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그넥스 코리아가 로봇 산업 전문 전시회 ‘2025 로보월드’에 참가해 차세대 고정식 산업용 바코드 리더기 ‘DataMan 380 시리즈’를 선보였다. 이번 신제품은 한층 향상된 판독 속도와 인공지능 기반 알고리즘을 탑재해 생산 라인 자동화의 정밀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Cognex Corporation은 제조 자동화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비전 시스템·비전 소프트웨어·비전 센서·표면검사 시스템을 비롯해 산업용 ID 판독 장치까지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코그넥스의 솔루션은 결점 검사, 생산 라인 모니터링, 조립 로봇 가이드, 부품 정렬·식별·추적 등 다양한 산업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되며, 전 세계 기업의 생산 품질 향상과 비용 절감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코그넥스 코리아가 소개한 ‘DataMan 380 시리즈’는 고속 생산 라인에서도 안정적인 판독 성능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고정형 바코드 리더다. 최신 이미지 센서와 AI 기반의 디코딩 알고리즘을 적용해 저품질 또는 손상된 코드도 정확하게 인식하며, 멀티코드 판독 및 다중 초점 기능으로 복잡한 공정에서도 높은 처리 효율을 제공한다. 또한 직관적인 설정 인터페이스와 웹
“3분이면 진단 끝”…Heartbeat Technology로 유지보수 혁신 “식음료·제약 공정에 최적화”…글로벌 위생 인증 모두 획득 글로벌 산업자동화 계기 및 솔루션 기업 엔드레스하우저가 생명과학 및 식음료 산업을 겨냥한 신규 ‘콤팩트 센서 라인’을 선보였다. 이 제품군은 소형 설비에 적합한 설계와 고위생 구조, 디지털 연결성을 바탕으로 공정 안정성과 생산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신제품군은 압력, 연속 레벨, 포인트 레벨 측정을 위한 세 가지 원리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소형 프로세스 연결부와 일체형 설계로 다양한 규모의 공정에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위생 환경이 중요한 산업군을 타깃으로 설계된 만큼, 스테인리스 스틸 기반의 완전 밀폐 구조와 IP69 등급의 방수·방진 성능을 갖췄다. 제품은 EHEDG, 3-A, EG 1935, ASME BPE 등 위생 관련 국제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FDA 및 cGMP 기준에 적합한 소재를 적용해 자재 적합성과 추적성 역시 확보했다. 이를 통해 식음료 및 제약 산업에서 요구하는 까다로운 위생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했다. 대표 제품으로는 완전 용접형 위생 연결부를 채택한 압력 센서 Cera
세이지 비전, 세이지 빔스, 세이지 세이프티 등 주요 솔루션 선보여 세이지가 오는 6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14회 스마트테크 코리아(STK 2025)’에 참가해 AI 기반 머신비전 솔루션을 대거 선보인다. 스마트테크 코리아는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기술 융합 전시회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IoT, 로봇, 사이버보안 등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최신 기술들이 대거 소개된다. 올해 전시회에는 전 세계 14개국, 약 400개 기업이 참여하며, 제조·유통·물류·보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총 1,500여 개 부스가 운영된다. 세이지는 이번 전시에서 AI 기술로 무장한 머신비전 솔루션 3종을 공개하며, 스마트 제조 현장에 최적화된 기술력을 집중 조명받을 계획이다. 주요 출품작은 외관 결함 검사 솔루션 '세이지 비전(SAIGE VISION)', 공정 모니터링 솔루션 '세이지 빔스(SAIGE VIMS)', 안전 모니터링 솔루션 '세이지 세이프티(SAIGE SAFETY)' 등이다. 이들 제품은 각각 품질 관리, 생산 공정 최적화, 작업자 안전 확보 등 제조업 전반의 주요 과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세이지 비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이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해 배터리 산업의 혁신을 위한 첨단 분석 솔루션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는 올해로 13회째를 맞았다. 3일 동안 진행된 이번 전시회는 688개 기업, 2330개 부스로 열려 역대 최대 규모로 평가받았다. 인터배터리는 배터리 원재료부터 소재, 장비·시스템, 배터리 제조, 재사용·재활용까지 배터리 산업 생태계를 총망라한다.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 Inc.)은 과학적 혁신을 이끄는 글로벌 기업으로 배터리 연구·개발부터 제조, 품질 관리, 공정 모니터링까지 전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분석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오픈 이노베이션 협업 모델을 제시하며 배터리 산업 발전을 위한 종합적인 분석 기술을 선보인다. 써모 피셔는 '배터리 고객 경험 센터 존'을 운영하며, 방문객들이 배터리 연구개발, 품질관리 및 제조 공정별 솔루션을 직접 확인하고 맞춤형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주요 솔루션으로는 ▲시료 주입부터 분석까지 간편하게 품질 관리의 신뢰성을 높이는 단일 사중극자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iCAP MSX Single Qua
@ gettyimagesbank 스마트공장의 보급․확산에 따른 공장 스마트화 확대 지원 중소기업청은 뿌리기업의 생산성 향상 및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뿌리기업 자동화·첨단화 지원사업에 40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도(20억원) 대비 100% 증가한 규모로 뿌리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존 공정의 개선에는 1억원을, 공장 스마트화에는 2억원까지 지원된다. 뿌리기업이라 함은 주조․금형․용접 등을 통해 소재를 부품으로, 부품을 완제품으로 생산하는 기초 공정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제조업 혁신 3.0전략 실행대책’에 따라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위해 공정자동화는 물론 공장의 스마트화까지 확대 지원된다. 공정자동화는 기존 뿌리공정의 수작업 공정, 재해유발공정, 환경 개선 등을 목적으로 최대 1억원, 20개사를 지원되고, 공장스마트화는 공정모니터링, 공정정보 데이터베이스화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모델에 최대 2억원, 10개사를 지원된다. <자료:중소기업청> 또한, 단계별 코칭지원을 신설해 신청기업이 공정기술전문가(이하, 공정멘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