화 플랫폼 솔루션부터 로봇 하드웨어 제조까지 경쟁력을 인정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브릴스는 기존 핵심 역량인 로봇 표준화 플랫폼 솔루션을 기반으로, 로봇 시리즈 ‘BRS 시리즈’를 최근 론칭했다. 해당 라인업은 협동로봇·산업용로봇·방폭로봇·용접로봇·물류로봇 등 모델로 구성된 로봇 하드웨어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 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SI 컨설팅, 유지보수, 로봇 하드웨어 생산까지 로봇 올인원 서비스·솔루션 체제를 갖추게 됐다. 전진 브릴스 대표이사는 “이번 수상은 지금까지 R&D와 기술 혁신에 꾸준히 투자한 결과”라며 “특히 내년 초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는 BRS 시리즈는
로봇 핵심부품, 로봇 플랫폼, 자동화 솔루션 등 비즈니스 모델로 ‘역대 최대 매출’ 기록 뉴로메카가 올 3분기 누적 매출 172억 원을 기록하며 비즈니스 순항을 알렸다. 뉴로메카가 달성한 이번 매출액 성과는 지난해 전체 매출액 137억 원 대비 126% 증가한 수치다. 이러한 결과는 로봇 핵심부품, 로봇 플랫폼, 자동화 솔루션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한 것이 주효한 포인트로 분석된다. 특히 지난 6월 국내 조선 업체에 투입한 용접 전용 기체 ‘옵티(OPTi)’가 매출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로메카는 이번 성과에 이어 비즈니스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설립한 산업용 로봇 자회사를 통해 기존 협동로봇 제어 기술을 산업용 로봇에 녹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는 중이다. 산업용 로봇의 안전성·편의성을 극대화해 협동형 산업용 로봇을 개발하겠다는 전략이다. 이 과정에서 약 50억 원을 투입해 내년 양팔 협동형 산업용 로봇을 론칭하고, 2028년까지 최대 300kg의 고하중 산업용 로봇을 양산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뉴로메카 관계자는 “내년 손익분기점(BEP) 달성을 목표로, 로봇 핵심부품 양산·로봇 플랫폼 확대·자동화 솔루션 고도화·인공지능(AI) 기술 혁신 등
디지털 제조 혁신은 최근 인공지능(AI), IoT,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특히 제조 공정의 자동화와 지능화가 핵심 이슈로 떠올랐다.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데이터 중심의 스마트 공장 구축과 예지보전 기술의 도입을 강조한다. 또한 탄소중립과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친환경 제조 기술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다. 아울러 사이버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보안 강화가 필수 과제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특집] 업계 전문가가 제안하는 맞춤형 디지털 제조 혁신 방안 [Net-Zero로 가는 가장 빠른 길] 트렌드 전환 ‘데드라인’ 직면한 산업…지속가능성 확보로 ‘승부’한다 [제조 통합 플랫폼 전략] 바야흐로 ‘SDx’ 시대…제조업이 바라보는 소프트웨어 기반 혁신은? [XR 솔루션과 도입 사례] XR 기술은 ‘3D 설계 새로운 표준’…품질검사 시간 90% 단축 EVENT & ISSUE ‘로보틱스 출사표’ 슈나이더 로봇 턴키 솔루션 업체로 ‘진화’ 신호탄 쐈다 로봇의 ‘뉴 제너레이션’에 답하다 어드밴텍, 로봇·AI 융합 파트너십 강조 TECH NOTE 노르딕 세미컨덕터
인아그룹의 4개 계열사(인아오리엔탈모터, 인아텍앤코포, 애니모션텍, 인아엠씨티)가 10월 23일부터 25일까지 열린 ‘SEDEX 2024(제26회 반도체대전)’에서 자사의 최첨단 반도체 기술과 솔루션을 선보이며 행사장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SEDEX 2024’는 ‘AI 반도체와 최첨단 패키지 기술의 융합’을 주제로 280개사가 참가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인아그룹은 반도체 산업의 다변화하는 니즈를 충족하는 다양한 신제품을 공개하며 관람객과 업계 관계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인아오리엔탈모터의 혁신적 로봇 솔루션 인아오리엔탈모터는 자체 개발한 로봇 컨트롤러 MRC01이 적용된 6축 로봇 데모기와 스카라 로봇을 전시했다. 특히 다양한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키보드 및 미니 드라이버 데모기와 AZ MOTOR 기반의 IMC 컨트롤러는 관람객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MRC01 로봇 컨트롤러는 손쉬운 제어를 지원해 다방면에서 활용 가능성이 주목받았다. 고객 맞춤형 솔루션 강조한 인아텍앤코포 인아텍앤코포의 CORP 사업부는 ‘Customizing’과 ‘Support’를 주제로 한 전시를 통해 고객 맞춤형 제작이 가능한 JEL GTFR 반도체 웨이퍼 반송 로봇과 협동로
산업용 로봇, 협동로봇, 자율주행로봇, 방폭·용접 로봇 등 로봇 솔루션 역량 내세워 “로봇 기반 자동화 솔루션 전파해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것” 브릴스가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 시상식 ‘2024 로보월드 어워즈’에서 제조 부분 대상 업체로 선정됐다. 브릴스는 산업용 로봇, 협동로봇, 자율주행로봇(AMR), 방폭·용접 로봇 등으로 구성된 ‘브릴스 로봇 시리즈(BRS 시리즈)’를 보유했다. 이번 수상은 BRS 시리즈의 기술력을 인정받은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협동로봇 기반 스마트 AI 팔레타이징 CCTV 기술을 필두로 어워즈에서 수상한 이후 2년 연속으로 달성한 쾌거다. 브릴스는 현재 4~210kg으로 가반하중이 세분화된 산업용 로봇 라인업 8종, 제조·물류·식음료(F&B)·의료 등 분야에서 활약하는 협동로봇 제품군 10종, 방폭형 협동로봇 4종, 하이브리드 AMR 두 종 등을 각종 산업에 공급하고 있다. 전진 브릴스 대표이사는 “가격 경쟁력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BRS 시리즈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 성장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브라질 자동화 기술 ‘GTEX’, 호주 로봇 솔루션 ‘Robotine’ 등과 협력체계 구축 “브라질·호주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화” 뉴로메카가 해외시장 판로개척에 집중하고 있다. 이달 브라질 자동화 솔루션 업체 ‘지텍스(GTEX)’와 호주 로봇 솔루션 업체 ‘로보타인(Robotine)’ 등과 로봇 생태계 구축을 완료했다. 뉴로메카는 앞선 8월 독일 공정 자동화 업체 ‘에를리히(Ehrlich)’와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뉴로메카 측은 두 달 만에 또 하나의 협력 레퍼런스를 추가해 해외 시장 진출이 순항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지텍스는 기존 산업용 로봇 비즈니스를 확장해 협동로봇 시장으로 진출함에 있어 그 교두보로 뉴로메카를 선택했다. 뉴로메카 측에 따르면, 양사의 이번 파트너십 체결은 식음료(F&B) 산업에 레퍼런스를 보유한 뉴로메카의 역량이 주요했다. 이어 로보타인은 로봇 기반 자동화 솔루션 제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뉴로메카 파트너 교육 과정을 거쳐 호주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한 비즈니스를 전개할 방침이다. 뉴로메카는 이 밖에 미국·중국에 법인을 개설하고, 양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 구축한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 개막...기존 공구·툴부터 신기술 장착한 하드웨어까지 실시간 관전 전 세계 10개국 300개사 총출동해 참관객 4000명 끌어모아 포럼, 세미나, 동시 개최 행사 등 솔루션·볼거리·통찰력 ‘삼박자’ 하드웨어(Hardware)는 산업혁명 도래 이전부터 인간의 삶을 지탱하는 도구(Tool)로 활약해왔다. ‘단단한’을 뜻하는 ‘Hard’와 ‘물건’을 지칭하는 ‘Ware’가 융합된 합성어로, 금속 도구라는 뜻에서 파생돼 탄생했다. 하드웨어는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기능을 발휘하는 제품인데, 이 개념이 확장돼 컴퓨터 하드웨어가 탄생하기도 했다. 하드웨어는 긴 역사를 가진 만큼 그동안 수많은 변혁을 거쳐왔다. 인간이 활용함에 있어, 효율과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순 설계 변화부터 직전 세대 대비 새로운 형태가 출시되기도 했다. 단순한 수공구에서 기계·장비로의 진화가 대표적 사례다. 이렇게 여러 각도에서 인간사에 많은 영향을 미친 하드웨어는 여전히 우리 산업 안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중이다. 이러한 하드웨어는 전무후무한 형태 확장을 경험하고 있다. 이 양상에서 최근 가장 주목받는 하드웨어는 로봇이다. 로봇은 기계·장비보다 더욱 정밀하고, 효율
에브넷(Avnet)은 기업들이 최신 로봇 및 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해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제공한다고 21일 밝혔다. 오늘날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핵심 요소는 혁신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다. 제조업체 간의 생산성 격차 또한 자동화 기술의 도입 수준에 따라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에브넷은 지난 한 세기 동안 기술 변화의 흐름에 따라 가장 발전된 최신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역량을 강화해 왔다. 이를 기반으로 자동화 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에브넷의 심층적인 기술 및 전문지식과 공급망에서의 독보적인 입지를 활용해 투자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공장 자동화 분야는 기존의 산업용 로봇과 함께 인간과 로봇 간의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코봇(Cobot: Collaborative Robot, 협동로봇)의 등장으로 혁신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전통적인 산업용 로봇과 달리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코봇은 자동화를 확산하는 핵심 요소로 기능하고 있다. 특히 코봇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모두 손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배치가 용이해 기업들이 신속하게 자동화를 도입하는데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