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레이저발코리아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레이저발코리아(대표 권형중)은 SF+AW 2021에서 레이저 마킹기와 레이저 용접기 등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레이저발코리아가 이번 전시회에서 전시하는 레이저 용접기 LM-DV는 고정밀 수동 레이저 용접 시스템으로서 반복 가능한 용접 공정을 위한 Smart Spot 기술을 자랑한다. ▲첫 번째 펄스에서 시작하여 큰 피사계 심도와 안정적인 레이저 샷 ▲완벽한 인체 공학적 디자인을 위한 새로운 인체 공학적 디자인과 낮은 작동 소음 ▲ECO 모드 기능으로 유휴 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 구성 요소를 차단, 전력 소비 절감 ▲용접 프로그램, 소프트웨어의 쉬운 다운로드/업로드를 위한 USB 및 이더넷 연결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컴퓨터를 통한 펌웨어 업데이트 및 원격 제어 ▲용접 단계에서도 유체 및 무응력 공정 비전을 위한 특허 받은 Syncro View 시스템 ▲용접 이미지 사용자 정의를 위한 고급 소프트웨어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한백교역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한백교역(대표 이정훈)은 SF+AW 2021에서 열화상카메라 내장형 적외선 온도계, 열화상카메라, 크로노스 고속카메라 등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한백교역이 이번 전시회에서 전시하는 열화상카메라 내장형 적외선 온도계는 ▲700~1800°C 범위의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온도 측정 ▲알려지지 않았거나 변화하는 방사율에서의 높은 정밀성 ▲가변식 초점조절 가능한 광학렌즈 -공정에 최적화 가능 (초점거리: 210~5000 mm) ▲4자리의 LED 화면- 측정 온도나 설정 초점 거리의 표시 ▲2ms의 빠른 반응속도- 빠르고 변동이 심한 공정 적합, 온도 최대값 표시 ▲열화상 이미지와 비디오 이미지를 이용하여 온도계를 쉽게 조정 등의 특징을 가진다. 온도계의 열화상 기능에는 ▲한 시스템에서 온도계와 열화상 조합 ▲온도계와 열화상카메라의 조합 ▲온도계의 Spot온도측정기능과 열화상카메라의 온도분포 측정 ▲표준 소프트웨어인 Infr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인텍플러스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인텍플러스(대표 이상윤)는 SF+AW 2021에서 3D센서와 오토포커스 모듈, 프레임 그래버 등을 선보인다. 전시회에서 선보이게 될 3D 센서 ‘i3D-800’은 고해상도 카메라와 HD LED 구조광을 이용한 비접촉식 3D 센서로서, GPU를 내장하고 있어 별도의 그래픽 프로세서 없이 고화질의 3D Point Cloud Data를 출력한다. 이 센서는 빈피킹, 픽엔플레이스, 팔레타이징, 로봇 가이던스 등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함께 인텍플러스는 오토포커스 모듈 ‘iSAF-200’을 전시한다. 이 제품은 디지털 오토포커스 모듈로 높은 정확도, 고속, 1차 광학계와의 손쉬운 통합이 특징이다. 'iSAF-200'은 물론, 표면 높이의 차이가 큰 물체는 물론 정밀한 포커싱이 필요한 다양한 용도와 기계를 결합할 수 있다. 이밖에도 인텍플러스가 전시할 'Intekplus Frame Grabber'는 고속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바이렉스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바이렉스(대표 김수봉)는 SF+AW 2021에서 Teledyne DALSA의 Genie Nano CXP 시리즈와 고성능 프레임 그래버인 Xtium2-CXP 시리즈, Teledyne Lumenera의 USB 카메라 등을 선보인다. Teledyne DALSA의 Genie Nano CXP 시리즈는 Coaxpress 6Gbps 인터페이스를 기반의 고속, 고해상도 Area scan 카메라다. CMOS 이미지 센서를 탑재하여 해상도 16메가픽셀부터 67메가픽셀까지의 다양한 라인업을 갖추었다. Partial scan으로 더 높은 fps 사용이 가능하며 Multi-ROI 기능 등을 지원한다. USB 카메라인 Teledyne Lumenera의 Lt Camera 시리즈는 USB 3.1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하여 사용이 용이하다. 저해상도 1.7MP부터 고해상도 31MP까지 다양한 해상도 라인업으로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모델을 제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지비드(Zivid)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지비드(한국지사장 최병호)는 SF+AW 2021에서 산업용 3D 컬러 카메라 센서를 전시한다. 이번 전시회에 선보일 지비드 투(Zivid Two)는 산업용 3D 컬러 카메라 센서이며 초소형 폼 팩터에서 고객에게 뛰어난 3D 이미지 품질을 빠르게 제공다. 다양하고 까다로운 물체와 장면을 처리할 수 있는 빠르고 안정적인 픽 앤 플레이스 로봇 셀 설계를 가능하게 하다. 주요 특징을 보면, ▲초소형 폼 팩터: 169mm x 56mm x 122mm, 940g ▲해상도 : 230만 화소 ▲최소 획득 시간 : 60ms ▲데이터 인터페이스: 10기가 이더넷 ▲동작거리 : 300mm ~ 1,500mm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이와함께 전시될 지비드 원플러스(Zivid One+)는 산업용 및 협업 로봇 셀을 위한 고품질 3D 컬러 비전. 유연한 소중대 시야각을 갖은 컬러 3D다. 주요 특징은 ▲HD + 컬러: 230만 화소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넥센서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넥센서(대표 유준호)는 SF+AW 2021에서 현미경 간섭계 센서, 자유곡면측정기, 변위&두께센서 모듈 등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이게 될 현미경 간섭계 센서는 정밀소자, 부품에 대한 3D 높이, 형상 측정을 위한 기술로 Bumped wafer, PCB Bump, Display column space 같은 부분의 정밀한 높이 측정 모듈이다. 이와함께 전시될 자유곡면측정기는 기존 시장에 없는 새로운 기술로 투명한 렌즈, 글라스, 필름 등 Flexible한 자유곡면체에 대한 외관 검사 및 3D 형상 측정이 동시에 가능한 모델이다. 변위&두께센서 모듈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질의 두께 및 변위 측정용 모듈로 검사 제품의 거칠기가 다른 상황에도 실시간 두께 및 변위 측정이 가능한 모델이다. 넥센서는 국내 기술로 스마트공장에 제공되는 3D 광학 센서&솔루션을 개발, 제공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티허브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티허브(대표 김정엽)는 SF+AW 2021에서 AI 카메라를 활용한 물류창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선보인다. AI 카메라를 활용한 물류창고 모니터링 시스템은 효율적인 입출고 관리시스템을 위해 딥러닝 기반의 물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시스템 상에서 보관 물품변경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입출력 관리를 간소화하여 창고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웹과 모바일 어플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3D모델링을 통해 시각화한 것이 특징이다. 티허브는 IoT Platform 기술 및 Smart Platform 기술을 바탕으로 IT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차별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각종 센서와 통신 기능이 적용된 IoT 제품 및 서비스를 분야별로 갖추고 있다. 특히, Smart Home, Smart City, Smart Health Care, Smart Grid, Smart Factor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디딤센서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디딤센서(대표 서장일)는 SF+AW 2021에서 머신비전용 표면 검사용 서프파인더 센서를 전시한다. 서프파인더(Surf.Finder)는 기울기, 거칠기, 반사율 등의 표면 정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찍힘, 스크래치, 기포, 얼룩 등 기존에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던 표면검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한다. 뿐만 아니라, bar, ring, co-axial 등 임의의 조명 형태를 24bit의 컬러로 자유롭게 설정하고 빠르게 스위칭할 수 있는 super multi-function의 머신비전용 표면 검사 센서다. 서프파인더(Surf.Finder)-SF는 동축 조명이 포함되어 있어 반짝이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대상에 대해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서프파인더(Surf.Finder)-WV는 반짝임이 없는 대상에 적합하며, 비교적 넓은 FOV를 가질 수 있고, 다양한 카메라 세팅이 가능하다. 디딤센서는 머신비전 센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다빈치이미징이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다빈치이미징(대표 이현욱)은 SF+AW 2021에서 머신비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통합시스템을 선보일 예정이다. 다빈치이미징이 전시회에 선보일 바이올렛은 제조공정의 품질검사에 주로 사용되는 머신비전 기술을 제품제조사들이 쉽게 도입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통합 시스템이다. 고객 문제 해결을 위한 최적의 광학계와 바이올렛의 검사 소프트웨어를 통해 빠르게 시스템을 구성해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 도입 기간은 평균 2달로 단축되고, 하루 교육으로 운용을 시작할 수 있다. 이 통합시스템의 주요 검사항목은 자동차/전자제품 부품검사, 식음료/제약분야의 라벨검사, 유통기한검사, 바코드, 매트릭스 코드, 생산제품의 치수측정 및 형상검사 등이다. 다빈치이미징은 최적의 머신비전 솔루션을 제공하는 이미징 전문기업이다. 제품 제조사에 고객 요구에 맞춘 쉽고 간편한 비전시스템 개발해 제공하며, 장비제조사에는 전문적이고, 통합적
헬로티 김진희 기자 | EVT코리아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EVT코리아(대표 김대훈)는 SF+AW 2021에서 2D, 3D 머신비전 소프트웨어인 ‘아이비전’, 3D 검사 장치인 ‘아이스캔3D’, 아이센스 비전센서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EVT코리아가 전시할 아이비전은 2D, 3D 머신비전 소프트웨어로 Drag & Drop 과 간단한 설정만으로 2D, 3D는 물론 열화상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솔루션을 복잡한 코딩 없이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이스캔3D 센서는 빠르고, 정밀한 Laser Tri-angulation 방식의 3D 검사 장치다. 뛰어난 반복정밀도를 가진 아이스캔3D 센서와 아이비전3D 소프트웨어를 통해 매우 쉽고, 빠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아이센스 비전센서는 강력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탑재하여, 단순 비전 센서의 성능을 넘어선 독립형 비전 시스템이다. IP65/67 등급의 견고한 하우징으로 열악한 산업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하기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필소베네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필소베네(대표 최홍석)는 SF+AW 2021에서 루시드비전랩, 마인드비전, 아이텍 등의 차별화된 머신비전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 필소베네에서 소개할 루시드비전에서는 GigE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0.4MP~20MP까지 다양한 해상도를 가진 2D 비전 카메라 Phoenix를 출시하고 있다. 이 카메라는 하우징 없이 보드 형태의 카메라로 이외에도 크기가 작고, 별도의 킷을 사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변환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5GigE, 10GigE 카메라 외 가성비가 매우 뛰어난 TOF 센서인 Helios2 제품도 전시된다. 마인드비전은 GigE, USB 3.0, 10GigE 등 인터페이스와 Sony 센서 외 Aptina, PYTHON 등 다양한 센서를 탑재한 머신비전 카메라 제조사다. 2D 비전 외 고객들이 원하는 엔진을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카메라와 GigE 기반의 라인스캔 카메라 제품군도 전시된다. 아이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오토닉스는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오토닉스(대표 박용진)는 SF+AW 2021에서 레이저 변위 센서 BD Series, 세이프티 라이트 커튼/컨트롤러/스위치, 그래픽 패널/로직 패널 GP/LP-A Series 등 차별화된 자동화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레이저 변위 센서 BD 시리즈는 검출 대상의 색상이나 재질에 대한 영향이 적어 안정적인 변위량 측정을 통해 검출 대상의 두께, 폭, 단차, 들뜸, 굴곡, 평탄도 등의 측정이 가능하다. 특히 센서 헤드와 센서 앰프 유닛 분리형 구조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상호간섭방지기능 탑재로 최대 8대의 센서 앰프 유닛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 그래픽 패널/로직 패널 GP/LP-A Series도 전시된다. 그래픽 패널 GP-A 시리즈와 PLC/HMI/입출력 모듈 일체형 로직 패널 LP-A 시리즈는 10.4인치/7인치/5.7인치/4.6인치 TFT LCD 채용으로 뛰어난 시인성과 데이터 활용 범위 확장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로아스는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로아스는 (대표 주용, 김창구)는 SF+AW 2021에서 다양한 3D 비전 카메라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딥 러닝, 모션 플래닝 등의 고급 기술을 통해 Mech-Mind는 물류 및 제조 고객에게 낮은 비용으로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지능형 산업용 로봇 솔루션을 제공한다. 로아스의 솔루션은 디팔레타이징, 팔레타이징, 머신 텐딩, Bin-picking, Sorting, 위치 탐색, 접착, 키팅 및 조립 등 여러 응용 분야를 지원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Mech-Eye Log M은 고정밀 및 반사 방지. 어두운 표면과 복잡한 구조를 가진 다양한 물체를 잘 인식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복잡한 상황을 처리할 수 있다. Mech-Eye Deep은 다양한 공통 파렛트 패턴에 적용 가능하고, Mech-Eye Laser L은 레이저에서 생성된 구조화된 조명을 사용하여 주변 광 저항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면서 고정밀과 고속을 유지한다. 로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온비젼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온비젼(대표 오승원, 박성환)은 SF+AW 2021에서 Imperx TEC Camera Series, Mikrotron EoSens 21CXP2, Kaya Instruments Iron CXP 0505 등 차별화된 머신비전 카메라를 선보일 예정이다. 온비젼이 전시회에 선보일 Imperx TEC Camera Series는 ▲TEC: Up to 20°C below camera heat sink temperature ▲TEC Control: On, Off, Auto ▲Interface: Camera Link, GigE Vision ▲Resolution: 17MP, 20MP, 31MP ▲Pixel Size: 3.45μm ▲Dynamic Range: 71 dB 등의 특징이 있다. 이와함께 선보일 Mikrotron EoSens 21CXP2는 ▲Interface: CoaXPress 2.0 ▲Resolution: 5120 (H) x 4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풍림무약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풍림무약(대표 이정석, 이중철)은 SF+AW 2021에서 CBC사 computar 브랜드의 머신비전 렌즈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일 Computar MPT Series(1.4" 45MP)는 Computar의 머신비전 고정식 렌즈다. 주요 특징으로 ▲MPT Series(C-mount for 1.4INCH Large Format sensor Fixed-Focal Lens) ▲초점 거리: 12/16/25/35/50mm ▲대응센서: IMX530/24MP, IMX492/45MP ▲짧은 W/D (0.1m) , INF에서 높은 MTF 성능, 컴팩트한 디자인 등이 있다. Computar ViSWIR Series(Visible + SWIR)는 가시광부터 SWIR영역까지 대응 가능한 신제품이다. 주요 특징으로는 ▲Hyper Apo Series (C-mount, 2/3") ▲디포커싱 없이 400nm~1700nm까지 폭 넓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