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에서 자율주행 셔틀이 실제 도로에서 정규 운행되는 첫 사례로 남아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이하 에이투지)가 그랩과 협력해 싱가포르 도심 공공도로에서 자율주행 셔틀 서비스를 정식 개시한다. 이번 협업은 싱가포르에서 자율주행 셔틀이 실제 도로에서 정규 운행되는 첫 사례로, 동남아시아 자율주행 상용화의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에이투지는 싱가포르 MRT 원노스역과 그랩 본사 사이 3.9km 구간에서 24인승 레벨4 자율주행 셔틀을 운행한다. 초기에는 그랩 임직원을 대상으로 출퇴근 외 시간대에 하루 2시간씩 운영되며, 훈련된 안전 기사가 탑승해 비상 상황에 대응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지원한다. 시범 운행은 9일부터 시작되며, 양사는 서비스 시작에 앞서 8일 싱가포르 현지에서 설명회와 시승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양사가 지난 3월 체결한 업무협약 이후 도출된 첫 번째 실증 사례다. 협약의 핵심 목표는 자율주행 기술의 안전성과 상업적 지속 가능성, 그리고 지역 내 일자리 창출 가능성을 실증하는 데 있다. 에이투지는 싱가포르의 복잡한 교통 환경과 열대 기후, 좌측통행 및 우핸들 도로 규정에 대응하기 위해 100시간 이상의 현장 데이터 수집과 알고리즘 학습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의 블록체인 기술과 그랩의 광범위한 네트워크 및 비즈니스 노하우 시너지 효과 기대 딥테크 기업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이 동남아시아 슈퍼앱 리더인 그랩과 조인트벤처(JV·합작회사) 설립을 추진한다. 양사는 16일 인도네시아 긱 워커(Gig Worker, 초단기 근로자) 재능 마켓 플랫폼 구축을 위한 합작계약서(JVA)에 공동 서명했다고 밝혔다.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은 지난해 9월 국내 최초의 N잡러들을 위한 일거리 매칭 서비스인 '요긱(YOGIG)'을 국내에 선보이고 초단기 알바, N잡 등 최신 긱 플랫폼 일거리 정보를 제공해왔으며, 올해 6월부터는 '동네미션' 신규 서비스를 통해 본격적인 매칭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에 매해 17%씩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긱 이코노미 시장을 주목해왔다. 이를 위해 동남아시아의 온디맨드 플랫폼 선도 기업으로 차량 호출 서비스에서 음식 및 소화물 배달, 모바일 결제까지 사업을 확장하며 동남아인들에게 일상 속 필수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한 그랩과 손을 잡게 됐다.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은 이번 협약을 통해, 그랩과 함께 긱 워커들이 일자리 매칭뿐만 아니라 금융 서비스까지 제공받을 수 있는 재능 마켓으로서의 플랫폼을
[헬로티] 그랩 상장으로 지분 가치 2.4배 증가 기대...글로벌 모빌리티 투자 가속 SK그룹의 투자전문회사 SK㈜가 투자한 동남아 그랩과 이스라엘 오토노모 등 글로벌 모빌리티 기업들이 연달아 상장을 추진하면서 SK㈜의 지분 가치도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 개최된 제30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발표 중인 장동현 SK㈜ 대표이사 (출처 : SK㈜) SK는 글로벌 투자 성과를 기반으로 앞으로도 미래 모빌리티 유망 기업에 선제적 투자를 강화할 방침이다. 14일 SK에 따르면, SK가 투자한 모빌리티 기업 중 '동남아 우버'로 불리는 그랩이 연중 스팩을 통한 나스닥 상장을 추진한다. 그랩은 스팩 상장 기업 중 사상 최대 규모인 396억 달러(약 44조 원)의 기업 가치를 평가받고 있다. SK그룹은 SK 주도로 2018년 약 2천500억 원(2억3천만 달러)을 그랩에 투자했다. 당시 그랩 투자에는 일본 소프트뱅크, 세계 최대 차량공유 기업 우버, 중국 최대 차량 공유업체 디디추싱 등 글로벌 기업이 경쟁적으로 참여했다. SK는 그랩 상장이 완료되면 SK 지분 가치는 약 5천900억 원(5억4천만 달러)으로 약 2.4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2012년
[첨단 헬로티] 동남아시아 호출서비스 시장 문 두드린 전기차 현대자동차의 대표 전기차 모델인 ‘코나 일렉트릭’이 싱가포르 공유경제 시장을 향해 시동을 걸었다. 현대자동차는 1월 16일, 동남아시아 최대 차량 호출 서비스(Car Hailing) 기업 그랩(Grab)이 최근 코나EV를 활용한 카헤일링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동남아시아에서 전기차를 활용해 혁신적인 차량 호출서비스를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현대자동차의 대표 전기차 모델 코나EV가 싱가포르 공유경제 시장에 본격 뛰어든다. <사진 : 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자동차는 이번 서비스 론칭을 위해 코나EV 20대를 그랩 측에 공급했다. 그랩은 공급받은 코나EV 20대를 소속 운전자에게 대여했고, 그랩 드라이버는 이 차로 카헤일링 서비스를 제공해 수익을 내고 있다. 그랩은 현대자동차로부터 공급받은 코나EV를 포함해 연내에 총 200대를 구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그랩은 전기차인 코나EV를 일반 내연기관 차량의 하루 대여금액과 크게 차이가 없는 80 싱가포르 달러(약 6.6만 원)로 책정해 초기 붐 조성에 나설 방침이다. 코나EV, 그랩 서비스에 최적화
▲밍 마 그랩 사장(왼쪽)과 페기 존슨 마이크로소프트 수석 부사장(오른쪽) [첨단 헬로티] 5년 동안 빅데이터, 인공지능 및 모빌리티 솔루션 등 다양한 기술 프로젝트 진행 마이크로소프트와 동남아시아의 선도적인 온디맨드 운송, 모바일 결제 및 O2O(online-to-offline) 서비스 플랫폼인 그랩(Grab)은 마이크로소프트가 보유한 세계적인 수준의 머신러닝과 기타 인공지능(AI) 역량을 활용해 동남아의 디지털 서비스 및 모빌리티를 혁신할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의 첫 단계로 그랩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인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를 선호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채택하고, 마이크로소프트는 그랩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다. 밍 마(Ming Maa) 그랩 사장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그랩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일상 서비스와 모빌리티 솔루션을 변화시킬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다양한 기술 프로젝트에서 마이크로소프트와 긴밀하게 협력할 것"이라며, "글로벌 테크 선두주자인 마이크로소프트가 그랩에 투자하기로 한 것은 동남아 지역의 선도적인 테크기업으로서 그랩의 입지를 부각하기 위함이다. 그랩 이용자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동남아 최대 차량 공유 서비스 '그랩'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최신 스마트 기기와 함께 기업 고객에 최적화된 모바일 솔루션과 보안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녹스’까지 공급하게 됐다. 그랩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운송 네트워크 제공하는 플랫폼 기업으로,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8개 국가 186개의 도시에서 승용차, 오토바이, 택시 등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7,700만대 이상의 모바일 기기에 다운로드 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등록된 운전자도 230만 명에 달한다. 삼성전자와 그랩은 등록된 운전자들이 삼성전자의 최신 스마트폰을 보다 쉽게 구매해 사용할 수 있도록 파이낸싱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지난해 미얀마에서 우선 시작된 이 프로그램으로 1,400여명의 운전자가 삼성전자 최신 스마트폰을 구매했으며, 올해부터 동남아시아 전 국가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그랩이 현재 설치를 확장해 나가고 있는 그랩 키오스크와와 그랩 부스에도 삼성전자의 제품을 공급한다. 그랩은 동남아
[첨단 헬로티] 최신 스마트 기기와 기업 고객에 최적화된 보안 솔루션 ‘녹스’ 공급 삼성전자가 동남아 최대 차량 공유 서비스 '그랩(Grab)'과 전략적 제휴(MOU)를 체결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 최신 스마트 기기와 함께 기업 고객에 최적화된 모바일 솔루션과 보안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녹스(Knox)’까지 공급하게 됐다. 그랩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운송 네트워크 제공하는 플랫폼 기업으로,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8개 국가 186개의 도시에서 승용차, 오토바이, 택시 등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7,700 만대 이상의 모바일 기기에 다운로드 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등록된 운전자도 230만 명에 달한다. 삼성전자와 그랩은 등록된 운전자들이 삼성전자의 최신 스마트폰을 보다 쉽게 구매해 사용할 수 있도록 파이낸싱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지난해 미얀마에서 우선 시작된 이 프로그램으로 1,400여명의 운전자가 삼성전자 최신 스마트폰을 구매했으며, 올해부터 동남아시아 전 국가로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