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2%만이 도입 확대 계획 개인정보 보호 우려 여전, 데이터 관리 체계 강화 필요 클라우데라가 21일 발표한 글로벌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의 96%가 향후 12개월 내 AI 에이전트 도입을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수치는 32%에 그치면서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집계됐다. 클라우데라는 ‘기업용 AI 에이전트의 미래’를 주제로 총 14개국 IT 리더 150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주요 활용 분야로는 성능 최적화 봇(66%), 보안 모니터링 에이전트(63%), 개발 지원 보조(62%)가 꼽혔다. AI 에이전트는 단순 자동화 기술을 넘어 실시간으로 사고·적응·행동하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운영 민첩성과 고객 대응력 향상,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응답자의 87%는 “AI 에이전트는 향후 업계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요소”라고 답했다. 국내의 경우 82%의 IT 리더가 이미 AI 에이전트를 사용 중이며 95%는 투자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도입 확대에는 제동이 걸린 상황이다. 국내 응답자의
[헬로즈업 세줄 요약] ㆍIBM의 에이전틱 AI, 하나의 UI에서 세일즈, HR, IT 등 70여 개 업무를 자동화 ㆍ데이터-모델-거버넌스를 아우르는 'Watsonx 플랫폼' 위에 맞춤형 AI 에이전트 구현 ㆍIBM은 2년간 약 4조7000억 원 규모의 생산성 달성, 이를 통해 기업용 AI 전략 확장 IBM이 21일인 오늘 IBM 이노베이션 스튜디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사의 최신 AI 전략인 ‘에이전틱 AI(Agentic AI)’를 공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IBM 이지은 전무, 김지관 상무 등이 참석해 전 세계 27만 명의 직원이 활용 중인 AI 에이전트 시스템의 실제 사례와 기업용 AI의 방향성을 소개했다. 핵심은 에이전트 중심의 업무 자동화로, 생산성과 혁신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IBM은 AI 기술이 단순 보조 수준을 넘어 전사적 업무에 직접 개입하는 ‘에이전틱 AI’ 시대로 진입했다고 강조했다. 이지은 전무는 “IBM 자체도 클라이언트 제로(Zero)로서 70개 이상의 업무 영역에 AI를 적용 중”이라며, “지난 2년간 약 35억 달러(한화 약 4조7000억 원)의 생산성 향상을 이뤘다”고 밝혔다. IBM이 제시한 핵심 전략은 기존의 단순 업
하이퍼클로바X 내세운 네이버- 민감정보 및 보안 관련 서비스의 카카오 '주목' 국내 양대 플랫폼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기업용 인공지능(AI) 서비스 시장에서도 치열한 경쟁을 펼칠 전망이다. 양사 모두 물밑에서 상용 서비스 출시 준비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8일 회사의 1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올여름 차세대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의 출시 계획을 언급하면서 "하이퍼클로바X를 검색뿐 아니라 네이버 서비스 전반에 적용할 것이며 나아가 B2B 기업용 서비스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 대표는 "글로벌 피어가 해결해주지 못하는 주문 제작과 데이터 보호 관련 이슈들을 해결하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특히 일본에서는 연내 라인웍스, 네이버웍스와 같은 생산성 도구에 하이퍼클로바X를 접목한 기업향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라며 "이를 위해 현재 네이버의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AI와 결합한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라고 소개했다. 카카오의 IT 서비스 자회사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도 일부 기업·기관을 상대로 기업용 초거대 AI를 바탕으로 한 비공개 시험 서비스(CBT·클로즈드베타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