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포드 CEO “AI가 사무직 절반 대체“...美 대기업도 실직 경고

URL복사

 

AI 기술의 급속한 진화가 실직 우려로 이어지며, 그간 신중한 입장을 견지해 온 미국 주요 기업 경영진들 사이에서도 공개적인 경고 발언이 나오고 있다. 혁신의 상징이었던 실리콘밸리를 넘어, 전통적인 대기업들까지 AI발 실업 가능성에 대한 현실적인 우려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포드의 짐 팔리 CEO는 “AI가 미국 사무직 노동자의 절반을 대체할 것”이라며 “많은 사무직이 뒤처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실리콘밸리 외 기업 경영진 중 AI로 인한 구조적 실직 문제를 가장 강도 높게 언급한 사례로 평가된다. 이와 비슷한 우려는 금융업계에서도 표출되고 있다. JP모건체이스의 메리앤 레이크 커뮤니티비즈니스 부문 CEO는 “AI로 인해 운영 부문 인력이 향후 몇 년 내 10% 이상 줄어들 수 있다”고 밝혔다.

 

실리콘밸리에서는 이미 AI 기반 업무 전환이 활발하다. 아마존의 앤디 재시 CEO는 “AI 소프트웨어 에이전트는 사무직의 수를 줄일 것”이라 언급했고, 생성형 AI 분야의 선두 주자인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향후 5년 내 신입 사무직 절반이 사라지고 실업률이 20%까지 오를 수 있다”며 강도 높은 전망을 내놨다.

 

실제 기업 현장에서는 구조조정 신호가 뚜렷해지고 있다. 듀오링고는 AI가 수행 가능한 업무에 대한 계약직 고용을 중단했으며, 쇼피파이는 신규 채용 시 AI가 대체할 수 없는 이유를 문서화하도록 직원들에게 요구하고 있다. 백신 제조사 모더나 또한 AI를 기반으로 추가 인력 없이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프리랜서 플랫폼 피버(Fiverr)의 CEO 미카 코프먼은 “프로그래머, 디자이너, 변호사, 판매직 등 직군을 가리지 않고 대부분의 일자리가 AI로부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반면, 과도한 공포를 경계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딥마인드 CEO 데미스 허사비스는 “일자리를 잃는 것보다 AI 통제력 상실이 더 큰 위협”이라고 했고, 오픈AI의 브래드 라이트캡 COO는 “신입 일자리가 대규모로 대체된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IBM의 아빈드 크리슈나 CEO는 일부 직무를 AI로 대체했지만, 프로그래머와 영업직은 오히려 채용을 확대했다고 밝혔다. 

 

AI 도입은 이제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산업 구조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로 자리잡았다. 기업들은 비용 절감과 효율성이라는 명분 아래 점차 사무직 구조를 재편하는 한편, 그 여파는 고용시장과 노동 정책에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