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은 금융기관, 정부, 기업이 안전하게 디지털 자산을 운영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 ‘IBM 디지털 에셋 헤이븐(IBM Digital Asset Haven)’을 출시했다. 이 플랫폼은 디지털 자산의 보관부터 거래, 결제까지 전 과정을 단일 솔루션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규제 준수를 지원하고 다양한 시스템과의 통합도 가능하다. IBM 디지털 에셋 헤이븐은 글로벌 디지털 지갑 인프라 분야의 선도 기업인 Dfns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됐다. IBM의 인프라와 보안 기술에 Dfns의 디지털 자산 보관 및 관리 기능을 결합했다. Dfns는 현재까지 250개 이상의 고객을 위해 1500만 개 이상의 디지털 지갑을 생성했으며 복잡한 규정 준수 요건과 성능, 보안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 토큰화 자산과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금융기관은 변화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디지털 자산 시장은 금융기관이 상품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는 데 있어 전략적 기회를 제공한다. IBM 디지털 에셋 헤이븐은 IBM의 보안성과 기술 신뢰성을 기반으로 이러한 기관들이 새로운 디지털 경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플랫폼은 업계 최고 수준의
엔라이튼은 ‘2025 디지털 이노베이션 어워드’에서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20일 밝혔다. 엔라이튼은 ‘발전왕’ 플랫폼을 통해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 운영을 디지털 기반으로 통합하고, 분산에너지 자원을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온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대한민국 디지털 이노베이션 어워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는 정부 포상으로, ICT 개발과 융복합 활용을 통해 디지털 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한 기업, 기관을 선정해 시상한다. 엔라이튼은 ‘발전왕’ 플랫폼을 통해 전국 3만 개소(6.7GW) 규모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통합 관리하고 있다. 발전왕은 발전량 실시간 모니터링, 이상 감지 및 알림, 매전량 및 보증시간 분석 자동화 등 운영 절차를 순차적으로 디지털화하며 발전소 관리 효율을 높여 왔다. 엔라이튼은 여기에 AI 기반 분석 기술을 적용해 발전량 변화나 설비 이상 징후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기능을 고도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발전사업자는 발전소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엔라이튼은 발전왕에서 축적된 운영 데이터를 직접전력구매계약(PPA), 전력중개 등 재생에너지 전력거래
노타는 대한무역진흥공사와 한국경제인협회가 주관한 한국-아랍에미리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참가 기업으로 선정돼 대통령 아랍에미리트 방문에 동행했다. 이번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은 미래 파트너십을 주제로 AI 등 첨단산업, 방산·에너지·인프라, 문화 분야에서 아랍에미리트와 협력을 위해 추진됐다. 국내에서 참가한 기업인은 25명이며, 이번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기업 명단에 따르면 AI 분야 스타트업으로는 노타가 유일했다. 노타는 UAE 시장에서 입지를 꾸준히 확대해 왔다. 2024년 11월에는 UAE 교통 인프라 기업 ATS와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올해 4월에는 두바이 교통국과 생성형 AI 기반의 지능형 교통체계(ITS)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노타는 이번 라운드테이블을 통해 UAE에서 지능형 교통체계 솔루션의 외연확장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 두바이 교통국과는 올해 계약을 완료한 지능형 교통체계 솔루션을 2026년에도 확대 적용하는 것에 협의했으며, 아부다비 교통청과도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 구축사업의 본격적인 추진을 논의했다. 노타는 생성형 AI 기술을 온디바이스 환경에 적용한 영상 관제 솔루션 노타 비전 에이전트(NVA)를 통해 지능형 교통체계 시
라온피플이 태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AI 반도체 구축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라온피플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및 태국 붕깐주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형 NPU를 탑재한 AI 관제솔루션의 태국 현장 실증을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점검에서는 태국 붕깐주의 AI 관제실 내 NPU 탑재 및 시스템 운영, CCTV 구축현황, AI 관제 및 모니터링, 홍수관제와 함께 선박 및 교통사고 검지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관제 솔루션 전반을 확인했다. 라온피플은 붕깐주 인근의 메콩강 범람으로 인한 수해 또는 재난상황을 생성형 AI 기술로 탐지 및 분석하고 단계별 위기대응을 지원하는 재난안전 관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현장 실증을 토대로 재난 대응력을 높여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하고 향후 교통, 방범, 밀수, 범죄 등 AI 다중 융복합 관제로 확대해 붕깐주 스마트시티 건설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복안이다. 이날 실증에 참석한 태국 붕깐주 관계자는 “매년 홍수 및 재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라온피플 AI 관제솔루션 도입으로 체계적인 대응이 가능해져 피해를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AI 분야는 다른 주정부에서도 관심있게 지켜보는 사업인
3D프린팅 전문기업 글룩이 ‘ICT 기기 산업 페스티벌 2025’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며 피지컬 AI 시대의 핵심 후방 산업으로서 3D프린팅 기술의 시장 가치를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이번 수상은 글룩이 의료 시뮬레이터 분야에서 구축한 3D프린팅 기술 경쟁력과 글로벌 확산 기여도가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로 평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한 ICT 기기 산업 페스티벌은 국내 최대 ICT 기기 산업 행사로, 11월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됐다. 올해 행사는 피지컬 AI가 개척할 미래 산업 구조를 조망하는 한편, AI 전환을 뒷받침하는 컴퓨팅·네트워크·3D프린팅 분야의 혁신 기술과 산업 공헌자를 선정해 시상했다. 글룩은 의료 시뮬레이터 기술 개발 성과를 통해 ICT 기기 기술과 의료 기술을 융합한 신성장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수상자로 선정된 글룩 신연선 이사는 3D프린팅을 활용한 의료 시뮬레이터 개발 및 글로벌 확산을 주도해 왔다. 대표적 사례로 캐나다 SickKids 병원 유시준 교수와 공동 개발한 소아 심장 시뮬레이터가 있다. 글룩은 3D프린팅 기반의 DfAM 디자인이 적용된 몰드와
의료 인공지능 기업 루닛이 미국 진단시장 1위 기업 랩콥(Labcorp)과 AI 기반 디지털병리 분야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진단·임상시험 서비스 분야 글로벌 톱티어 기업과의 협력은 루닛 AI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과 기술 신뢰도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사례로 평가된다. 양사는 최근 미국에서 열린 SITC 2025와 AMP 2025 두 학회에서 첫 공동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협력 관계를 공식화했다. 랩콥은 100여 개국에서 7만여 명의 직원이 연간 7억 건 이상의 진단 검사를 수행하는 글로벌 리딩 기업으로, 지난해 매출 130억 달러(약 19조 원), 시가총액 약 32조 원 규모의 미국 1위 진단 기관이다. 다수의 FDA 승인 신약 개발 과정에서 임상시험·분석 서비스를 제공해온 만큼 실제 임상 환경에 대한 풍부한 데이터와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루닛과의 협력은 AI 기반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분석 기술을 글로벌 임상 평가 영역으로 확장시키는 중요한 기반이 된다. 양사는 첫 공동 연구로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MET 변이 유형에 따른 종양미세환경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SITC 2
카카오 IT 서비스 전문기업 디케이테크인이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품질경영시스템 국제 규격 ‘ISO 9001’ 인증을 획득하며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과 업무 프로세스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ISO 9001은 제품 기획부터 설계, 생산, 서비스 운영 등 전 과정에서 품질경영체계가 국제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는 가장 권위 있는 글로벌 인증 중 하나로, 디케이테크인은 이를 통해 공공·민간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디케이테크인은 이번 심사에서 AI 기반 기술을 중심으로 사내 협업 및 그룹웨어 플랫폼, 기업 맞춤형 음성 AI 플랫폼, IT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등 주요 B2B 서비스 영역 전반에 걸친 품질경영체계를 인정받았다. 특히 최신 AI 기술을 서비스 전반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정보보호와 보안 정책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이를 지속 점검하는 내부 관리 체계를 강화한 점이 높은 평가로 이어졌다. 회사는 이번 인증을 계기로 서비스 품질 표준화와 운영 프로세스 고도화를 더욱 확대해 고객 만족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ISO 9001 인증은 단순한 기술 인증을 넘어 기업의 전사적 품질경영체계가 국제 기준에 부합함을 의미한다. 디케이테크인은 최근
AI 기반 온라인 시험 감독 솔루션 ‘모니토(Monito)’를 운영하는 그렙이 생성형 AI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고도화 모델 ‘모니토 플러스(Monito+)’를 출시했다. 온라인 시험 환경에서 ChatGPT 등 생성형 AI를 활용한 부정행위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기존 화면 중심 감독 방식만으로는 대응이 어렵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그렙은 이번 제품을 통해 기기 자체를 통제하고 보안 위협을 실시간 감지하는 설치형 브라우저 기반 기술을 적용해 감독 체계를 한 단계 강화했다. 모니토 플러스는 응시자의 시험 기기를 직접 통제하는 보안 브라우저가 핵심이다. 시험 전·중 단계에서 비허용 프로그램 실행, 원격제어, 가상 웹캠, USB·블루투스 연결 등 부정행위 가능성이 있는 요소를 자동 탐지해 필요 시 시험을 즉시 중단한다. 기존의 웹캠·화면 캡처 중심 방식이 포착하지 못한 영역까지 감지 범위를 확장한 구조다. 특히 AI·가상 장치 기반 부정행위가 늘어나는 최근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음성 감지·얼굴 인식 기반의 다층 모니터링 기능도 도입했다. 그렙은 이미 온라인 시험 감독 분야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 신한은행·하나은행·한국전력공사·인천국제공항공사
커머스 AI 에이전트 기술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인핸스가 국군재정관리단과 AI 기술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국방 분야의 디지털 전환 속도를 높이고 있다. 국군재정관리단은 국방부 산하에서 국방 예산 집행과 재정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 방대한 규모의 예산·회계·계약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이번 협약은 이러한 핵심 행정 프로세스에 최적화된 AI 기술을 도입해 국방 재정 업무의 자동화·지능화를 추진하기 위한 목적에서 마련됐다. 양 측은 AI 에이전트 모델 개발, 재정 프로세스 혁신, 디지털 행정 시스템 고도화, 민·관 협력 기반 구축 등을 중심으로 중장기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인핸스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방 분야에 자사의 대표 기술인 LAM 기반 AI 에이전트 솔루션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LAM(Large Action Model)은 단순 언어 생성에 머무르는 기존 LLM과 달리 실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스스로 판단하고 직접 실행할 수 있는 AI 모델로, 주어진 목표 달성을 위한 실질적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재정 관리와 복잡한 문서 행정이 핵심인 국방 조직 특성상, 반복 업무 자동화와 오류 감소 효과가 클 것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AI)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핵심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성과를 거뒀다. 연구진은 5년여에 걸친 노력 끝에 이뤄낸 이번 결과를 통해 대한민국이 AI 기술뿐 아니라 AI 규범과 신뢰성 검증 기준까지 선도하게 됐다고 자평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AI 시스템의 테스트 절차와 방법론을 정의한 ‘AI 시스템 테스팅 개요’ 표준이 국제표준화기구(ISO/IEC JTC1)에서 지난 3일 공식 제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우리나라가 ISO/IEC 인공지능 기술위원회(SC 42)에서 주도적으로 제정한 최초의 AI 테스팅 핵심 국제표준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번 성과는 ETRI가 글로벌 AI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를 넘어 ‘선도자(First Mover)’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준다. ETRI는 이번 성과가 인공지능의 데이터 품질, 모델 성능, 편향성 등 AI 전주기 테스트 방법론을 최초로 정의한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본 기술은 향후 국제 공인시험, 국제 적합성 시험 평가 등에 활용될 최초의 국제표준 제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인공지능 기본법 및 EU
그록이 호주 시드니 소재 Equinix International Business Exchange 데이터센터에 인프라를 구축하며, 자사의 글로벌 AI 인프라를 아시아 태평양 지역으로 확장했다. 미국과 유럽,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출시 이후, 이번 협력을 통해 그록의 빠르고 저렴하며 확장 가능한 LPU 추론 엔진이 한국 및 아시아 태평양 전역의 기업과 공공 부문에 확대 제공된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그록과 에퀴닉스는 호주 시드니에 4.5MW 규모의 그록 시설을 구축해 호주 최대 규모의 고속 AI 추론 인프라 중 하나를 마련할 예정이다. 이 시설은 기존 GPU 및 하이퍼스케일 클라우드보다 최대 5배 더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컴퓨팅 성능을 제공한다. 소프트웨어 정의 상호연결 서비스인 Equinix Fabric을 활용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기업들은 안전하면서 지연 시간이 짧은 고속 상호연결성을 통해 생산 AI 워크로드를 위한 그록클라우드(GroqCloud)에 원활하게 접근하고, 완벽한 제어 및 규제 준수를 충족할 수 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AI 기반 솔루션에 대한 수요와 도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IDC의 최신 전 세계 AI 및 생성형 AI 지출 가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19일 전라남도와 함께 중소벤처기업부의 ‘2025년 지역 주도형 AI 대전환 사업’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지역 주도형 AI 대전환 사업은 AI 활용률이 낮은 지역 내 중소기업의 빠른 AI 전환을 위해 지역 산업 특성과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기획한 맞춤형 AI 활용·확산 프로그램을 2년간 지원하는 사업이다. 전라남도는 화학·철강·세라믹 등 소부장산업, 제약·식품 등 바이오산업, 신재생에너지산업 등 전라남도 주력 산업 기업의 AI 도입 수준을 진단해 맞춤형 AI 설비 및 솔루션 도입을 지원할 계획이다. 더불어 주력 산업에 적합한 AI 에이전트 개발 및 실증에 나선다. 이번 사업은 전라남도가 총괄하며 전남테크노파크가 주관기관으로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전케이디엔, 중소기업일자리경제진흥원, 순천대학교, 한국에너지공과대학이 함께 참여한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대규모의 GPU 클러스터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고성능 AI 인프라 구축 및 운영 ▲AI 오픈 플랫폼 설계 및 구축 추진 ▲마이크로그리드 AI 솔루션 도입 및 실증 ▲AI 활용 인프라 관제 구축 등을 2개년에 걸쳐 진행할 계획이다. 1차년도는 지역 수
산업통상자원부·대한상공회의소 주관 'M.AX 얼라이언스' 자율주행자동차 분과 참여 인공지능(AI) 모델 경량화·최적화 기술 제공...자율주행 및 차량 내부 대화형 에이전트 서비스 상용화 노린다 노타가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인공지능(AI) 자율주행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활동에 돌입한다. 대규모 민관 합동 협의체 ‘M.AX 얼라이언스(M.AX Alliance)’ 자율주행자동차 분과에 전격 합류해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 기술 공급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는다. M.AX 얼라이언스는 국내 제조업의 인공지능 전환(AX)을 목표로, 산업통상자원부·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 9월 공동 출범한 협의체다. 노타가 속한 자율주행자동차 분과는 현대자동차그룹·LG전자·HL클레무브·만도 등 기업을 중심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노타는 이번 얼라이언스에서 온디바이스 AI 기술 공급기업으로서 핵심 임무를 수행한다. 고성능 AI 모델을 차량용 고성능 AI 반도체에 적용하기를 희망하는 수요기업들이 최소한의 비용과 시간으로 AI 모델의 성능을 극대화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이다.
스노우플레이크가 엔비디아와 협력해 스노우플레이크 플랫폼에서 머신러닝 워크플로우를 직접 가속화할 수 있게 한다. 스노우플레이크 ML에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인 엔비디아의 쿠다-X가 사전 탑재된 것으로, 스노우플레이크 고객들은 GPU 가속 알고리즘을 머신러닝 워크플로우에 즉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전체 머신러닝 모델 개발 라이프사이클이 단순·효율화되면서,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들은 코드 수정을 하지 않아도 주요 파이썬 라이브러리 기반 모델의 개발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기업이 보유한 데이터세트의 규모가 빠르게 확장하며 생산성 유지 및 효율적인 비용 관리를 위한 GPU 가속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엔비디아 벤치마크에 따르면 엔비디아 A10 GPU는 랜덤 포레스트에서 약 5배, HDBSCAN에서는 최대 200배까지 CPU 대비 속도 향상을 보였다. 이번 통합에 따라 엔비디아 쿠다-X 데이터 사이언스 생태계에서 제공되는 엔비디아 cuML, 엔비디아 cuDF 라이브러리를 스노우플레이크 ML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scikit-learn, pandas, UMAP, HDBSCAN 등 라이브러리의 개발 사이클을 별도의 코드 변경 없이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엔비디아
티맥스티베로가 국방 정보체계의 안정성과 복원력을 강화할 핵심 DR 기술 체계를 선보였다. 티맥스티베로는 19일 열린 ‘2025년 상용 소프트웨어 군사적 활용 발전 세미나’에서 자체 재해복구 솔루션 액티브 데이터 리플리케이터(ADR·Active Data Replicator)를 활용한 국방 DR 고도화 방안을 소개했다. 이번 세미나는 국방 분야에 국내 우수 상용 소프트웨어를 적용하기 위한 협력 모델을 모색하고, 실질적인 도입 전략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ADR은 운영센터와 DR센터 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해 데이터 무손실 기반의 즉각적 페일오버를 지원하는 고신뢰 DR 솔루션이다. 데이터 정합성 검증, 자동 복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 통합 모니터링 등 DR 운영에 필수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이기종 DB의 변경 데이터를 Tibero DB에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재해복구 시스템을 Tibero로 일원화하는 것이 전제로 설계된 솔루션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티맥스티베로는 ADR이 Tibero·Oracle 등 주요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모두 지원하는 통합 DR 솔루션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ADR for Tibero와 AD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