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반하중 5kg 기반 ‘다이나믹셀-Y’ 이식한 협동로봇으로 참관객 시선 집중 “실내외 물류 시스템과의 연동 가능해...물류 자동화의 새 지평 열 것” 로보티즈가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에서 새로운 형태의 협동로봇 ‘오픈매니퓰레이터-Y(OM-Y)’를 산업에 처음 공개했다. 로보월드는 산업용 로봇부터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로봇 업계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로봇 축제다. 올해 전시회는 이달 23일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에서 열렸다. 로보티즈는 이번 전시장에 OM-Y를 비롯해 기존 캐시카우 자율주행로봇(AMR) 모델 ‘개미(GAEMI)’ 등을 전시해 참관객의 이목을 끌었다. 해당 전시부스에는 OM-Y와 개미가 융합된 완전 무인화 배송 시스템이 배치됐다. 해당 시스템은 환경적 제약으로 인해 배송이 제한된 상황을 타개하는 솔루션이다. 로보티즈가 구축한 배달·주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내외 환경을 효과적으로 연계한다. 이를 통해 단순 배송 효율성 극대화를 넘어, 스마트시티 내 물류 자동화를 구현할 기술로 기대받는다. 여기서 OM-Y는 협소한 공간에서 가동 가능한 협동로봇 기체다
전 세계 산업이 디지털 전환(DX)에 몰두하고 있는 동시에 인공지능(AI)·IoT·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기술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수준 높은 기반 시설을 요구한다. 여기에는 데이터센터(Data Centre)가 대표적이다. 서버 호텔(Server Hotel)이라고도 불리는 이 시설에는 전 세계 산업을 지탱하는 수많은 데이터가 지금 이 순간에도 순환하고 있다. 데이터센터에는 통신장비, 서버, 컴퓨팅 및 스토리지 시스템, 에너지 설비 등이 집약돼 쉬지 않고 발생하는 발열은 필연적이다. 이때 시설을 오랜기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발열을 잡는 것이 과제다. 그렇기 때문에 냉난방공조 기술은 데이터센터에 필수로 탑재되는 핵심요소다. 초거대 데이터센터로 불리는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가 등장함에 따라 냉난방공조 기술에 대한 요구와 기술적 발전의 기대감이 나날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냉난방공조 기술은 데이터센터뿐만 아니라 스마트시티, 관제센터, 다중이용시설, 차세대 빌딩, 스마트팜 시설 등 다양한 산업 인프라에 도입되고 있다. 이달 25일 산업 인프라 내 보이지 영역에서 중요한 임무
이달 25일 한껏 열 오른 글로벌 산업에 적절한 온도를 제공하는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eating, Air-Conditioning, Refrigeration and Fluid Exhibition 2024 이하 HARFKO 2024)’이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이번 전시회는 ‘HVAC&R 냉난방공조 기술 융합 미래의 큰 길’을 슬로건으로 열렸다. 230개사 1000개 부스 규모로 개막해 3일 동안 한국·미국·일본·유럽·호주·필리핀·말레이시아 등 23개국에서 2만4000명의 참관객을 불러 모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가 주관한 HARFKO 2024에는 냉매압축기, 냉장 및 공기조화 솔루션, 냉동냉장기기, 냉동공조부품, 냉각탑, 공구, 제어 계측기기, 난방 기기, 공기 기기, 냉난방공조 설비 기자재, 실내공기질 솔루션(IAQ), 클린룸 등 냉난방공조 관련 기술이 한데 출전한다. 여기에 인공지능(AI)·스마트 및 히트펌프 기술·복사냉난방시스템·탄소중립 트렌드 등을 주제로 펼쳐지는 ‘HARFKO 학술강연회’를 비롯해 제4회 국제신기술신냉매 정책 심포지엄, 국제냉난방공조 기술세미나, 신제품 설명회, 수출상담회 등이 부대행
이달 25일 한껏 열 오른 글로벌 산업에 적절한 온도를 제공하는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eating, Air-Conditioning, Refrigeration and Fluid Exhibition 2024 이하 HARFKO 2024)’이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이번 전시회는 ‘HVAC&R 냉난방공조 기술 융합 미래의 큰 길’을 슬로건으로 열렸다. 230개사 1000개 부스 규모로 개막해 3일 동안 한국·미국·일본·유럽·호주·필리핀·말레이시아 등 23개국에서 2만4000명의 참관객을 불러 모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가 주관한 HARFKO 2024에는 냉매압축기, 냉장 및 공기조화 솔루션, 냉동냉장기기, 냉동공조부품, 냉각탑, 공구, 제어 계측기기, 난방 기기, 공기 기기, 냉난방공조 설비 기자재, 실내공기질 솔루션(IAQ), 클린룸 등 냉난방공조 관련 기술이 한데 출전한다. 여기에 인공지능(AI)·스마트 및 히트펌프 기술·복사냉난방시스템·탄소중립 트렌드 등을 주제로 펼쳐지는 ‘HARFKO 학술강연회’를 비롯해 제4회 국제신기술신냉매 정책 심포지엄, 국제냉난방공조 기술세미나, 신제품 설명회, 수출상담회 등이 부대행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강성희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장 등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 주요 내빈이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다. 이달 25일 한껏 열 오른 글로벌 산업에 적절한 온도를 제공하는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eating, Air-Conditioning, Refrigeration and Fluid Exhibition 2024 이하 HARFKO 2024)’이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이번 전시회는 ‘HVAC&R 냉난방공조 기술 융합 미래의 큰 길’을 슬로건으로 열렸다. 230개사 1000개 부스 규모로 개막해 3일 동안 한국·미국·일본·유럽·호주·필리핀·말레이시아 등 23개국에서 2만4000명의 참관객을 불러 모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가 주관한 HARFKO 2024에는 냉매압축기, 냉장 및 공기조화 솔루션, 냉동냉장기기, 냉동공조부품, 냉각탑, 공구, 제어 계측기기, 난방 기기, 공기 기기, 냉난방공조 설비 기자재, 실내공기질 솔루션(IAQ), 클린룸 등 냉난방공조 관련 기술이 한데 출전한다. 여기에 인공지능(AI)·스마트 및 히트펌프 기술·복사냉난방시스템·탄소중립 트렌드 등을 주제로 펼쳐지는 ‘HA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강성희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장 등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 주요 내빈이 냉난방공조 기술을 참관하기 위해 방문했다. 이달 25일 한껏 열 오른 글로벌 산업에 적절한 온도를 제공하는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eating, Air-Conditioning, Refrigeration and Fluid Exhibition 2024 이하 HARFKO 2024)’이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이번 전시회는 ‘HVAC&R 냉난방공조 기술 융합 미래의 큰 길’을 슬로건으로 열렸다. 230개사 1000개 부스 규모로 개막해 3일 동안 한국·미국·일본·유럽·호주·필리핀·말레이시아 등 23개국에서 2만4000명의 참관객을 불러 모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가 주관한 HARFKO 2024에는 냉매압축기, 냉장 및 공기조화 솔루션, 냉동냉장기기, 냉동공조부품, 냉각탑, 공구, 제어 계측기기, 난방 기기, 공기 기기, 냉난방공조 설비 기자재, 실내공기질 솔루션(IAQ), 클린룸 등 냉난방공조 관련 기술이 한데 출전한다. 여기에 인공지능(AI)·스마트 및 히트펌프 기술·복사냉난방시스템·탄소중립 트렌드 등을 주제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 주요 내빈이 개막식에 참석해 개막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달 25일 한껏 열 오른 글로벌 산업에 적절한 온도를 제공하는 ‘제17회 한국국제냉난방공조전((Heating, Air-Conditioning, Refrigeration and Fluid Exhibition 2024 이하 HARFKO 2024)’이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이번 전시회는 ‘HVAC&R 냉난방공조 기술 융합 미래의 큰 길’을 슬로건으로 열렸다. 230개사 1000개 부스 규모로 개막해 3일 동안 한국·미국·일본·유럽·호주·필리핀·말레이시아 등 23개국에서 2만4000명의 참관객을 불러 모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냉동공조산업협회가 주관한 HARFKO 2024에는 냉매압축기, 냉장 및 공기조화 솔루션, 냉동냉장기기, 냉동공조부품, 냉각탑, 공구, 제어 계측기기, 난방 기기, 공기 기기, 냉난방공조 설비 기자재, 실내공기질 솔루션(IAQ), 클린룸 등 냉난방공조 관련 기술이 한데 출전한다. 여기에 인공지능(AI)·스마트 및 히트펌프 기술·복사냉난방시스템·탄소중립 트렌드 등을 주제로 펼쳐지는 ‘HARFKO 학술강연회’를 비롯해 제4회 국제신기술신
공장자동화(Factory Automation) 영역은 스마트 팩토리의 등장으로 혁신적인 스탭업을 경험했다. 이러한 레퍼런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전환(DX)'이 핵심 기반으로 작용한 결과다. 이 가운데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uring)'가 제조 산업의 트렌드로 급부상했다. 자율제조는 생산·제조 전주기에 걸쳐 구축되는 자동·무인·자율화 인프라로, 시스템 내 모든 요소가 연결돼 새로운 제조 인사이트를 제시할 전망이다. 자율제조는 제조업의 최종 종착지로 기대 받는 만큼 수많은 차세대 첨단 기술이 이식된다. 특히 자율제조 시스템을 구축·구동·관리하는 과정에서 중심축 역할을 하는 기술이 바로 인공지능(AI)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AI 기술은 공장의 자동·무인화를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 비정형적인 공정을 구현하고 이슈를 해결하는 데 핵심으로 활용된다. 예컨대 설비 이상·고장을 분석·예측하는 '예지보전'을 수행해 다운타임(Downtime) 저감과 생산성 극대화를 노리거나, 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이슈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으로 AI가 제조 산업에서 활약하고 있다. 이러한 AI의 특성을 통해 공장의 완전한 자율화가 가능할 것이
‘제조업 가치혁신 포럼’서 현주소 진단부터 비전 제시까지 제조 인사이트 제언 인공지능·로봇·디지털 트윈 등 제조 영역 전반에 신기술 도입 필요성 강조 “단독의 노력만으로 혁신 불가능해...민·관·산·학·연 협력 생태계 구축이 키포인트” 글로벌 제조 산업 세계관이 새로운 페이즈(Phase)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다. ‘꿈의 생산·제조 체제’로 전망되는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uring)’의 서사가 시작됨에 따라 그 시기가 앞당겨지고 있다. 자율제조는 공정 전주기의 모든 환경이 자동·지능·자율화된 시스템으로, 이 영역에서 비교적 선행 사례를 밟은 자동차 자율주행과 발전 방향성 및 운용 방식이 유사하다. 이러한 자율제조는 소품종 대량생산부터 다품종 소량생산에 이르기까지 제조 산업이 수차례 경험한 이른바 ‘제조혁신’의 최종 챕터로 평가받는다. 그러면서 패권 경쟁, 기후 위기 등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 노동인구·숙련 노동자가 갈수록 감소하는 노동력 부족 등 전 세계적으로 불어닥친 이슈의 새로운 대안으로 급부상했다. 여기에 수율 및 효율 최적화, 제품품질 균일·표준화, 제조 유연성 극대화 등을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이에
2024 자율 제조 월드 콩그레스 개막...국내외 제조 업계 산·연 전문가 연사 참여 인공지능·머신비전·디지털 트윈·로봇·자율주행 등 자율 제조 도달까지 주목 지점 제시 자율 생산(Autonomous Manufacturing)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구상은 제조 산업에 획기적 파란을 예고했다. 자율 생산은 24시간 365일 멈추지 않고 가동하는 공장을 의미한다. 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자동화 공장인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의 진화 형태임과 동시에, 현재까지 등장한 제조 시스템 중 ‘끝판왕’으로 인식된다. 흔히 떠올리는 공정 및 생산 라인의 자동화부터 시작해 설비·도구의 이상 탐지 및 예지보전에 이르기까지, 공장 스스로의 인식과 판단을 통해 현장 내 모든 영역이 자동적으로 운용되는 것을 자율 생산의 핵심으로 본다. 자율 생산은 생산가능인구 및 숙련 노동자 감소, 전쟁 및 분쟁, 자연재해 및 기후위기,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전 세계적으로 확장되는 불안정성 및 불확실성에 대응 가능한 ‘꿈의 제조’로 각광받는 중이다. 전문가들은 완전한 자율 생산 체제로 도달하기까지 ‘기술 융합’이라는 전 세계적 트렌드에 발맞춰야 한다고 조언한다. 자율 생산의 실현
‘비즈니스 퀀텀점프’ AI Tech 2024 개막 ‘전방위 AI 분석’ 세션 마련...AI 아이덴티티부터 활용 사례까지 담아 AI 도입 및 가치 실현 그리고 AI 통한 비즈니스 방향성 공유한다 인공지능(AI) 기술은 지난 2022년 11월 오픈AI의 대화형 AI 서비스 챗GPT(ChatGPT)가 출시되고부터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했다. 챗GPT는 거대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을 기반으로 한 초거대 및 생성형 AI가 설계 핵심이다. 이는 비서와 같은 보조 역할을 하는 것을 넘어 더욱 최적화된 의사결정을 주체적으로 제안하고, 나아가 기업이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기술을 탄생시키는 데 교두보 역할을 하기도 한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HBS), MIT 슬론, 펜실베니아대학교 와튼 스쿨, 워릭대학교 등과 함께 인공지능과 업무의 상관관계와 효율성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에 따르면 생성형 AI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의적 업무에서 최적의 효과를 도출했다. 인력에 의존했던 기존 프로세스에 AI를 녹이니 업무 효율이 극대화됐다는 분석이다. 이는 사람과 기계 간 협업 방식의 개선에도
‘비즈니스 퀀텀점프’ AI Tech 2024 개막 ‘전방위 AI 분석’ 세션 마련...AI 아이덴티티부터 활용 사례까지 담아 AI 도입 및 가치 실현 그리고 AI 통한 비즈니스 방향성 공유한다 인공지능(AI) 기술은 지난 2022년 11월 오픈AI의 대화형 AI 서비스 챗GPT(ChatGPT)가 출시되고부터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했다. 챗GPT는 거대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을 기반으로 한 초거대 및 생성형 AI가 설계 핵심이다. 이는 비서와 같은 보조 역할을 하는 것을 넘어 더욱 최적화된 의사결정을 주체적으로 제안하고, 나아가 기업이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기술을 탄생시키는 데 교두보 역할을 하기도 한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HBS), MIT 슬론, 펜실베니아대학교 와튼 스쿨, 워릭대학교 등과 함께 인공지능과 업무의 상관관계와 효율성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에 따르면 생성형 AI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창의적 업무에서 최적의 효과를 도출했다. 인력에 의존했던 기존 프로세스에 AI를 녹이니 업무 효율이 극대화됐다는 분석이다. 이는 사람과 기계 간 협업 방식의 개선에도
AI Tech 2024 개막...‘Evolution of AI & Industry’ 세션서 산업별 활용 방법론 공개 자율주행·금융·제조·교육·AI 모델 개발 등 영역의 AI 도입 및 가치 실현 방향성 공유 스트라드비젼·올거나이즈·퀄컴코리아·마키나락스·콴다 등 업계 전문가 총출동 인공지능(AI)은 오랜 기간에 걸쳐 진화 과정을 거쳤다. 과거 특정 산업군에서만 활약했던 AI 기술은 현재 생활 밀착형 기술로 자리매김하는 중이다. 바야흐로 AI 대중화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는 오픈AI의 챗GPT(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Generative AI) 기술이 탄생하면서부터 촉발된 양상이다. AI는 인간 삶을 더욱 편리하고 풍요롭게 변화시키겠다는 원초적 목적에 초점을 맞춰 지속 고도화가 진행되는 중이다. 현재 AI는 전 세계 각국 및 기업을 대상으로 AI 기술 준비 및 실현 현황을 조사한 보고서까지 발간될 정도로 글로벌 핵심 기술로 발돋움했다. 기존 제품 및 기술에 접목돼 경쟁력을 부여했던 AI는 이제 독자적으로 혁신 가치를 생산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다시 말해, AI는 인간에게 필요한 조언 및 인사이트를 제시하는 ‘보조’ 역할에서 실제 행동력까지 보유
AI Tech 2024 개막...‘Evolution of AI & Industry’ 세션서 산업별 활용 방법론 공개 자율주행·금융·제조·교육·AI 모델 개발 등 영역의 AI 도입 및 가치 실현 방향성 공유 스트라드비젼·올거나이즈·퀄컴코리아·마키나락스·콴다 등 업계 전문가 총출동 인공지능(AI)은 오랜 기간에 걸쳐 진화 과정을 거쳤다. 과거 특정 산업군에서만 활약했던 AI 기술은 현재 생활 밀착형 기술로 자리매김하는 중이다. 바야흐로 AI 대중화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는 오픈AI의 챗GPT(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Generative AI) 기술이 탄생하면서부터 촉발된 양상이다. AI는 인간 삶을 더욱 편리하고 풍요롭게 변화시키겠다는 원초적 목적에 초점을 맞춰 지속 고도화가 진행되는 중이다. 현재 AI는 전 세계 각국 및 기업을 대상으로 AI 기술 준비 및 실현 현황을 조사한 보고서까지 발간될 정도로 글로벌 핵심 기술로 발돋움했다. 기존 제품 및 기술에 접목돼 경쟁력을 부여했던 AI는 이제 독자적으로 혁신 가치를 생산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다시 말해, AI는 인간에게 필요한 조언 및 인사이트를 제시하는 ‘보조’ 역할에서 실제 행동력까지 보유
유공압을 요구하지 않는 ‘CNC 로터리 테이블’, 일체형 설계 ‘크로스롤러 베어링 유닛’ 공개 양헌기공이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SIMTOS 2024)’에 출격했다. 이 자리에서 CNC 로터리 케이블, 크로스롤러 베어링 유닛 그리고 이 제품을 결합해 실제 가동되는 데모도 함께 전시해 참관객의 이목을 끌었다. SIMTOS 2024는 올해 20회차를 맞이한 생산제조 산업 전시회로, 산업에 새로운 경향을 제시하기 위해 6년 만에 복귀했다. 올해는 35개국 1300개사가 6170부스 규모로 참가해 10만 명의 참관객을 모집한다. 양헌기공은 ‘제품 국산화’를 목표로 산업에 모션제어 기술을 공급하고 있다. 인덕스 드라이브(Index Drive)부터 P&P 유닛, 고정밀 수치 감속기 시리즈, 자동 공구 교환장치 ‘ATC 시리즈’, 로터리 케이블, CAM 제품 등을 포트폴리오를 보유했다. 이번 전시회에 출품된 CNC 로터리 케이블은 유공압을 요구하지 않는 제품으로, 제로 백래시 캠 감속 기술(Zero Backlash Reduce) 기술이 적용됐다. 해당 제품은 SN·ST·SM·SV·SHR430·T 등으로 라인업이 세분화돼 폭넓은 선택권을 제공한다. 또 다른 출품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