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등 글로벌 전력 송배전 시스템 사업 확대로 수출 7.6억 달러 달성 세계 최고 기술역량 앞세워 해외 시장 공략…글로벌 기업 입지 다질 것 LS일렉트릭이 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한국무역협회 주관 제60회 무역의 날 행사에서 ‘7억불 수출탑’을 수상했다. LS일렉트릭은 세계 최대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북미 전력 송배전 솔루션 수주 확대와 동남아, 중국 등 기존 주력 시장의 동반 성장세에 힘입어, 지난해 7월 1일부터 올해 6월 30일까지 해외 매출이 7억 6,706만 달러(한화 약 1조 124억 원)를 기록하며 ‘7억불 수출탑’을 수상하게 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한 수치다. LS일렉트릭의 수출탑 수상은 지난 2005년 2억불을 시작으로, 2007년 3억불, 그리고 2013년 5억불에 이어 4번째다. 이러한 수출 확대는 기존 주력 시장인 베트남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펼친 현지 고객 맞춤형 전략과 더불어 북미, 중동 등 거대 신흥시장 개척 및 육성 노력의 결과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전 세계적 코로나 감염병 확산 이후 글로벌 공급망 쇼크로 인해 ‘납기 대응력’이 최우선 경쟁력으로 부각되면서 이 부분에서 강점을 지닌 LS일
스마트제조 구현의 최종 종착지는 품질이다. 품질관리의 중요성이 어느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딥러닝 등 다양한 혁신기술이 접목 혹은 융합되면서 품질관리 영역에서의 차별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스마트 센서를 사용하여 기계 및 장비의 성능을 모니터링하여 잠재적인 문제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다.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지 보수가 필요한 시점을 예측하여 가동 중지 시간을 줄이고 전반적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머신비전은 수십 년 동안 제품 품질을 개선하고 생산 속도를 높이며 제조 및 물류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제 이 입증된 기술은 인공 지능과 결합하여 Industry 4.0으로의 전환을 이끌고 있다. 특히, 딥러닝, AI, 로봇이 융합되면서 품질검사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항공 우주, 자동차, 건설 및 엔지니어링, 에너지 및 전력, 중장비와 같은 다양한 산업에서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3D 계측 장비의 채택이 증가하는 것은 3D 계측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이다. 더욱 가속화되는 산업자동화는 품질의 고도화에 대한 니즈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는 3D 계측기술의 고도화를 요구하고 있다. 엔드유저는 이러한 설비예지보전,
스마트제조 구현의 최종 종착지는 품질이다. 품질관리의 중요성이 어느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딥러닝 등 다양한 혁신기술이 접목 혹은 융합되면서 품질관리 영역에서의 차별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스마트 센서를 사용하여 기계 및 장비의 성능을 모니터링하여 잠재적인 문제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다. 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지 보수가 필요한 시점을 예측하여 가동 중지 시간을 줄이고 전반적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머신비전은 수십 년 동안 제품 품질을 개선하고 생산 속도를 높이며 제조 및 물류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제 이 입증된 기술은 인공 지능과 결합하여 Industry 4.0으로의 전환을 이끌고 있다. 특히, 딥러닝, AI, 로봇이 융합되면서 품질검사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항공 우주, 자동차, 건설 및 엔지니어링, 에너지 및 전력, 중장비와 같은 다양한 산업에서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3D 계측 장비의 채택이 증가하는 것은 3D 계측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이다. 더욱 가속화되는 산업자동화는 품질의 고도화에 대한 니즈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는 3D 계측기술의 고도화를 요구하고 있다. 엔드유저는 이러한 설비예지보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은 혁신산업 분야 인식 개선과 중소기업의 참여를 돕기 위해 '초격차 10대 분야 중소기업 현장 안내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정부가 적극 지원하는 초격차 10대 분야는 ▲시스템 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 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로봇 ▲빅데이터·인공지능(AI) ▲사이버보안·네트워크 ▲항공우주·해양 등으로 구성된다. 이번 안내서 발간은 중진공이 지난 9월 초격차 10대 분야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위해 신규 도입한 신산업 평가모형의 연장선으로, 초격차 분야에 대한 현장의 궁금증 해소 및 지원방안 논의를 위해 분야별 현황과 전망을 담았다. 주요 내용으로는 초격차 분야에 해당하는 주요품목 관련 기반기술과 산업구조, 시장규모, 전문가 인터뷰 등이 담겼다. 특히 생소할 수 있는 첨단기술을 생활에서 볼 수 있는 제품과 예시 사진 등을 활용해 독자 이해를 돕는다. 강석진 중진공 이사장은 "중진공은 기술력이 우수한 신산업 분야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선제적으로 투자해 초격차 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안내서가 중소벤처기업의 신산업 참여와 성장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삼성SDS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리튬 배터리 항공 운송 국제표준인증(CEIV)을 취득했다고 4일 밝혔다. CEIV 리튬 배터리 인증은 IATA가 리튬 배터리 운송 절차와 시설, 장비, 규정 등 260여개 항목을 면밀히 평가해 국제적인 운송 전문성과 우수성을 갖춘 업체들에 발급해주는 글로벌 표준 인증이다. 리튬 배터리는 운송 중 화재의 위험성이 있어 전문적인 운송·관리 절차가 요구되며 이번 인증을 통해 삼성SDS는 리튬 배터리 항공운송 물류 역량을 인정받게 됐다고 회사는 소개했다. 삼성SDS는 이번 인증을 통해 검증된 리튬 배터리 항공 운송 절차·기준을 자사의 디지털 물류 서비스 '첼로스퀘어'에도 상세 적용하고 상품화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오구일 삼성SDS 물류사업부장(부사장)은 "세계적인 국제표준인증 획득으로 리튬 배터리 항공운송 전문성을 인정받아 고객의 신뢰를 높이게 됐다"며 "지속적으로 물류 운영 경쟁력을 높여 고객에게 차별화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매스웍스는 퀄리타스반도체가 IBIS-AMI 모델 개발 프로세스 최적화를 위해 자사 소프트웨어 시뮬링크와 서데스 툴박스를 사용했다고 4일 밝혔다. 서데스는 직렬화(serialization)와 역직렬화(deserialization)의 합성어로 시스템 온 칩(SoC) 내부의 저속 병렬 데이터를 고속 직렬 데이터로 변환 후 초고속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퀄리타스반도체는 시뮬링크와 서데스 툴박스를 사용해 서데스 IP설계, IBIS-AMI모델 생성 프로세스 간소화 및 리눅스 호환성 문제를 해결했다. 퀄리타스반도체는 이전 대비 IBIS-AMI 모델 개발 시간을 30~40% 단축시키고, 호환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모델 관리에 필요한 시간을 약 40%를 절약했다. 서데스 툴박스는 사용자의 요구사양과 함께 다양한 조건을 시뮬레이션에 반영해 서데스 시스템을 손쉽고 빠르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시뮬링크와의 연동으로 서데스 시스템의 아키텍쳐 설계 및 검증뿐만 아니라 듀얼 PAMn IBIS-AMI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해 통계 분석과 시간 영역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퀄리타스반도체는 모델 기반 설계에서도 시뮬링크를 사용해 서데스 툴박스의 확장적인 사용이 가능했다. 시뮬링크는 설계자의
롤스로이스는 버진애틀랜틱 항공의 100항공편이 100%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SAF, Sustainable Aviation Fuel) 기반으로 런던 히드로 공항을 출발해 뉴욕 JFK 공항으로 이륙했다고 밝혔다. 롤스로이스 관계자는 "이번 비행으로 오늘날의 엔진과 기체 및 연료 인프라와 호환되고, 화석연료 기반의 항공유를 안전하게 드롭인(Drop-In)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는 SAF의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한 지난 1년 간의 도전적 협력이 정점에 이르면서 새로운 이정표를 수립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번 비행은 롤스로이스의 트렌트 1000 엔진을 탑재한 보잉 787(Boeing 787)을 통해 상업 항공사가 100% SAF를 이용해 대서양을 횡단하는 세계 최초의 비행으로 기록됐다. 장거리 항공의 탈탄소화 및 탄소중립 2050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SAF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전기 및 수소와 같은 다른 기술들은 상용화까지 아직 수십 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SAF는 현재 사용 가능한 대체제다. 오늘날 SAF는 전 세계 항공유 사용량의 0.1% 미만에 불과하며, 연료 표준에 따라 50% SAF 혼합물만 허용되고 있다. 이번 버진애틀랜틱의 100항공편 비행
최대 12세대 인텔 i7 CPU, 60W급 GPU 소화...AI 추론 가속화 에이수스가 엣지 AI 컴퓨터 ‘ASUS IoT PE3000G’를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최대 12세대 인텔 코어 i7 CPU 및 60W GPU 장착이 가능하다. 이 중 GPU는 NVIDIA RTX A1000·A2000, 인텔 아크 A350M·A370M·A570M·A730M 등과 시너지를 발휘해 AI 추론 가속화, 고성능 컴퓨팅, 이미지 처리 등에 특화됐다. 이를 통해 지능형 비디오 분석, 자율 차량 애플리케이션, 지능형 교통,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 처리 등 AIoT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 활약할 것으로 기대받는다. 또 PE3000G는 EIV 개발 키트가 적용됐다. 이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호환성, 추론 처리 가속화, 배포 절차 단순화 등 강점을 제공하는 핵심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미국 국방성 군사 규격 ‘밀스펙(MIL-STD-810H), 양면 방열판 설계 등 냉각에 최적화된 기술을 담아 20℃부터 60℃까지 온도 유연성을 갖췄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이노그리드는 우리금융그룹의 그룹공동 클라우드 고도화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2021년 진행된 1단계 사업인 '그룹공동 클라우드 도입 사업'의 후속 사업으로, 고성능·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중요업무에도 클라우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확대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우리금융그룹 전 계열사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클라우드 인프라를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고도화하며, 향후 클라우드 전환 3단계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클라우드 환경 분석 및 전략 수립 작업을 진행한다. 앞서 이노그리드는 우리금융그룹의 클라우드 1단계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바 있다. 해당 사업에서는 SDDC 기반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을 마련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관리할 수 있도록 이노그리드의 지능형 하이브리드 관리 플랫폼(CMP) '탭클라우드잇(TabCloudit)'을 커스터마이징해 적용했다. 특히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자동화 기능을 적용해 구축했다. 이번 사업에서 이노그리드는 안정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앞서 구축한 그룹공동 클라우드 포털을 고도화하고 재해복구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먼저 포털 고도화를 위
SK C&C는 싱가포르의 협업 솔루션 전문기업 소프트파운드리와 ‘디지털 팩토리 플랫폼 아이팩츠 기반 원격 제조 영상 협업 서비스 개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K C&C는 디지털 트윈에 버금가는 디지털 플랫폼 기반 원격 영상 협업 서비스를 선보이며, 이를 통해 세계 곳곳에 위치한 제조업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1999년 싱가포르에 설립된 소프트파운드리는 타이완, 중국, 베트남 등에 해외 지사를 두고 디지털 팩토리 분야 협업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대표 제품인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의 고화질 영상 협업 솔루션 ‘페이스프로’는 지멘스, 혼다, 포르쉐, 타타자동차 등 글로벌 제조 기업에 공급되고 있다. 이번 파트너십은 글로벌 공급망 확보를 위해 전 세계 각국에 세워지고 있는 제조·생산 시설 관리에 대한 기술·운영·비용적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한다. 보통 해외 공장에서 공정 과정의 오류나 문제가 발생하면 본사 엔지니어링 전문가가 파견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소모, 피해 누적, 비용 증가와 같은 문제들을 한번에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양 사는 SK C&C의 디지털 팩토리
오나인솔루션즈 코리아는 본사가 ‘2023 딜로이트 Fast Tech 500’에서 탁월한 성장 여정과 혁신에 대한 노력을 인정받아 405위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딜로이트 패스트 테크 500은 북미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기술, 미디어, 통신, 생명과학, 핀테크, 에너지 기술 기업 500곳을 선정해 수상한다. 오나인솔루션즈는 이 권위 있는 발표에서 5년 연속 이름을 올리는 영예를 안게 되었다. 오나인솔루션즈는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공급망, 커머셜, 재무, 지속 가능한 의사결정 등을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혁신적인 o9 Digital Brain을 기반으로 지난 3년간 304%라는 놀라운 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다. 유통, 소비재, 산업 제조, 하이테크 및 반도체, 생명과학, 자동차, 통신, 석유 및 가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선두 기업들이 o9의 AI 기반 Cloud Native Digital Brain 플랫폼을 활용하여 단절되고 오랜 시간이 걸리는 계획 프로세스를 모든 시간대에 걸쳐 모든 종류의 계획을 연결하는 진정한 통합 계획 플랫폼으로 전환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통합적이고 지속 가능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됐다. 오나인솔루션즈 공동설
“배터리 글로벌 경쟁력·신뢰성·성능 향상 기여할 것” UL솔루션즈는 경기도 평택 소재 부지에 첨단 배터리 시험소를 배치했다고 알렸다. 이번에 개소한 배터리 시험소는 전기차 배터리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평가·인증·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당 시험소에서는 전기차 배터리 안전 과학 엔지니어가 콘셉트 및 디자인 검증부터 제품 인증까지 제품 개발 핵심 공정을 평가·분석한다. 아울러 시험소에서 진행되는 과정은 UL 및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표준, 국제연합(UN) 목표와 계획, 미국 자동차공학회(SAE) 표준 등을 기반한다. 정륜 UL솔루션즈 한국 대표는 “안전한 고속 충전, 장거리 주행 능력, 높은 출력 등 전기차의 신뢰성 및 성능 요구가 증가하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UL솔루션즈 한국 첨단 배터리 시험소를 통해 국내 자동차 OEM 업체가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제품 신뢰성 및 성능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독자 개발 '이원자 촉매기술' 활용…탄소배출 줄이고 화학원료 얻는 효과 SK이노베이션은 독자 개발한 전기화학적 촉매 반응을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 산하 연구개발(R&D) 조직인 환경과학기술원은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일산화탄소로 바꾸는 '이원자(二原子) 촉매 기술'을 활용해 하루 1㎏ 상당의 일산화탄소를 제조하는 실증에 성공했다. 환경과학기술원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이원자 촉매 기술은 화학반응 속도를 변화시키는 촉매의 성능을 한층 더 높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SK이노베이션은 설명했다. 원자를 하나씩 분리해 만든 단원자(單原子) 촉매는 수백개 원자가 뭉쳐진 기존 촉매와 달리 활성을 더욱 높이는 기술인데, 여기에서 나아가 이원자 형태로 만들면서 촉매 성능이 더 향상됐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니켈과 철이 이원자 형태로 존재하는 촉매를 제조해 촉매 성능을 높였고, 이를 여러 전극 셀이 적층된 전해조에 적용하자 전기화학 촉매 반응을 거쳐 이산화탄소가 일산화탄소로 전환됐다. 일산화탄소는 초산, 플라스틱 등 화학제품 생산에 쓰이며 최근에는 메탄올, 합성원유 등 대체연료 생산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SK이노베
“자율주행차·확장 현실 기기 등 분야 진출해 지속 성장할 것” 자동화 솔루션 업체 팸텍은 중소벤처기업부 ‘2023 벤처천억기업’에 꼽혔다고 알렸다. 2023 벤처천억기업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주최, 벤처기업협회 주관 행사다. 매출액 1000억 원 이상을 달성한 중소기업의 수출·고용·기술 개발(R&D) 등 현황 및 성과를 종합 평가해 선정한다. 김재웅 팸텍 대표는 이날 기념식 자리에서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고객 맞춤형 장비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벤처천억기업에 선정됐다”며 “앞으로 자율주행차·확장 현실(XR) 기기 등 분야에 진출해 지속 성장할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팸텍은 CCM(콤팩트 카메라 모듈) 및 반도체 검사장비를 주로 다루는 업체다. 지난달 중국 천진은천기술유한공사(ENTIAN) 지분 70%를 인수해 중국으로의 사업 확장을 추진 중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국내 7만2058대, 국외 29만3518대 판매 수 올려 “BEV·HEV 인식 제고 밎 제품군 지속 강화해 친환경차 판매 확대할 것” 현대자동차는 지난 11월 글로벌 총 판매 36만5576대를 달성했다고 알렸다. 이는 전년 대비 5.0% 증가한 수치다. 이는 국내 시장 총 7만2058대, 국외 시장 29만3518대를 기록한 성과인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3%, 2.1%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판매고를 올린 모델은 포터·싼타페·그랜저·캐스퍼·GV80 순이다. 차종별로, 세단은 총 1만9321대가 팔렸는데, 그랜저 7980대, 아반떼 5828대, 쏘나타 4895대 순으로 판매량이 높았다. 이어 RV는 싼타페 8780대, 캐스퍼 5701대, 코나 3209대, 투싼 3205대, 팰리세이드 3157대가 줄지어 판매돼 총 2만6783대가 팔렸다. 현대차 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는 총 1만889대가 판매됐다. 이 중 GV80(3874대), G80(3023대), GV70(2910대)가 판매량 상위권을 차지했다. 아울러 포터가 9255대, 스타리아는 3342대가 판매됐고, 중대형 버스 및 트럭은 총 2468대가 새로운 주인을 만났다. 현대차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