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의 급속한 진화가 실직 우려로 이어지며, 그간 신중한 입장을 견지해 온 미국 주요 기업 경영진들 사이에서도 공개적인 경고 발언이 나오고 있다. 혁신의 상징이었던 실리콘밸리를 넘어, 전통적인 대기업들까지 AI발 실업 가능성에 대한 현실적인 우려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포드의 짐 팔리 CEO는 “AI가 미국 사무직 노동자의 절반을 대체할 것”이라며 “많은 사무직이 뒤처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실리콘밸리 외 기업 경영진 중 AI로 인한 구조적 실직 문제를 가장 강도 높게 언급한 사례로 평가된다. 이와 비슷한 우려는 금융업계에서도 표출되고 있다. JP모건체이스의 메리앤 레이크 커뮤니티비즈니스 부문 CEO는 “AI로 인해 운영 부문 인력이 향후 몇 년 내 10% 이상 줄어들 수 있다”고 밝혔다. 실리콘밸리에서는 이미 AI 기반 업무 전환이 활발하다. 아마존의 앤디 재시 CEO는 “AI 소프트웨어 에이전트는 사무직의 수를 줄일 것”이라 언급했고, 생성형 AI 분야의 선두 주자인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향후 5년 내 신입 사무직 절반이 사라지고 실업률이 20%까지 오를 수 있다”며 강도 높은 전망을 내
[첨단 헬로티] 한국서부발전(사장 김병숙, 이하 서부발전)은 11월 15일(목) 한국에너지공단이 쉐라톤 서울팔래스 강남호텔에서 개최한 「2018년 에너지절약 우수사업장(Energy Champion) 인증서 수여식」에서 민간 일자리 창출 성과를 인정받아 특별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번 ‘일자리 창출 특별상’은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3대 분야(일자리 창출, 동반성장, 기술혁신)에 공로가 큰 기업을 선정해 선도적 역할을 격려하고 우수사례의 확산을 위해 신설됐다. 서부발전은 민간 일자리 창출을 위해 농가와 기업, 정부가 함께하는 온실가스 감축사업으로 40여개의 농가에 대해 맞춤형 감축사업을 지원하고, 중소기업의 온실가스 감축기술을 배출권거래제와 연계하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로 청년 일자리와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산하 사업장인 평택발전본부(복합)와 군산발전본부는 2015년 에너지경영시스템(ISO 50001) 도입 이후 실시간 에너지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과 자발적 에너지절약 활동에 대한 외부 심층평가를 통해 에너지절약 우수사업장으로 선정되는 겹경사를 맞았다. 에너지절약 우수사업장 인증제도는 2017년 시범사
[헬로티] 절연 및 차단성능으로 이용되지만, 대기오염에 악영향을 미치는 ‘SF6 가스’를 쓰지 않고도 동일한 차단성능을 발휘하는 가스차단기 기술이 개발돼 국내 온실가스 감축이 기대되고 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원장 박경엽) 전력기기연구센터 송기동 책임연구원팀이 전력기기업체인 선도전기와 공동으로 연구한 끝에, 최근 SF6 가스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72.5㎸ 가스차단기’에 대한 단락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72.5㎸ 가스차단기는 주로 고속철도·지하철·경전철 변전소에 들어가서 철도계통을 보호하고 유지시켜주는 전력기기다. SF6가스는 전기가 통하지 않게 하는 절연성능과 계통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이를 차단하는 아크소호 성능이 다른 어떤 가스와 비교해 월등하게 뛰어나 각종 전력기기 산업에 주로 사용돼 왔다. 하지만 SF6는 지구온난화 계수가 CO₂의 무려 23,900배에 이르고 한번 대기 중에 누출될 경우 3,200년을 존재하면서 지구 대기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 송기동 책임연구원팀은 SF6가스 대신, 이산화탄소(CO₂)와 산소(O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