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구글·메타·오픈AI·애플 등 이른바 글로벌 빅테크 업체가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가운데, 휴머노이드 로봇을 구성하는 각종 기술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형태뿐만 아니라, 인지·판단·직관·운동성 등 인간에 내재화된 요소를 그대로 모사한 차세대 기체다. 이 안에는 인공지능(AI), 비전(Vision), 센서(Sensor),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로봇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고도화 기술이 접목된다. 최근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한 ‘피지컬 AI(Physical AI)’는 이 같은 기술을 한데 관장하기에 주목받는다.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가동을 실제로 구현한다는 점에서 기대받고 있다. 이처럼 휴머노이드 로봇은 다양한 로보틱스 연계 시스템이 총망라한 기술 총체다. 그리퍼(Gripper)는 여러 로봇 하드웨어 중 대상물을 집고 옮기는 데 초점을 맞춘 제품이다. 산업용 로봇, 협동 로봇 등 로봇 팔(Robot Arm) 끝단에 부착되는 ‘로봇팔 말단장치’로, 로봇 손에 해당하는 기술이다. 손가락 개수로 세분화된 ‘핑거 그리퍼’부터 진공 그
생성형 AI(Generative AI) 등장 이후,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는 물론 기획·분석·창작 등 비정형 업무에까지 AI의 영향력이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업무 자동화’ 차원을 넘어, 기업의 일하는 방식 자체를 바꾸고 있다. 이렇게 AI는 업무 효율화, 생산성 제고, 인력 운영 전략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회이자 도전으로 작용한다. 기업들은 AI 기술을 어떻게 수용하고, 어떤 방식으로 내부 프로세스를 재설계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적 고민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번 특집에서는 AI가 촉발한 업무 혁신의 양상을 짚고, 이에 대응하는 기업들의 전략과 방향성을 살펴본다. [특집] AI와 업무 혁신, 그리고 기업의 대응전략 [생성형 AI] AI 시대 업무 혁신…코파일럿, 조직 경쟁력 핵심 도구 [제조 AI] 자율제조 시대…로크웰, AI로 공장 자동화 혁신 [데이터 통합 솔루션] 데이터로 달성하는 ‘자율제조’…상황 분석부터 예측까지 도출 [ERP 솔루션] 제조 데이터 통합 핵심 ‘ERP’…“도입보다 활용에 중점 둬야” PEOPLE 김영진 테솔로 대표 자연스러운 조작·파지 로봇 손…자동화 ‘혁신’ 꿈꾸는 테솔로 이창호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시큐어파워
산업 자동화와 로봇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정밀 센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힘·토크 센서는 로봇이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이에 대한 기술 경쟁이 치열하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정전 용량 기반의 힘·토크 센서를 개발하여 더욱 정밀한 로봇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력을 갖춘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에이딘로보틱스는 2019년 성균관대학교에서 스핀오프하여 설립된 이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이어왔다. 현재 경기도 안양시에 본사와 연구소, 생산시설을 두고 있으며, 총 36명의 직원 중 9명이 핵심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있다. 단순한 센서 제조를 넘어, 힘·토크 센서를 활용한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며 산업 전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제품군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 회사의 대표 제품은 초소형 6축 힘·토크 센서와 협동로봇용 손목형 센서로, 전 세계에서 가장 작은 수준의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협동 로봇 및 산업용 로봇의 관절에 삽입할 수 있는 초박형 관절 토크 센서를 개발 중이며, 정밀 제어가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에이딘로보틱스는 센서 기술을 활용한 모듈 사업도 강화하고 있다. 스마트 그리
인간형 5지 로봇 핸드, 산업용 로봇 접목한 자동화 공정 미래상 제시...3D 비전 기반 빈 피킹 공정 구현해 HD현대로보틱스와 테솔로가 협력한 차세대 양팔 로봇 솔루션이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현장에 모습을 드러낸다. AW 2025는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로, 이달 12일부터 사흘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다. 이번에 소개되는 양팔 로봇 솔루션은 HD현대로보틱스의 산업용 로봇 모델과 테솔로의 인간형 5지 로봇 핸드 ‘델토 그리퍼 5F(Delto Gripper-5F)’가 융합된 형태로 설계됐다. 일반 제조업부터 자동차, 조선·해양, 물류, 서비스 등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 가능한 자동화 솔루션으로 알려졌다. 이번 전시회에 30부스 규모로 참가하는 HD현대로보틱스는 글로벌 연구개발(R&D)센터 로보틱스 연구소를 통해 신규 산업용 로봇 개발과 제어기 고도화를 진행하고 있다. HD현대로보틱스 관계자는 “이번 AW 2025에서는 우수한 협력사와 함께 기획한 다양한 솔루션을 소개할 것”이라며 “특히 부스에서는 비정형
에스피씨테크놀로지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리니어·핸들링·지그 교체 등 기술을 한자리에서 선보인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에스피씨테크놀로지는 지난 45년 동안 반도체·디스플레이·자동차·이차전지 등 산업에서 다양한 레퍼런스를 축적한 엔지니어링 업체다. 사측은 미국·유럽·일본 등 해외 기술력이 접목된 우수한 품질의 기계 부품과 최신 자동화 솔루션을 보유했다고 소개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하는 리니어 기술은 리니어 가이드, 리니어 샤프트를 직접 클램핑·브레이킹하는 솔루션이다. 위치 고정, 밀림 방지, 진동 억체, 비상정지 등 기능이 내재화돼 높은 품질·생산성과 안전성을 보장한다. 이어 다양한 그리퍼 라인업을 갖춘 핸들링 기술
그리퍼 기술 업체 테솔로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전한다. 이 자리에서 다양한 형태의 그리퍼 솔루션을 참관객에게 선보여 눈길을 사로잡을 계획이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테솔로는 ‘능숙한 로봇 손으로 가치를 드높이다(Enhance with Dexterous Robotic Hand)’를 비전으로, 로봇 그리퍼 및 자동화 솔루션을 산업에 제시하고 있다. 테솔로 관계자는 “유연성·확장성을 갖춘 그리퍼를 통해 로봇의 활용 무대를 넓혀가는 중”이라고 소개했다. 이러한 철학을 기반으로, 그리퍼 시리즈 ‘델토 그리퍼(Delto Gripper)’를 각종 공정에 전파하는 중이다. 델토 그리퍼는 두 손가락 2지 모델 ‘델토 그리퍼-2F(DG
진공 솔루션 업체 슈말츠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진공 기반 자동화 기술로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독일 소재 슈말츠는 진공 자동화·핸들링 원천기술을 보유했다.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자동차·전기전자·물류·식음료(F&B)·우주항공·목재 등 다양한 영역에 진공 기술을 전파해왔다. 지금까지 진공 자동화 부품, 진공 리프터·크레인, 로봇팔 종단장치(EOAT) 등을 개발·생산했다. 지난해 11월에는 핑거 그리퍼 ‘엠그립(mGrip)’을 출시하고, 비즈니스 순항을 알렸다. 지난 2005년 설립된 한국 지사를 통해 국내 시장에서도 활발한 활약을 전개하고 있다. 슈말츠는 이번 AW 2025 전시장에
로봇 자동화 플랫폼 업체 원익로보틱스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그리퍼 등 각종 로보틱스 솔루션을 공개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원익로보틱스는 물류 특화 로봇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공급하는 업체다. 그동안 축적한 풍부한 레퍼런스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현장에 차세대 로보틱스 기술을 전파하고 있다. 올해 원익로보틱스 전시장의 하이라이트는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WR300MM-TM with Tool Changer’다. 자사 자율주행로봇(AMR)에 협동로봇·그리퍼 등 로봇 기술이 한데 접목된 점이 특징이다. AMR은 자체 주행 알고리즘 기반으로, ±5mm 이내의 정지 정밀도와 높은 자유도를 구현한다.
델토 그리퍼 시리즈 고도화 ‘청신호’...3년 동안 최대 20억 원 지원받는다 “사람 대신하는 그리퍼 라인업 완성하는 것이 목표” 테솔로가 신용보증기금 주관 ‘퍼스트펭귄’에 선정됐다. 퍼스트펭귄은 혁신 기술·아이디어를 보유한 스타트업을 선발하는 제도로, 대상 업체에 다양한 형태의 금융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테솔로는 퍼스트펭귄에 선정됨에 따라, 앞으로 3년간 최대 20억 원의 금융 지원과 법률·세무·컨설팅 등 다양한 지원을 받는다. 테솔로는 이번 선정을 통해 기존 그리퍼 제품 개선과 연구개발(R&D)에 역량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외 고객사를 지속 유치할 예정이다. 김영진 테솔로 대표는 “테솔로는 사람 손과 유사한 크기의 로봇 핸드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며 “앞으로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인간을 대체해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그리퍼 라인업을 완성할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CIP·COP 등 인증 기준 소화...위생·유연성·안전성 확보해 물류, 자동차, 패키징, 식음료 등 공정서 활약 예고 슈말츠가 핑거 그리퍼 ‘엠그립(mGrip)’의 글로벌 데뷔를 알렸다. 엠그립은 위생 확보에 초점을 맞춰 설계된 공압식 기반 핑거 그리퍼 솔루션으로, 제품 오염·손상 방지에 최적화됐다. 대상물의 형태·크기에 맞춰 그리퍼 디자인을 원형·평행으로 선택 가능하고, 핑거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밀폐형 시스템을 채택해 CIP(Cleaning In Place), COP(Cleaning Out of Place) 등 위생 관련 인증 기준을 충족한다. 이를 통해 식음료(F&B)뿐만 아니라 물류, 자동차, 패키징 등 프로세스에 도입될 전망이다. 정만석 슈말츠코리아 대표이사는 “독일 본사와 긴밀히 협력해 국내 공정 환경에 특화된 엠그립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라며 “국내 다양한 산업에서 엠그립이 활약할 수 있도록 고도화된 전략을 전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IROS 2024 참가해 20관절 5지 휴머노이드 로봇 핸드 ‘DG-5F’ 최초 공개 “휴머노이드 로봇 활용 가치 극대화에 시작점 될 것” 테솔로가 ‘국제 지능화 로봇·시스템 콘퍼런스(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이하 IROS 2024)’에 참가해 그리퍼 신모델 ‘델토 그리퍼-5F(DG-5F)’을 처음 선보였다. IROS 2024는 이달 14일(현지시간)부터 닷새간 열리는 글로벌 로봇학회다. 미국전기전자기술협회(IEEE), 일본로봇공학회(RSJ)가 글로벌 로봇 엔지니얼 약 4000명을 초청해 개최했다. 테솔로가 이 자리에서 최초 공개한 DG-5F는 20관절 5지 휴머노이드 로봇 핸드로, 그리퍼 영역에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라고 평가받는다. 도구 기반 공정, 물체 조립·분해 작업 등 기존 수작업 기반 프로세스를 대체하는 자율화 모델로 기대받고 있다. 김영진 테솔로 대표는 “현재 로봇 업계는 완전 무인화 현장을 위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중”라며 “DG-5G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한편, 테솔로는 오는 23일
4만 참관객 모객해 DG-3F, DG-2F, DG-V 등 자체 그리퍼 역량 총동원 테솔로가 일본 도쿄에서 열린 글로벌 로보틱스 전시회 ‘재팬로봇위크 2024(Japan Robot Week 2024)’에 참가해 자사 그리퍼 모델을 글로벌 참관객에게 공개했다. 재팬로봇위크는 지난 2012년부터 일본로봇공업회, 일간공업신문가 주최하는 로봇 축제로, 올해 7회차 개막을 맞아 176개 업체 및 기관이 참여해 약 4만여 명의 참관객을 불러 모았다. 테솔로는 이 자리에 ‘델토 그리퍼 시리즈(Delto Gripper Series)’를 내놨다. 12관절 3지 그리퍼 ‘델토 그리퍼-3F(DG-3F’), 전동식 평행형 2지 그리퍼 ‘델토 그리퍼-2F(DG-2F)’, 진공 그리퍼 ‘델토 그리퍼-V(DG-V)’ 등 테솔로의 자체 역량 기반 그리퍼 기술이 참관객에게 눈도장을 찍었다. 테솔로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 참가로 일본 현지 고객에게 델토 그리퍼 시리즈를 소개함과 동시에 글로벌 고객과도 소통했다”며 “앞으로도 각종 로봇 핸드 라인업을 지속 확충해 도입 및 활용 확장성을 제고하고, 기존 수작업 기반 공정의 완전 자동화 실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소프트로보틱스社 핑거 그리퍼 엠그립 사업 부문 인수 핑거 그리퍼 하드웨어, 기술 데이터, 특허, 원천기술 등 확보 “기술 지원 강화해 한국 시장에 기술 최적화할 것” 슈말츠가 지난 5일 미국 자동화 솔루션 업체 소프트로보틱스(Soft Robotics)의 핑거 그리퍼 사업 부문 ‘엠그립(mGrip)’을 인수했다. 슈말츠는 이번 인수를 통해 엠그립 제품군을 비롯해 기술 데이터, 특허, 원천기술 등 엠그립의 핑거 그리퍼 전반을 흡수하게 됐다. 여기에 미국 메사추세츠주 보스턴 소재 소프트로보틱스 생산 시설도 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기반으로 식음료(F&B) 핸들링 산업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엠그립은 모듈식 설계를 통해 유연한 구동이 가능하고, 사용자 요구사항에 맞춰 구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제과·과일·채소·육류·어류 등 작업물을 정밀하게 다루도록 다양한 옵션이 갖춰져 F&B 산업의 위생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 쿠르트 슈말츠(Kurt Schmalz) 슈말츠 회장은 “엠그립의 새로운 핑거 그리퍼 포트폴리오를 통해 식품 핸들링 자동화 공정에 최적화된 핑거 그리퍼 솔루션을 제공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정만석 슈말츠코리아 대표이사는 “
에어 모니터링 시스템, 무선통신 시스템 등 기술력 피력 로봇·그리퍼·컴프레서·통신 및 에어 관리 시스템·온조장치 등 일체화한 ‘스마트 아키텍처’도 선보여 서보스타가 에어 모니터링 시스템과 무선통신 시스템을 KIMEX 2024 부스에 내놓고 참관객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제15회 한국국제기계박람회(Korea International Machinery Expo, KIMEX 2024)’는 지난 1997년 경상남도 최초로 개막한 기계산업 기술 전시회다. KIMEX 2024는 이달 25일부터 4일 동안 개막한다. 디지털 전환(DX)에 직면한 기계산업에 기존과 다른 차별화된 시각을 제시하기 위해 인공지능(AI)·로봇·빅데이터·오토메이션·IoT 등 기술이 접목된 솔루션이 총출동했다. 17개국, 160개사, 350개 부스 규모로 열린 이번 나흘간의 여정에는 머시닝센터, 고속 및 복합 가공기, 절단기 등 금속 절단 및 절삭 솔루션부터 센서, 액추에이터, 드라이브, 모션 컨트롤, 유공압기기, 로보틱스, 각종 소재·부품 등 제품이 최신 기술과 접목된 사례를 참관객에게 제공한다. 특히 탄소중립 및 에너지 전환 트렌드를 이끌 각종 친환경 솔루션도 전시돼 기계산업에 또 다른 방향성을
코봇 페이로드 용량이 커짐에 따라 코봇 엔드 오브 암 툴(EOAT)의 필요성도 함께 커졌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온로봇(OnRobot)은 새로운 그리퍼인 3핑거 3FG25와 2FG14 병렬 핑거 그리퍼를 출시했다. 외신에 따르면, 3FG25 그리퍼는 최대 25kg의 하중을 처리할 수 있고 2FG14는 최대 14kg의 하중을 운반할 수 있다. 두 그리퍼 모두 전기식이며 가벼운 것이 특징다. 온로봇에 따르면 이 페이로드 범위의 다른 어떤 전기 그리퍼도 다양한 구성의 핑거, 플랜지 어댑터, 케이블 및 로봇 프로그래밍의 복잡성을 제거하는 포괄적인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만능 플러그 앤 프로덕션 경험을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온로봇은 첨단 가공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인 엘리슨 테크놀로지스(Ellison Technologies)와 협력하여 온로봇의 D:Ploy로 구동되는 오토파일럿 머신 텐딩 시스템에 대해 협력한다고 발표했다. 오토파일럿은 CNC 머신 텐딩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재배치하는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D:Ploy는 협업 로봇 애플리케이션의 구축, 실행, 모니터링 및 재배포를 위한 자동화된 플랫폼이다. 엘리슨 테크놀로지스 관계자는 "불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