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브릭스는 구글 클라우드와의 새로운 전략적 제품 파트너십을 18일 발표했다. 이를 통해 최신 제미나이(Gemini) 모델이 데이터브릭스의 데이터 인텔리전스 플랫폼 내에서 네이티브 제품으로 제공된다. 해당 파트너십을 통해 기업들은 데이터브릭스 환경 내에서 고급 보안과 통합된 거버넌스를 바탕으로 자사 데이터를 활용한 AI 에이전트를 직접 구축·배포·확장할 수 있게 된다. 기업들이 자사 고유 데이터를 AI로 활용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답변에 대한 정확성과 보안, 규정 준수를 보장하면서도 운영 복잡성이 낮은 솔루션이 필요하다. 현재 많은 AI 도입 사례는 시스템 간 데이터 이동이나 단편적인 통제 관리로 인해 비효율을 초래하고 있다. 데이터브릭스와 구글 클라우드는 2021년부터 구글 클라우드 상에서의 대규모 데이터 솔루션을 공동 제공해왔으며 이번 파트너십 확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데이터브릭스의 통합 데이터 및 AI 플랫폼과 제미나이의 최첨단 모델을 결합함으로써, 기업은 보다 원활하고 안전하게 대규모 AI 솔루션을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다. 구글 제미나이 2.5(Gemini 2.5)는 AI 추론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또한 제미나이 2.5 프
엠클라우드브리지가 제32회 대한민국 인적자원개발 종합대회 ‘HRD KOREA 2025’에 참가해 기업 임직원 AI 활용 능력 강화를 위한 기업 맞춤 AI 에이전트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한국 HRD협회가 주최하고 월간 HRD가 주관하는 대한민국 인적자원개발 종합대회 ‘HRD KOREA 2025’는 1993년에 시작돼 국내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저변 확대를 이끌어 온 행사로, 6월 16, 17일 양일간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개최됐다. HRD KOREA의 HRD엑스포는 컨설팅 기관, 교육기관 및 연수원, 에듀테크 기업, 출판사 등이 참여하는 HRD 교육 프로그램 종합 박람회다. 각 분야 HR분야의 종사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엠클라우드브리지 교육센터는 생성형 AI 시대의 트렌드로 떠오른 AI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업 임직원 대상 맞춤 AI 에이전트 교육 과정을 소개했다. 엠클라우드브리지의 AI 에이전트 교육 과정의 각 커리큘럼은 최신 AI 기술 동향을 반영해 설계됐으며, 실습 중심의 학습 방식을 통해 임직원이 AI를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요 커리큘럼은 ▲기업 맞춤형 AI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운영하
플래티어는 자사의 AI 개인화 마케팅 솔루션 ‘그루비(groobee)’를 제주항공에 제공했다고 18일 밝혔다. 그루비를 통해 제주항공 앱에서 고객 여정을 정교하게 설계하고 개인화된 커뮤니케이션을 실시간으로 운영해 마케팅 효율은 물론 장기적인 고객 관계 강화에도 성과를 내고 있다고 회사는 전했다. 그루비는 개인화 마케팅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SaaS형 솔루션이다. 실시간 빅데이터 처리와 머신러닝·딥러닝 기반의 AI 엔진을 활용해 고객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고 타겟팅, 추천, 성과 분석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한다. 특히 그루비는 고객 여정 기반 메시징 기능을 통해 항공 업종에 특화된 예약부터 탑승까지의 과정을 실시간으로 연결하고 여정 중단을 감지해 마케팅 기회로 전환하는 자동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단순 반복 메시지 대신, 고객의 현재 상황에 기반한 정밀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마케터가 수동으로 각 캠페인을 기획하고 실행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자동화 시나리오가 실시간으로 작동하고 있으며 고객 반응에 따라 콘텐츠와 메시지 방식도 유연하게 조정되고 있다. 유민수 플래티어 AI CX SaaS 사업부장은 “제주항공처럼 고객
산업용 머신 비전 소프트웨어 분야의 글로벌 리더 MVTec Software GmbH가 이달 초, 경기도 성남시에 한국 지사를 공식 설립하며 아시아 핵심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독일 뮌헨 본사를 둔 MVTec은 고도 산업화를 이룬 한국 시장을 전략 거점으로 삼아 고객 밀착형 기술 지원을 강화하고 파트너사 Teknix와의 장기 협업도 한층 고도화할 계획이다. MVTec은 대표 제품으로 고성능 범용 머신 비전 소프트웨어 HALCON과 비전 초심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로우코드 기반 MERLIC, 이미지 라벨링과 딥러닝 파이프라인 준비에 특화된 Deep Learning Tool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로봇 비전, 품질 검사, 코드 판독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며 고정밀 자동화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머신 비전 기술은 최근 배터리 셀 검사, 반도체 웨이퍼 인식, 가전 조립라인 자동화 등에서 핵심 역할을 하며 MVTec은 이러한 기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맞춤형 기술 지원과 고객 상담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단순 기술 공급을 넘어 고객의 요구사항을 사전에 진단하고, 최적의 솔루션을 함께 설계하는 통합적인 기술
실용적 AI 기술이 세계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가능성 보여줘 슈퍼브에이아이가 컴퓨터 비전 분야 세계 최대 학회 ‘CVPR 2025’에서 개최된 두 개의 국제 AI 챌린지에서 각각 2위와 4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번 성과는 고도화한 인프라 없이도 산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용적 AI 기술이 세계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슈퍼브에이아이는 ‘개별 객체 탐지 챌린지’에서 2위, ‘파운데이션 퓨샷 객체 탐지 챌린지’에서 4위를 달성했다. 특히 개별 객체 탐지 부문 2위 수상으로 CVPR 공식 발표 기회를 얻으며, 자체 개발한 비전 파운데이션 모델 ‘제로(ZERO)’의 기술력을 글로벌 무대에서 직접 소개할 수 있었다. 개별 객체 탐지 챌린지는 제조·물류·헬스케어 등 산업 현장에서 특정 제품이나 부품을 식별해야 하는 ‘정밀 객체 인식’ 기술을 평가한다. 단순히 ‘모든 컵’을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특정 컵’을 구별해야 하는 수준 높은 인식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번 챌린지는 특히 라벨링 없이도 탐지가 가능한 비지도 학습 기반 평가로 진행돼, AI 도입 초기 기업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안 기술로 주목받았
다양한 언어모델과 환경에서의 유연한 배포 실현 투플랫폼은 노코드 기반의 AI 에이전트 빌더 ‘수트라 에어(AIRe) 빌더’를 공식 출시하고, 산업 전반에 걸친 AI 도입 가속화를 선언했다. ‘에어(AIRe)’는 AI 런타임 엔진의 약자로, 수트라 에어 빌더의 핵심 역할을 맡는다. 이 엔진은 멀티모달 대응, MCP와 A2A 구조를 지원하며, 다양한 언어모델과 환경에서의 유연한 배포를 가능케 한다. 복잡한 개발 과정 없이도 기업 내부 실무자들이 손쉽게 AI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배포할 수 있어, AI 활용의 진입 장벽을 획기적으로 낮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용자는 ERP, CRM, 사내 메신저,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내부 시스템은 물론, 슬랙,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등의 외부 협업 도구와도 손쉽게 연동해 활용할 수 있다. 캔버스 형태의 UI에서 조건 설정과 템플릿 호출, 시스템 연결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점은 비개발자에게도 직관적이다. 수트라 에어 빌더는 하나의 단순 에이전트 구성에 그치지 않는다. 서로 다른 역할을 맡은 복수의 에이전트들이 협업하는 고도화된 시나리오도 설계 가능하다. MCP와 A2A 프로토콜을 통해 고객 응대, 내부 승인,
하이크비전이 대규모 AI 모델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솔루션인 ‘아큐시크(AcuSeek) NVR’을 공개했다. 새롭게 출시된 아큐시크 NVR(Network Video Recorder)은 자연어 상호작용을 통합해 몇 초 내에 정확한 영상 및 이미지 검색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보안 담당자들이 영상 프레임을 하나씩 수동으로 검토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아큐시크 NVR은 하이크비전의 독점적인 관란(Guanlan) 대규모 AI 모델 기술을 활용해 대규모 매개변수 훈련과 샘플 데이터셋을 통해 멀티모달(multimodal) 텍스트-이미지 이해 능력을 구축했다. ‘전화 중인 사람’, ‘흰색 화물차’, ‘개와 산책하는 사람’과 같은 단일 문장이나 키워드를 입력하면 시스템이 영상에서 대상 특징을 신속히 추출하고 의미적으로 일치시켜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레오 첸 Hikvision 제품 총괄 매니저는 “전통적인 비디오 검색은 수동 주석 작성에 의존하고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며 “하이크비전은 아큐시크 NVR의 출시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적으로 AI 모델 알고리즘을 최적화하고 보다 많은 전문 분야로 확장해 AI 기술과 보안
[헬로즈업 세줄 요약] ㆍ10주년 맞은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 서울, AI 시대의 글로벌 생태계를 논하다 ㆍAI 기술의 핵심은 ‘사용자의 문제 해결’...문화적 다양성과 윤리적 검증 중요 ㆍ창업 성공 키워드는 초기 유저와의 밀착,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 그리고 사람 중심의 철학 구글코리아가 17일인 오늘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 서울 개관 1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가졌다. 이번 행사는 지난 10년 동안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를 구축해 온 여정을 돌아보고 AI 시대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10주년 행사에는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을 비롯해 주한 미국대사관, 중소벤처기업부 등 국내외 주요 인사와 스타트업, 벤처사 등 관계자 약 200여 명이 참석했다. 개회사를 맡은 캐런 피스터(Karen Fiester)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 글로벌 디렉터는 “10년 전, 한국 캠퍼스 개소식에는 세르게이 브린 공동창업자가 참석해 축하에 함께했고, 이후 에릭 슈미트 전 CEO 등 수많은 인물이 이곳을 찾았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 자리는 단순한 공간의 기념이 아닌 창업자가 이뤄낸 혁신과 진보를 축하하는 시간”이라며, "캠퍼스 커뮤니티는 현재 5만 명에 달하
LG전자는 오는 7월 교사와 학습자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한 전자칠판 신제품을 출시한다고 17일 밝혔다. 신제품은 ▲수업에 사용되는 영상 자료를 요약하는 ‘AI 요약’ ▲수업 내용을 실시간 번역해 자막으로 보여주는 ‘AI 실시간 번역’ ▲손 글씨로 적은 수식을 AI가 즉시 계산하는 ‘칼큘레이터 프로’ 기능을 갖췄다. 이 외에도 대형언어모델(LLM) 기반으로 질문에 답하는 ‘AI 챗봇’, 이미지나 텍스트를 분석해 마인드맵 형태로 제시하는 ‘AI 마인드맵’, 원을 그리면 그 안의 텍스트나 이미지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클 투 서치' 등을 통해 학습을 돕는다. 차별화된 교육 특화 설루션도 제공한다. 무선 화면 공유 설루션 ‘LG 크리에이트보드 쉐어’는 윈도우, 안드로이드, iOS 등 다양한 운영체제의 외부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해 최대 9개의 화면을 동시에 보며 공유할 수 있다. LG 전자칠판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 기기에 대한 호환성 인증인 구글 EDLA 인증을 받았다. 디스플레이 원격 관리 설루션인 ‘LG 커넥티드 케어’ 서비스를 이용하면 다수의 디바이스 상태를 동시에 실시간 모니터링해 보안 위협이나 이상 징후를 빠르
사이냅소프트는 전경헌 대표가 지난 13일 한국정보산업협회 주최 춘계 합동세미나에 연사로 참여해 ‘AX 혁신의 강력한 첫걸음: 지식 자산으로 진화하는 디지털 문서’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고 17일 밝혔다. ‘SW 및 데이터 AI기반 정보융합산업 촉진과 활성화 방안’을 대주제로 한 이번 세미나에서 전경헌 대표는 AI 전환(AX) 시대 기업과 기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문서 자산화 전략을 제시했다. 전 대표는 강연을 통해 “거대언어모델(LLM)의 출현으로 과거 정형 데이터에 국한되었던 빅데이터 분석의 범위가 내부 문서, 보고서, 정책 자료 등 비정형 정보로 확장됐다”며 “이제는 문서를 단순한 비용 항목이 아닌 기업 및 기관의 핵심 자산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AX 성공의 필수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디지털 문서가 단순한 정보 저장소를 넘어 지식 자산으로 진화하며 산업 전반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문서의 진정한 자산화를 위해서는 단순한 텍스트 추출을 넘어선 ‘구조적 이해’가 필수적임을 설명하며 “제목, 문단, 표, 캡션 등 문서 구조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기술이 핵심”이라고 밝혔다. 전 대표는 특히 한국 문서 환경의 특수
베스핀글로벌은 데이터독(Datadog)과 함께 오는 6월 24일 오후 2시, 서울 강남 조선팰리스에서 ‘데이터독으로 앞서가는 AIOps 전략’ 세미나를 공동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베스핀글로벌과 데이터독이 협력해 최신 AI 및 클라우드 기술 동향은 물론, AI 기반 IT 운영 및 보안 전략을 심층적으로 소개하는 자리다. 국내 최상위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해 ▲AI·클라우드·보안혁신 전략 ▲데이터독 기반 데브옵스(DevOps), 핀옵스(FinOps), 보안 및 AIOps 활용 방안 ▲실제 보안 성공 사례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첫 번째 발표에서는 AWS(아마존웹서비스)의 이신영 파트너 솔루션즈 아키텍트가 ‘AI 시대의 클라우드, 보안과 운영 혁신의길’을 주제로 AWS 기반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보안 설계부터 관제, 운영까지 전반적인 보안 환경 구현 방안을 설명한다. 이어 데이터독의 패트릭 한국 파트너 솔루션즈 아키텍트는 데이터독을 활용해 기업들이 경험한 비즈니스 혁신과 IT 운영전략을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상세히 공유한다. 마지막으로 베스핀글로벌 DevOps DE팀 곽재연 매니저는 데이터독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을 강화한 실제 고객 사례와 기업들이 AI
셀바스AI는 수학 수식 인식에 특화된 자체 OCR(광학문자인식) 기술 개발을 완료했으며, 상용 환경에서 최대 93.6%의 인식 정확도를 보였다고 17일 밝혔다. 자체 비교 테스트 결과, 셀바스AI는 기존 상용 솔루션 A(86.4%)와 B(45.6%) 대비 높은 정확도를 보여 기술 우위를 입증했다. 이번 평가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수식 이미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촬영 조건과 스캔 노이즈 등 현실적 제약을 반영해 진행됐다. 이 기술은 578종의 수학 기호 인식이 가능하며 복합 연산·행렬·멀티라인 등 다양한 수식 구조도 정확히 처리할 수 있다. 인쇄체뿐 아니라 필기체도 안정적으로 인식하며 CROHME, HME-100K, UniMERNet, MathWriting 등 국제 표준 데이터셋과 자체 수집 데이터 약 250만 장을 학습했다. 처리 속도는 GPU 환경에서 평균 수백 밀리초 내로, 실시간 학습 플랫폼과 모바일 앱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셀바스AI는 이번 기술을 바탕으로 ▲시험지 이미지 자동 디지털화 ▲유사 문제 추천 시스템 ▲문제은행 구축 ▲디지털 교과서 제작 등 다양한 교육 서비스에 적용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현재 기업 웹사이트에서 데모 체험 서비스
안랩클라우드메이트가 16일 생성형 AI 데이터 보안 서비스 ‘시큐어브리지(SecureBridge)’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시큐어브리지는 생성형 AI 확산에 따라 커지는 정보 유출 우려에 대응해, 기업이 도입에 대한 기술적 부담 없이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AI를 도입·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생성형 AI 데이터 보안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중요 데이터 입출력 탐지 및 프롬프트 인젝션 방지 ▲프롬프트 이력 모니터링 및 정책 제어 ▲멀티 LLM 지원 및 에이전트리스(Agentless) 방식 등 보안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모두 고려하며 생성형 AI 환경의 보안 공백을 해소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시큐어브리지는 LLM기반 탐지 엔진으로 사용자의 프롬프트 입력값을 분석해 기업 기밀(CI), 개인정보(PII), 민감정보(SI) 등 중요 데이터의 입출력을 자동 탐지하고 외부 전송을 차단한다. 또한 악의적 명령어나 조작된 입력을 방지하는 프롬프트 인젝션 차단 기능으로 생성형 AI 모델의 오작동을 예방한다. 시큐어브리지를 도입한 기업은 규칙 기반 시스템으로는 탐지 어려운 의도성, 맥락성 위협까지 탐지해 생성형 AI 도입 시 우려되는 정보 유출 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
'초거대 KWM(Kill-Web Matching)을 제안하다’ 주제로 전시 구성해 펀진이 6월 18일부터 20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대한민국 국방산업발전대전(InLEX KOREA 2025)’에 참가한다. 이번 전시에서 펀진은 차세대 지휘결심지원체계의 미래상을 제시하며, 자사 AI 기술의 확장성과 현장 적용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펀진은 ‘초거대 KWM(Kill-Web Matching)을 제안하다’를 주제로 전시를 구성했다. KWM은 전장의 다양한 요소를 AI가 판단하고 통합해 지휘 결정을 지원하는 구조를 갖춘 체계다. 이번 전시를 통해 KWM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처음으로 공개하며, 작전계획 수립 단계부터 전장정보 준비(IPB), 행동방침 수립(CoA)까지 AI 기반으로 분석 및 판단을 수행하는 통합형 참모 체계를 제시한다. 특히 KWM은 화력, 방공, 전자기전, 화생방 분야뿐 아니라 전력 지원, 경로 분석 등 다양한 전장 요소를 아우를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는 미래 전장에서 AI가 인간의 결정을 보조하며 복합적 상황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펀진은 관람객이 기술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한글과컴퓨터는 행정안전부의 ‘범정부 초거대 AI 공통 기반 구현 사업’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삼성SDS 컨소시엄에 자사의 핵심 AI 설루션을 공급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한컴이 올해 초 수주한 ‘국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1단계 사업과 행정안전부의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에 이은 올해 세 번째 공공 부문 AI 관련 성과다. 이를 통해 공공 AI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입증하며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발주한 초대형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다.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보안 우려 없이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컴퓨팅 자원, 공통 데이터, 개발·운영 환경 등 AI 자원 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컴은 삼성SDS 컨소시엄을 통해 이번 사업에서 ▲AI 학습용 데이터 추출 설루션 ‘한컴 데이터 로더’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반의 지능형 질의응답 시스템 ‘한컴피디아’ ▲다양한 문서 형식을 통합 변환·조회할 수 있는 ‘한컴 통합문서뷰어’를 공급한다. 특히 한컴피디아는 방대한 공공 문서를 자동 구조화해 실시간으로 근거 기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