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수가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열린 ‘데이터 시큐리티 서밋 2025’에 참가해 생성형 AI 시대를 위한 데이터 보안·거버넌스 전략을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텍사스 개인정보보호법(TDPSA)에 대응하고자 글로벌 에너지, IT, 방위 산업 기업들이 대거 참여한 자리로, 파수는 세션 발표와 솔루션 시연으로 멀티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한 데이터 보안 인프라 전략을 제시했다. 파수 미국법인 론 아덴 CTO는 ‘생성형 AI 시대를 위한 보안과 개인정보보호, 거버넌스’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AI 활용이 확산되고 규제 환경이 강화되면서 조직의 분산된 데이터를 식별·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인프라 구축이 필수가 됐다”고 강조했다. 파수는 이번 전시로 자사의 멀티클라우드 보안 대응 솔루션 ‘Fasoo DSPM’, 파일 기반 식별·분류 시스템 ‘FDR’, 전통적 문서 보안 솔루션 ‘FED’를 소개했다. Fasoo DSPM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반의 민감 데이터 흐름을 시각화하고 다크데이터와 섀도우 데이터까지 자동으로 식별해 보안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 FDR은 온·오프라인 저장소 내 민감 정보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후처리 기능까지 지원해 개인정보보호법 등 글로벌 컴플
국내 32%만이 도입 확대 계획 개인정보 보호 우려 여전, 데이터 관리 체계 강화 필요 클라우데라가 21일 발표한 글로벌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의 96%가 향후 12개월 내 AI 에이전트 도입을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수치는 32%에 그치면서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집계됐다. 클라우데라는 ‘기업용 AI 에이전트의 미래’를 주제로 총 14개국 IT 리더 15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주요 활용 분야로는 성능 최적화 봇(66%), 보안 모니터링 에이전트(63%), 개발 지원 보조(62%)가 꼽혔다. AI 에이전트는 단순 자동화 기술을 넘어 실시간으로 사고·적응·행동하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운영 민첩성과 고객 대응력 향상,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응답자의 87%는 “AI 에이전트는 향후 업계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요소”라고 답했다. 국내의 경우 82%의 IT 리더가 이미 AI 에이전트를 사용 중이며 95%는 투자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도입 확대에는 제동이 걸린 상황이다. 국내 응답자의
데이터브릭스와 팔란티어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기업의 AI 자동화를 가속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의 핵심은 팔란티어의 AI 운영 시스템 및 온톨로지 기술과 데이터브릭스의 데이터 엔지니어링, 데이터 웨어하우징 및 AI 플랫폼을 결합한 통합 솔루션이다. 이를 통해 두 기업은 생성형 AI와 머신러닝, 데이터 웨어하우징 기술이 통합된 개방적이고 확장 가능한 데이터 아키텍처를 고객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양사는 팔란티어가 보유한 강력한 데이터 온톨로지 시스템과 데이터브릭스의 방대한 데이터 처리 기술을 결합해 기업 고객들이 효율적인 AI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실시간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데이터브릭스의 데이터 거버넌스 솔루션인 유니티 카탈로그 및 델타쉐어링을 팔란티어의 멀티모달 보안 시스템과 통합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는 동시에 데이터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두 기업은 이미 미국 국방부, 재무부, 보건복지부 등 정부 기관과 글로벌 에너지기업 bp 등 민간 기업에서도 성능이 입증된 바 있다. 이번 협력으로 고객들은 개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중복과 비용 낭비를 크게 줄이고, AI 기반의 자동화 워크플로우 구축 및 운영 관리가 쉬워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