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솔루션 전문기업 포스텍이 SMATOF 2023에서 지능형 공정 및 안전 관리 솔루션 등을 선보이며 브랜드 입지 강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포스텍은 스마트공장 주요 시스템인 △eMax ERP, F-MES, F-PLM, SCM과 △기계 설비 최적화 시스템 △지능형 공정 관리 시스템 △IoT 기반 선박 밀폐 구역 작업자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ESL(Electronic Shelf Label) 디지털 디바이스 관리 솔루션 등을 제공하고 있다.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하는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은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4일간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회에서 포스텍은 지능 공정 실시간 모니터링 표준 플랫폼, IoT 기반 선박 밀폐 구역 작업자 안전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전자 태그 ESL 등을 집중 소개할 예정이다. 먼저, 지능형 공정 관리 시스템은 작업 중 발생한 품질문제 발생시, 기존 Off-Line 업무처리로 인해 길어지는 비생산성 작업 중지 시간을 획기적으로 제거하고, AI 기반 OCR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바로 부품의 성적서, NCR 등 품질관련 문서를 조
롤스로이스는 자사의 수소 연구 프로젝트에서 세계 최초로 또 다른 중요 이정표를 수립했다고 5일 밝혔다. 롤스로이스와 파트너인 이지젯(easyJet)은 2030년대 중반부터 협동체(Narrow-Body, 단일통로 기종) 시장 부문을 포함해 다양한 항공기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소 연소 엔진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롤스로이스는 영국 러프버러 대학및 독일 항공우주센터인 DLR과 협력해 수소를 항공 연료로 이용하는데 중요한 엔진 기술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쾰른에 위치한 DLR에서 수행된 100% 수소로 동작하는 펄 700(Pearl 700) 엔진의 완전 환형 연소기(Annular Combustor)에 대한 테스트 결과에서 연료가 최대 이륙 엔진 추력에 해당하는 조건으로 연소될 수 있음이 입증됐다. 이러한 성과는 연소 과정을 제어하는 첨단 연료 분사 노즐의 성공적인 설계에서 비롯됐다. 수소는 등유보다 훨씬 더 뜨겁고, 빠르게 연소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중요한 엔지니어링 과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새로운 노즐은 연료의 반응성을 관리하기 위해 공기와 수소를 점진적으로 혼합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사용해 화염(Flame)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었다. 롤스로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미국 국방부 산하 조달청(DLA, Defense Logistics Agency) 인증을 받은 바 있는 RT(내방사선) PolarFire FPGA 제품이 QML 클래스 Q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인증은 엔트리 레벨 중에서는 최고 수준의 인증이자 표준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개발자들이 RT PolarFire FPGA 제품을 항공우주 시스템에 더욱 쉽게 구현 및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QML 인증은 DLA에서 관리하는 특정 성능 및 품질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고객들은 QML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계 프로세스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저전력 및 리프로그래머블(Low-power and reprogrammable) RT PolarFire FPGA 제품군은 보다 확장된 논리 밀도(Logic density)와 보다 높은 성능을 제공해 신호 처리량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여타의 SRAM 기반 FPGA제품들과 달리 RT PolarFire FPGA제품은 방사선 환경에서 구성 단일 이벤트 업셋(SEU: Single-Event Upsets)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방사선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완
지나 러몬도 장관, 中 반도체 통제 강화에 대한 공화당의 정치적 압력에 직면해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화웨이의 반도체 혁신 관련 보도에 대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충격적"이라면서 대 중국 수출통제시스템을 시행하기 위해 추가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그는 연방 상원 상무위원회 청문회에서 "다른 방안이 필요하다. 집행과 관련해 추가 자원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러몬도 장관은 이와 관련해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기술 거래에 대한 조사와 차단을 위한 상무부의 권한을 확대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법안을 언급했다. 그는 마리아 캔트웰(민주) 상원 의원이 발의한 기술 공급망의 위험을 방지하는 법안도 함께 제시했다. 러몬도 장관은 그러나 첨단 7nm 반도체로 구동하는 새 화웨이 스마트폰에 대한 상무부의 조사 진행 상황에 대해서는 언급을 거부했다. 그는 이어 올해 초 상무부가 허가 없이 화웨이에 부품을 판매한 미국 기업에 사상 최대 규모의 벌금을 부과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하며 "우리는 강경해야 할 때 그렇게 하고 있지만 더 많은 자원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러몬도 장관은 지난달 하원
AI 기반의 최적경로 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릿튠이 국내 최대 카셰어링 기업인 쏘카에 드라이버용 솔루션을 공급한다고 5일 밝혔다. 플릿튠은 여객 및 물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목적지를 입력하면 AI 알고리즘으로 빠르게 최적 경로 및 배차 작업을 처리하고 자체 개발한 네비게이션으로 운전자에게 최적 경로를 안내하는 B2B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플릿튠은 쏘카의 여러 사업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드라이버용 솔루션을 제공하게 됐다며 이번 계약으로 다양한 기업과의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지성 플릿튠 대표는 "플릿튠의 솔루션은 특정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기 때문에 쏘카를 비롯해 더 많은 기업과 함께 협력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한다"고 밝혔다. 플릿튠은 국내 유명 자율주행 스타트업 출신의 창업자들이 모여 설립한 신생 스타트업으로 지난해 창업 직후 투자 유치와 더불어 중소벤처기업부 팁스에 선정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최근에는 플롯(FLROT) 서비스를 오픈하고 본격적인 고객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엔비디아(NVIDIA)는 NTT도코모와 세계 최초 GPU 가속 5G 네트워크 출범을 위해 협력한다고 5일 밝혔다. 생성형 AI 영향력이 전 세계 여러 기업들에 뻗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통신사들은 5G와 향후 출시될 6G 네트워크를 통해 새로운 AI 애플리케이션을 비용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통신사들은 2025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1700만 개 이상의 5G 마이크로셀과 타워를 구축할 계획이다. 따라서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 관리, 최적화하는 동시에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고 고객 경험을 극대화하는 것이 통신업계의 새로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NTT도코모는 일본 내 네트워크에 GPU 가속 무선 솔루션을 배포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NTT도코모는 GPU 가속 상업용 5G 네트워크를 구축한 세계 최초의 통신사로 거듭났다. 이번 NTT도코모의 행보는 성능, 총 소유비용,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동시에 오픈랜(Open RAN)의 유연성, 확장성, 공급망 다양성을 실현하는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과제를 해결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5G 오픈랜 솔루션은 엔비디아 애리얼 vRAN 스택(Aerial vRAN stack)과 엔비디아 컨버지드 가속기
日 반도체 산업 관련 인프라 시설 및 정부의 신속한 지원책이 요인인 것으로 보여 TSMC가 해외에 건설 중인 일본 공장이 미국 공장보다 빠른 내년에 가동에 들어갈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4일 연합보 등 대만언론은 소식통을 인용해 TSMC가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 공장보다 늦은 지난해 4월께 공사를 시작한 일본 구마모토현 기쿠요마치 공장에 생산 설비를 설치하기 시작했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다른 소식통은 80억 달러를 투입한 구마모토 공장이 내년 연말 양산이라는 목표를 순조롭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심지어 일정이 앞당겨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TSMC가 반도체 생산 공장 건설에서 핵심적인 단계에 진입했다면서 설비가 안정화되면 생산 테스트를 거쳐 바로 양산을 시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익명의 TSMC 공급업계 고위 관계자는 TSMC가 이미 협력업체에 이달부터 반도체 생산 설비를 설치하기 시작할 것이며 관련 업무는 2024년 1분기에 마칠 예정이라고 통지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TSMC가 중부 타이중 지역에서 일본인 직원 300여명을 훈련했다고 전했다. 대만언론은 현재 구마모토 공장 건설 진척이 미국 애리조나 공장을 확실히 뛰어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
고속 충·방전 테스트서 99.8% 쿨롱 효율 보여… ACS Energy Lett. 게재 성냥개비 성분인 적린과 카본을 코팅시켜 성능을 향상시킨 흑연 음극재가 개발됐다. 흑연 음극재의 성능 향상으로 전기차, 항공, 고속 충전 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 교수팀은 기화-응결 방법을 이용해 적린과 카본이 코팅된 다공성 흑연 음극재인 ‘흑연-인 복합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개발된 복합체는 적린과 카본 코팅층의 이점을 이용해 흑연 표면에 생성되는 전자와 리튬 이온의 전도도를 높인다. 향상된 전도도는 고속 충전 시 전극 표면에만 집중되던 리튬 이온을 확산시켜 충전을 균일하게 만들 뿐 아니라, 배터리에 문제를 일으키는 수지상 형성을 억제해 배터리 안정성 또한 향상시켰다. 음극재 개발은 배터리 안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흑연과 같은 음극은 충전할 때 생기는 리튬 농도 집중 현상으로 리튬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충전의 불균일성은 상단부에 수지상 형성을 일으켜 배터리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이현욱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는 “이러한 비균일성을 완화하기 위해서 전극의 충전 과정에서 리튬 이온의 농도를 균
대신정보통신이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 참가해 스마트 PDA 라인업을 소개한다. 대신정보통신은 리테일 매장, 물류 센터, 운송, 헬스케어 및 국방 분야에서 재고 및 입출고 관리, 출입 관리, 위치 추적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스마트 PDA를 제조하고 있다. 이 장비는 대부분의 시간을 외부에서 작업하는 환경이나 거친 업무 환경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업무 중 발생하는 기기 고장 및 파손은 업무의 중단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로 이어진다. 대신정보통신은 스마트 PDA가 일반 소비자용 제품 대비 개선된 안정성과 생산성 향상을 보장한다고 밝혔다. 이는 결과적으로 기업의 비용 절감과 생산성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신정보통신의 장비 중 하나인 'DS4'는 현장 작업자를 위한 콤팩트한 디자인의 산업용 PDA 솔루션이다. 안정적인 기업용 소프트웨어 운영과 WLAN 세팅 유지를 보장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범퍼형 디자인 채택으로 외부 충격을 최소화한다. 1D 및 2D 바코드 인식이 가능하며, 인체공학적 설계를 기반으로 한 무게와 그립감으로 현장 작업자에게 최적화한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하는
10월 26일 베스트솔루션 데이 3탄 '로보틱스' 웨비나 개최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다양한 로봇 솔루션을 소개하는 웨비나(온라인 세미나)가 열린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4) 참가 기업들의 우수한 솔루션을 연중으로 소개하는 온라인 세미나 ‘베스트솔루션 데이’는 오는 26일 그 세 번째 시간으로 산업용 로봇을 조명한다. AW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꼽히는 자동화, 스마트팩토리의 현재를 조망하고 관련 산업군의 솔루션과 제품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아시아 최대의 산업자동화 전시회다. 웨비나에는 스토브리코리아, 유진로봇, 플라잎의 관계자가 나와 각각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첫 번째 순서로 스토브리코리아의 김홍민 매니저는 제약/바이오 공정용 스토브리 로봇을 소개하고 현장 적용 사례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후 유진로봇의 서현석 부장이 발표를 진행, ‘공장 물류 자동화를 위한 고객 맞춤형 커스텀 AMR과 솔루션’이라는 제목으로 고카트 물류로봇과 실제 적용 사례 등을 공유한다. 마지막 순서로 플라잎의 이재현 부장이 ‘현재 로봇이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푸는 방법은?’을 주제로 로봇에 AI를 적용해야 하는 이유와 제조/물류 분야 AI 로봇 솔루션을 소개
10월 26일 베스트솔루션 데이 3탄 '로보틱스' 웨비나 개최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다양한 로봇 솔루션을 소개하는 웨비나(온라인 세미나)가 열린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4) 참가 기업들의 우수한 솔루션을 연중으로 소개하는 온라인 세미나 ‘베스트솔루션 데이’는 오는 26일 그 세 번째 시간으로 산업용 로봇을 조명한다. AW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꼽히는 자동화, 스마트팩토리의 현재를 조망하고 관련 산업군의 솔루션과 제품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아시아 최대의 산업 자동화 전시회다. 웨비나에는 스토브리코리아, 유진로봇, 플라잎의 관계자가 나와 각각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첫 번째 순서로 스토브리코리아의 김홍민 매니저는 제약/바이오 공정용 스토브리 로봇을 소개하고 현장 적용 사례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후 유진로봇의 서현석 부장이 발표를 진행, ‘공장 물류 자동화를 위한 고객 맞춤형 커스텀 AMR과 솔루션’이라는 제목으로 고카트 물류 로봇과 실제 적용 사례 등을 공유한다. 마지막 순서로 플라잎의 이재현 부장이 ‘현재 로봇이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푸는 방법은?’을 주제로 로봇에 AI를 적용해야 하는 이유와 제조/물류 분야 AI 로봇 솔루션을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는 플래그십 디지타이저인 M5i.33xx에 스트리밍 모드를 추가한다고 4일 밝혔다. 이는 최대 10 GS/s의 샘플링 속도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 스트리밍 및 분석할 수 있고, 끊임없는 신호 처리를 위한 GPU 및 SSD 어레이 등 COTS(상용) PC 기술과 함께 사용한다면 장시간 데이터저장이 가능한 스트리밍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M5i.33xx 디지타이저 제품군은 7가지 모델로 3.2~10GS/s의 샘플링 속도, 12비트 수직 분해능, 1~4.7GHz의 대역폭을 제공한다. 또한 16레인 Gen3 PCIe 버스를 갖추고 있어 최대 12.8GB/s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업계 최고 전송 속도는 정보 손실 없이 하나의 채널에서 6.4 GS/s의 샘플링 속도 혹은 두 개 채널에서 3.2 GS/s의 샘플링 속도로 수집한 데이터를 PC 환경으로 바로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 빠른 샘플링 속도가 필요한 경우, 특수 8비트 전송 모드를 추가해 하나의 채널에서 최대 10 GS/s, 두 개 채널에서 5 GS/s의 속도로 수집된 데이터를 스트리밍 할 수 있다. M5i.33xx는 스트리밍 및 집중적인 신호 처리가 필요한
공식적으로 금지된 외국 앱을 이용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라는 분석 제기돼 애플이 중국 당국의 규정 변화에 맞춰 중국 앱스토어 규정을 변경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4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최근 중국 앱 개발자 지침을 업데이트하면서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가 모든 앱에 대해 유효한 ICP(인터넷 콘텐츠 공급자) 등록 번호를 요구한다"며 앱 개발자에 추가 정보를 제출하라고 했다. 애플의 이같은 지침 변경은 지난달 27일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CAC)이 삼성·샤오미·화웨이 등 스마트폰 앱스토어에 새로운 검열·관리 규정 적용을 위한 등록번호를 부여하면서 애플 앱스토어는 목록에서 제외한 가운데 이뤄졌다. 앞서 판공실은 지난해 8월 시행한 '모바일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정보 서비스 관리 규정'을 통해 앱스토어에 등록을 위해 사업 세부 정보를 제출하라고 요구하면서 앱스토어에 불법 콘텐츠가 있을 경우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8월 공업정보화부는 앱스토어들이 내년 3월까지 등록을 하지 않을 경우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처벌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같은 조치는 중국인이 애플의 중국 앱스토어를 통해 현지에
아진파워텍이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서 산업용 에어밸런스 제품을 선보인다. 에어밸런스는 작업 현장에서 다관절 밸런스 리프트(Balance Lift)를 통해 작업자가 각종 생산품을 운반, 적재하거나, 중량물을 이송할 때 사용하는 제품이다. 에어밸런스는 작업자의 요통, 어깨결림증 등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해, 산업재해를 최소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진파워텍은 산업용 에어밸런스 핸들러 전문 기업으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각종 산업용 다관절 물류 기계를 공급하고 있다. 한편,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하고 첨단, 한국무역협회, 한국산업지능화협회, 경남로봇산업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SMATOF 2023는 올해 8회째를 맞는 제조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4일간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에는 105개 업체가 400부스 규모로 참가한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마크포지드가 디지털 웨어하우스 관리를 위한 제조 플랫폼 디지털 소스(Digital Source) 출시를 발표했다. 부품 제조사인 고객이 부품 설계 데이터를 디지털 소스에 업로드한 후 고객, 유통업체 및 계약 제조업체에 라이선스를 부여할 수 있다. 라이센스 승인을 받은 디지털 소스 사용자(고객, 유통업체 또는 계약 제조업체)는 승인된 부품을 프린팅 제작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고 현장에서 적시에 승인된 부품을 제작할 수 있다. OEM 업체는 부품 설계 데이터와 제조 파라미터를 업로드할 때 설계 데이터와 OEM이 정의한 제조 공정을 보호 할 수 있도록 암호화 체계를 통해 프린팅 제조 프로세스 요구 사항을 지정하고 보안 설정을 지정할 수 있다. 디지털 소스는 디지털 웨어하우스 관리 및 공급, 수급의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부품 원청 업체, 제조 공급 업체, 유지 보수 서비스 업체 및 유통 업체 모두가 생산성, 수익성, 업무 효율성 향상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Shai Terem 마크포지드 CEO는 "디지털 소스는 공급망을 관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며 "디지털 소스를 사용하면 부품을 미리 제조하고 필요할 때까지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