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을 움직이는 단어 하나, 그 안에 숨은 거대한 흐름을 짚습니다. ‘키워드픽’은 산업 현장에서 주목받는 핵심 용어를 중심으로, 그 정의와 배경, 기술 흐름, 기업 전략,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차분히 짚어봅니다. 빠르게 변하는 산업 기술의 흐름 속에서, 키워드 하나에 집중해 그 안에 담긴 구조와 방향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요즘 쉴 때 뭐해?” 친구들이나 직장동료 사이에서 가장 쉽게 묻게 되는 말이다. 한동안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사람들도 이제 당당히 “뜁니다”라고 말한다. 운동으로 여겨졌던 러닝이 이제 단순한 개인 운동을 넘어 하나의 사회적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러닝, 새로운 트렌드 이끄는 하나의 ‘문화’가 되다 최근 러닝은 헬스를 넘어 하나의 ‘문화’가 되었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개인 운동이 생활화되면서 달리기는 접근성과 자유도가 높은 운동으로 부상했다. 문화체육관광부 발표한 ‘2024 국민생활체육조사’에 따르면 성인 인구의 절반 이상이 주 1회 이상 운동을 하고 이 중 걷기·달리기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30세대 사이에서 러닝은 단순한 체력 관리가 아니라 정체성이자 취향 표현이 되었다. SNS에는
LG에너지솔루션 — ESS 호조로 수익성 회복, 2026년 영업이익률 12% 돌파 전망 미래에셋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2025년 매출 23조 6,430억 원(-7.7% YoY), 영업이익 1조 8,810억 원(OPM 8.0%)으로 실적이 점진적으로 회복될 전망이다. 3분기 매출은 5조 6,990억 원(-1.7%), 영업이익 601억 원(OPM 10.6%)으로 추정된다. 소형전지 매출은 1조 6,750억 원으로 견조했고, ESS 부문은 8,2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68% 증가하며 수익성 개선을 주도했다. 다만 전기차용 배터리는 미국 OEM 감산 영향으로 21% 감소했다. 보고서는 “2026년에는 ESS 매출이 8조 6,370억 원으로 두 배 이상 확대되며 영업이익률이 12%를 넘어설 것”이라며 “800V 고전압 ESS와 AI 데이터센터향 HVDC 수요가 신성장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래에셋증권은 목표주가를 80만 원으로 유지하며 현 주가(55만 3,000원) 대비 44% 상승 여력을 제시했다. 농심 — 원가 안정화·글로벌 확장 속 실적 회복세, 해외 비중 37% 돌파 DS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농심(004370)
글로벌 제조의 판이 흔들리고 있다. 현시점 제조 현장에서는 톤수·축수·출력 등 하드웨어 성능보다 중요한 요소로 현장 데이터 흐름을 주목한다. 이는 운영 비용(OPEX)을 절감하는 최신 방법론으로 급부상하는 모양새다. 이를 적용한 현장 안전은 사고 이후의 리포트가 아니라, 사고 이전의 패턴을 감지하는 에지 비전(Edge Vision)으로 재정의된다. 이 개념은 영상 데이터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시간 지연(Latency) 없이 데이터 발생 현장의 장치(Edge)에서 즉시 분석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는 작업자의 개인 보호 장비(PPE) 착용 여부, 위험 구역 침입 등의 이상 패턴을 실시간으로 포착해 사고를 선제적으로 방지하는 근간이 된다. 나아가, 최근 제조업에 드리운 글로벌 환경 규제 측면에서도 데이터가 핵심으로 작용하고 있다. 환경 관리의 핵심 영역인 수처리는 단순히 법적 배출 기준을 충족시키는 차원을 넘어섰다. 이제는 감시 제어 및 데이터 수집(SCADA) 시스템과 인공지능 사물인터넷(AIoT) 모델링을 결합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러한 접근법은 약품 투입량과 대형 송풍기 전력 소모량을 동시 최적화하는 고차원적인 비용 절감 문제로 진화하고 있다. 이는 환경
·에이전틱 OS 중심의 AI 협업 혁신 방향 제시 ·슬랙, 대화형 인터페이스와 자동화 중심의 차세대 업무 환경 제시 ·KT·CJ온스타일·잡코리아 등 국내 기업 사례 통해 AI 기반 생산성 혁신 방향 구체화 인공지능이 단순한 도구를 넘어 ‘함께 일하는 동료’로 진화하는 흐름 속에서 협업 플랫폼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AI가 스스로 업무를 이해하고 실행하는 ‘에이전틱(Agentic) OS’ 개념을 중심으로 조직의 생산성과 의사결정 속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이러한 전환의 한가운데서 세일즈포스가 제시한 해법은 ‘사람과 AI가 공존하는 협업 환경’이다. 세일즈포스는 지난 10월 22일 서울 역삼 조선 팰리스 강남에서 ‘슬랙 투어 서울 2025’를 개최하고 슬랙을 중심으로 한 차세대 AI 협업 비전과 한국형 업무 혁신 로드맵을 공개했다. 세일즈포스 아쓰시 미토 수석 부사장은 환영사에서 “혁신은 세일즈포스의 핵심 가치이며 26년 전에도 우리는 ‘클라우드’라는 개념조차 없던 시대에 변화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드림포스에서 공개한 ‘에이전트포스(Agentforce) 360’은 기업이 AI 에이전트와 인간이 함께 협업하는 ‘에이
해운·조선의 에너지 전환(EX)은 규제와 비용이 동시에 밀어붙이는 과제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집약도지표(CI)와 에너지효율설계지수(EEXI), 유럽연합(EU)의 EU 배출권거래제(EU ETS) 편입으로 탄소가 곧 ‘운항비’가 됐다. 아울러 대체연료(Alternative Fuel) 확산도 진행형이지만, 암모니아(NH₃)·메탄올·액화천연가스(LNG) 같은 저인화점 연료는 안전·공급망·개조비라는 현실 과제를 품고 있다. 그래서 선사·조선은 당장 가능한 절감과 증빙을 먼저 챙기는 양상이다. 연료 사용의 실측·보고·검증(Monitoring·Reporting·Verification, MRV), 선박–육상 연계 에너지 관리, 접안 중 육상전원(OPS) 활용이 그 시작점으로 평가된다. 문제는 효율을 높일수록 전기·데이터 의존도가 커지고, 그만큼 다운타임(Downtime) 리스크가 커진다는 점이다. 또한 추진·보조 설비의 전동화가 빨라지면서 저품질 전력이나 단일 장애가 항차 전체를 흔들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래서 선박은 보고, 예측하고 지속하는 가동을 핵심 구조로 재설계되는 중이다. 이 가운데 ▲전력·연료를 통합해 보여주는 운영 데이터 플랫폼 ▲예측 유지보수
알파라발은 환경 규정, 연료 전환, 운항 최적화 등 자사 친환경적인 해상 청사진을 한 흐름에 담았다. 제24회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MARINE 2025)에서 이 모습을 고스란히 참관객에게 각인시켰다. KORMARINE 2025는 이달 21부터 24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에서 열렸다. 해당 전시회는 1980년 첫 회 이후 격년으로 이어온 대표 조선·해양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올해는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RX K. Fairs·벡스코가 공동 주최·주관했다. 전시장에는 전 세계 40개국 소재 약 1000개 업체가 2100개 부스를 꾸렸다. 이번 전시회는 ‘연료·전력·데이터’ 전환을 실행 가능한 솔루션 중심으로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알파라발은 열교환·분리·유체 취급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평가받는다. 이번 전시는 장비와 소프트웨어, 서비스 네트워크를 하나의 여정으로 연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대체연료(Alt-fuel) ▲해양 지속가능성(Marine Sustainability) ▲서비스·디지털화(Service & Digitalization) 등 세 구
세상의 흐름을 읽는 스마트한 습관 [글로벌NOW] 매주, 세계는 조용히 변화를 시작합니다. 기술이 바꾸는 산업의 얼굴, 정책이 흔드는 공급망 질서, 기업이 선택하는 미래 전략. 세계 곳곳에서 매주 벌어지는 이 크고 작은 변화는 곧 우리 산업의 내일과 맞닿아 있습니다. 글로벌NOW는 매주 주목할 만한 해외 이슈를 한 발 빠르게 짚어주는 심플한 글로벌 브리핑입니다. AI, 제조, 물류,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벌어지는 굵직한 사건과 트렌드를 큐레이션해 독자들이 산업의 큰 그림을 한눈에 파악하도록 돕겠습니다. [AI] 오픈AI, 영국 데이터 거주지 서비스 개시…기업 AI 거버넌스 본격 강화 오픈AI(OpenAI)가 지난 24일부터 영국 내 데이터 거주지(Data Residency)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규제가 엄격한 산업과 공공기관의 AI 도입을 막아온 ‘데이터 주권(Data Sovereignty)’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업용 AI 확산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새 옵션은 오픈AI의 주요 제품인 ChatGPT Enterprise, ChatGPT Edu, API 플랫폼에 적용된다. 이를 통해 영국 고객은 데이터를 해외
HD현대일렉트릭 — 사상 최대 수주잔고, 초고압변압기 성장으로 목표주가 100만 원 SK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HD현대일렉트릭(267260)은 2025년 매출 4조 1,110억 원(+23.7% YoY), 영업이익 9,780억 원(+46.1% YoY, OPM 23.8%)으로 예상된다. 3분기 실적은 매출 9,954억 원(+26.2%), 영업이익 2,471억 원(+50.9%, OPM 24.8%)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했다. 수주잔고는 9조 7,760억 원(+36.1%)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북미 전력망 확장에 따른 초고압변압기 수요 증가가 실적을 견인했다. SK증권은 “관세 부담에도 가격 인상 효과로 수익성이 개선됐다”며 목표주가를 기존 35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이는 현 주가(74만 6,000원) 대비 34% 상승 여력이다. SK이노베이션 — 정유 흑자·배터리 부진 속 3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유안타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096770)은 2025년 매출 79조 2,242억 원(+6.0% YoY), 영업손실 3,004억 원(OPM -0.4%)으로 연간 실적은 부진하겠지만, 3분기에는 영업이익 4,407억 원(흑자전환, OP
인하대학교는 이어진 컴퓨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AI 반도체로 주목받는 PIM(Processing-In-Memory)의 호환성과 효율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한 핵심 기술 ‘ComPASS’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PIM은 메모리 내에서 데이터 연산까지 수행해 데이터 이동을 최소화하는 기술로, 대규모 데이터 학습과 추론이 필수적인 인공지능(AI) 시대의 ‘게임 체인저’로 꼽힌다. 그러나 그동안 각기 다른 구조가 제안되면서 특정 시스템에서만 작동하거나, 일반 작업과 병행할 때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는 호환성 문제가 상용화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돼 왔다. 연구팀이 개발한 ‘ComPASS’는 ▲다양한 PIM 아키텍처를 지원하는 새로운 메모리 명령어 ‘PIM-ACT’ ▲프로세서의 부담을 줄이는 ‘PIM 요청 생성기’ ▲PIM과 일반 메모리 작업을 효율적으로 조율하는 ‘적응형 스케줄링’ 기술로 구성된다. 이 기술들은 마치 여러 언어를 통역하는 ‘번역기’이자 복잡한 도심의 ‘교통신호체계’처럼 작동해 다양한 형태의 PIM 반도체를 기존 시스템에 쉽게 통합하고 AI 연산과 일반 작업을 병행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컴퓨터 구조 분야의 세계적 학
UNIST-전남대 연구팀, 탄소배출 없는 자가 구동형 프로필렌 옥사이드 기술 확보 전기나 태양에너지 없이 친환경적으로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생산할 수 있는 자가 구동 시스템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프로필렌 옥사이드는 소파·매트리스의 주재료인 폴리우레탄, 옷감과 생수병에 쓰이는 폴리에스터 등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는 소재의 핵심 원료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곽자훈·장지욱 교수와 전남대학교 조성준 교수 연구팀은 자체 생산된 과산화수소를 활용해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만드는 자가 구동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프로필렌 옥사이드는 프로필렌을 산화시켜 얻는데, 이때 산화제인 과산화수소가 반드시 필요하다. 연구팀은 기존 상용 공정과 달리, 오염물질이나 탄소배출 없이 과산화수소를 자체 생산할 수 있는 전기화학 기반 시스템을 구현했다. 산소와 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한 전기화학 반응의 에너지 차이를 활용해 외부 전기나 태양광 없이도 자발적으로 작동하는 원리다. 이 시스템에서 생성된 과산화수소는 별도로 주입된 프로필렌과 반응해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만든다. 특히 연구팀은 산화 반응에 필요한 촉매의 구조를 새롭게 설계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했다. 기존 제
선박 정보기술(IT)·운영기술(OT) 경계에서 필요한 건 절차를 단순화한 설계다. 피닉스컨택트는 제24회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MARINE 2025)에서 VPN·모니터링·복구를 한 줄의 운영 흐름으로 엮어 보여줬다. KORMARINE 2025는 이달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에서 열렸다. 해당 전시회는 1980년 첫 회 이후 격년으로 이어온 대표 조선·해양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올해는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RX K. Fairs·벡스코가 공동 주최·주관했다. 전시장에는 전 세계 40개국 소재 약 1000개 업체가 2100개 부스를 꾸렸다. 이번 전시회는 ‘연료·전력·데이터’ 전환을 실행 가능한 솔루션 중심으로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피닉스컨택트는 독일 소재 산업 커넥티비티 및 자동화 기술 업체다. 단자대·전원공급장치·산업용 통신과 더불어, 선박·플랜트 현장의 원격 유지보수와 보안을 위한 네트워크 장비·소프트웨어를 함께 다룬다. 이번 부스의 핵심은 시스템 보호 시나리오다. 중앙 접근 구역인 계측실에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로그·시스로그(Syslo
제24회 국제조선·해양산업전(KORMARINE 2025)에 참전한 한화오션은 ‘연료가 바뀌면 선박도 바뀐다’는 메시지를 던졌다. 암모니아(NH₃) 운반선, 풍력 터빈 설치선(WTIV), 액화천연가스(LNG) 컨테이너선,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 설비(FPSO)를 한 자리에서 공개하며 친환경 해상 생태계의 연결고리를 강조했다. KORMARINE 2025는 이달 21일부터 24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에서 열렸다. 해당 전시회는 1980년 첫 회 이후 격년으로 이어온 대표 조선·해양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올해는 산업통상자원부·부산광역시·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KOSHIPA)·한국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KOMEA)·RX K. Fairs·벡스코가 공동 주최·주관했다. 전시장에는 전 세계 40개국 소재 약 1000개 업체가 2100개 부스를 꾸렸다. 이번 전시회는 ‘연료·전력·데이터’ 전환을 실행 가능한 솔루션 중심으로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 한화오션 부스는 암모니아·수소(H2) 등 차세대 연료 화물과 재생에너지 시공선까지 시야를 넓힌 구성으로 기획됐다. 관람 동선의 첫머리에는 8만8000㎥급 콘셉트의 암모니아 캐리어다. 길이 229.9m, 폭
비전 카메라 전문기업 바이렉스(Virex)가 ‘2025 AI 머신비전 컨퍼런스’에서 초고해상도 CIS(Contact Image Sensor) 카메라 솔루션을 공개하며 머신비전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김승엽 대표는 “라인스캔 중심의 기존 검사 구조는 설치 제약과 높은 비용으로 한계를 드러내왔다”며 “바이렉스의 CIS 카메라는 장비 설계의 자유를 높이고, 고해상도·저비용·정밀검사의 균형을 이룬 차세대 솔루션”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세션의 주제 ‘장비 설계의 자유를 주는 CIS 카메라 솔루션’에서 대면적 및 협소 공간 검사의 효율성을 강조하며, “CIS는 더 작은 장비로 더 넓은 검사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적 혁신”이라고 덧붙였다. 라인스캔의 복잡함을 넘어, 컴팩트한 올인원 비전 바이렉스가 지적한 기존 라인스캔(Line Scan) 방식은 카메라·렌즈·조명·컨트롤러·프레임그래버·PC 등 여러 구성요소가 필요해 설치 난이도가 높고, 대면적 검사 시 기구 진동과 이미지 왜곡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균일한 조명을 유지하기 위해 고가의 연속 광원이 필수적이다. 이에 반해 CIS(Contact Image Sensor)는 렌즈와 광원을 일체화한 Rod Lens Arr
AI 머신비전 분야의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한 기업이 있다. 메가페이즈(MegaPhase)와 크로스오버텍(Crossover Tech)은 22일 열린 ‘2025 AI 머신비전 컨퍼런스’에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탑재 2.5D 머신비전 솔루션을 공개하며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발표를 맡은 오인태 대표는 “2D로는 부족하지만 3D는 과한 응용 환경에서 최적의 대안이 2.5D 비전”이라며 “FPGA 병렬연산 기반의 하드웨어 컴퓨팅 이미징(HWCI) 기술을 통해 미세 결함 검출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실현했다”고 말했다. 메가페이즈는 중국 상하이에 본사를 둔 글로벌 비전 하드웨어 기업으로, 전 세계 50여 개국에서 7,000건 이상 배포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크로스오버텍은 메가페이즈의 한국 파트너로서 국내 제조 현장에 해당 기술을 공급·지원하고 있다. FPGA 하드웨어 연산으로 구현한 ‘초정밀·저지연’ 비전 이 솔루션의 핵심은 하드웨어 병렬처리 구조를 갖춘 FPGA 기반 연산 플랫폼이다. 기존 CPU 중심의 순차 처리 구조와 달리 FPGA는 데이터를 단 한 번만 전송하는 ‘Transfer-Only-Once’ 경로를 사
AI 비전 솔루션 전문기업 라온피플(Laon People)이 ‘2025 AI 머신비전 컨퍼런스’에서 Smart Factory 생태계 조성을 위한 ADC(Automatic Defect Classification) System을 선보였다. 인세용 실장은 “AI와 비전, MLOps를 통합한 ADC System은 제조 현장의 품질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하고 생산라인 전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플랫폼”이라며 “스마트팩토리 구현의 실질적 A to Z 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 라온피플은 AI 비전 검사 기술을 중심으로 반도체·디스플레이·2차전지·모빌리티 등 다양한 제조 공정에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해 온 기업이다. 이번 ADC System은 단순 검사 장비가 아닌 AI 모델 운영·검수·배포·학습·피드백까지 통합 관리하는 MLOps형 패키지 플랫폼으로, 제조 현장의 생산성과 품질 안정성을 동시에 높인다. AI 비전과 MLOps의 결합, 전 공정 품질 데이터 자동 피드백 ADC System은 라온피플의 AI 비전 솔루션 ‘NAVI AI PRO’와 MLOps 플랫폼, 그리고 산업안전 모니터링 구성요소가 결합된 형태다. 시스템의 핵심은 현장에서 수집된 비전 데이터를 기반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