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AMXPO 2025] 전통 기계에 스민 디지털, ‘제조 밸류체인의 현재’ 제시했다

URL복사

 

아시아 기계·제조 밸류체인 고도화는 ‘현재진행형’

 

‘제26회 아시아 기계&제조 산업전(AMXPO 2025)이 지난 9월 23일부터 나흘간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렸다. AMXPO는 국내 ‘국제인증전시회(AKEI)’ 인증을 받은 종합 제조 기업 간 거래(B2B) 전시 플랫폼이다. 지난 1977년 ‘제1회 한국기계전’부터 ‘한국기계전·한국산업대전’을 거쳐, 지난해부터 통합·리브랜딩했다.

 

‘기계산업의 새 커뮤니티’를 표방한 올해 행사는 ▲금속가공관 ▲스마트팩토리관 ▲소재·부품관 ▲에너지플랜트관 등 4개 전문관으로 구성됐고, 규모는 13개국 149개사 660부스로 펼쳐졌다. 다양한 전문관이 배치된 만큼, 절삭·성형·계측에서 로보틱스·비전·디지털 전환(DX) 솔루션에 이르는 제조 밸류체인을 한 바퀴에 담았다.

 

이 가운데 핵심 의제는 ‘전통 기계 × 디지털 제조’의 접점이다. 이를 반영해 수명주기관리(PLM)·제조실행시스템(MES)·전사적자원관리(ERP) 등을 비롯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주도 제조가 만났다.

 

부대행사도 실전형으로 채웠다. 개막식과 ‘기계·로봇산업 발전 유공 포상’에 더해, ‘Tech X Stage 세미나’, ‘INSIGHT CONNECT 2025 × AMXPO’, '해외 바이어 1:1 B2B 매치메이킹' 등이 전시장 안에서 함께 이어졌다.

 

<호쿠요> 3D 측역 센서 ‘YHT-05LA’, AGV·지게차 안전대책에 최적화

 

 

호쿠요코리아는 HOKUYO AUTOMATIC CO.,LTD.의 국내 공급사로 측역 센서, 광전·레이저 센서, 철강·크레인 센서를 비롯해 다양한 산업용 센서와 장비를 제공하며 고객의 작업 공간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된 ‘YHT-05LA’는 측역 센서 시리즈 최초 3D 센서로 영역 설정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검출 거리는 5m, 스캔 각도는 수평 45°, 수직 +40°~-45°를 지원한다. 기존 제품 대비 스캔 속도를 절반 이하로 낮춰 실시간 측정을 구현했으며 AGV·AMR, 지게차, 협동 로봇 등의 안전 대책에 최적화된 성능을 갖췄다.

 

호쿠요코리아는 이 밖에도 적외선 데이터 전송 장비, 광 리모컨 등 광통신 장비와 함께 레이저 거리계, CCD 응용 외형 측정기, 장애물 감지 센서 등 폭넓은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력은 제조, 물류, 철강, 크레인 산업 현장의 안전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높여주는 기반이 되고 있다.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수소·전기 굴착기 앞세워 ‘안전·지속가능’ 비전 제시

 

 

HD현대인프라코어가 이번 전시에서 안전, 생산성, 지속가능성을 핵심 테마로 다양한 장비와 기술을 선보였다. 대표 전시품으로 선보인 수소엔진은 내연기관 수준의 출력과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탄소 배출을 크게 줄여 트럭·버스·굴착기 등 차세대 파워트레인으로 주목받았다.

 

현장에서는 도심과 실내 작업에 최적화된 미니 전기굴착기와 과수원 등 협소한 공간에서 활용도가 높은 1톤 미만 소형 굴착기도 관심을 모았다. 참관객은 VR 시뮬레이터를 통해 장비 조작을 체험하며 HD현대인프라코어의 친환경·사용자 친화형 기술을 가까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박구선 HD현대인프라코어 파트장은 “현장에서 보다 저희 장비를 통해서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3D 머신가이던스와 같은 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라며 “E-STOP(긴급자동제동)같은 첨단 세이프티 기능을 통해 현장에서 안전사고율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모두솔루션> 지스타캐드 2026·PTC 최신 솔루션, 도면배포시스템으로 CAD·DX 시장 공략

 

 

모두솔루션은 CAD·PDM·도면배포시스템 구축 및 컨설팅 전문 업체로 지스타캐드(GstarCAD), PTC Creo 12 및 PLM 솔루션, 자체 도면배포시스템(MDDS)을 선보였다. 부스에서는 제품 시연과 함께 퀴즈, 다트 등 참여형 이벤트가 진행돼 참관객이 직접 솔루션 특징을 체험하며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

 

이번에 소개된 지스타캐드 2026은 전면 재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강화된 성능을 기반으로 치수 구속조건과 매개변수 관리자 등 파라메트릭 설계를 지원하는 기능이 추가됐다. 또한 DWG 비교, 도면 병합, 공학 투영, 뷰 모드 전환 기능을 통해 설계 검토와 문서화를 간소화했으며, 3D 모델링 전용 작업공간, TIFF 플로터, 바코드 출력, 도구 팔레트 가져오기 기능까지 더해 실무 활용도를 크게 높였다.

 

모두솔루션은 PTC Creo 12, Windchill PLM, ThingWorx IoT 솔루션을 함께 선보이며 제조 현장의 디지털 트윈과 스마트 팩토리 구현 방안을 제시했다. Creo 12의 고도화된 3D 설계, Windchill의 데이터 통합 관리, ThingWorx의 IoT 연결성은 DX 전환을 위한 핵심 요소로 주목받았다. 자체 MDDS는 권한 기반 제어와 안전한 데이터 관리로 부서 간 협업과 협력업체 간 도면 공유를 지원한다.

 

모두솔루션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고객의 목소리를 직접 확인하고 지스타캐드와 PTC 솔루션의 강점을 알릴 수 있었다”며 “수집한 피드백을 반영해 더욱 실무 친화적인 CAD·PDM·도면배포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전했다.

 

<한신> 제로백래시 정밀감속기 ‘GTB 시리즈’로 고정밀 자동화 구현

 

 

한신은 자동화 장비와 공작기계 핵심 부품을 제조하는 업체로 제로백래시 정밀감속기 ‘GTB 시리즈’를 선보였다. 대표 제품은 백래시가 없는 정밀 서보 감속기로 고강성 하우징과 경량화를 동시에 실현했으며 로봇 리니어 이송, 글라스 곡면 연마, 공작기계 스위스턴 가공 등 고정밀 공정에 적합하다.

 

GTB 시리즈는 톱니 간 유격을 제거한 롤러기어 캠 구조를 적용해 반복 위치 정밀도를 극대화했다. 또한 사용자는 서보 모터 제원과 작업 조건에 따라 감속비 옵션을 선택할 수 있고 Black finish 처리된 고강도 하우징은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강화해 장비의 긴 수명과 안정적 동작을 지원한다.

 

한신은 이외에도 플렉시블 피더 ‘ROVIS’를 개발해 기존 공급기로는 선별이 어려운 다양한 부품을 하나의 장비에서 핸들링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다품종 소량생산 환경에 대응하는 효율적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팩트베이스> 도면 중심 데이터 통합, 클라우드 시스템 ‘Zumen’ 혁신

 

 

팩트베이스가 도면 관리에 특화된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Zumen’을 선보였다. 이 솔루션은 도면을 중심으로 사양서, 공정 문서, 변경 이력 등 제조 현장의 핵심 데이터를 한 곳에서 통합 관리하도록 설계됐다. 기존의 종이 문서나 엑셀 기반 관리 방식과 달리 업무 흐름을 디지털화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Zumen은 일본 제조업체 현장에서 파악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됐다. 비효율적인 문서 관리, 숙련 인력 퇴직으로 인한 기술 단절, 현장 실용 시스템 부재 등이 대표적이다. 출시 이후 3년간 일본 현장에 적용돼 실용성과 혁신성을 입증했으며, 한국, 대만, 태국, 베트남, 미국 등 해외 시장에서도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최신 AI 기술을 접목해 Chat GPT 기반 자동 등록, AI 유사 도면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문서 정리와 검색 시간을 단축하고 기업이 보유한 기술과 노하우를 효율적으로 축적·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팩트베이스 관계자는 “Zumen은 단순한 도면 저장 시스템이 아닌, 제조업의 구조적인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이라고 말했다.

 

<브라더인터내셔널> 스마트 제조 현장에 최적화된 ‘산업용 라벨링 솔루션’ 공개

 

 

브라더인터내셔널코리아가 산업용 라벨 프린터와 튜브 넘버링기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 제조용 라벨링 솔루션을 선보였다.

 

대표 전시 제품인 전문가용 산업용 라벨 프린터는 전선, 스위치, 패널 등 다양한 설비 라벨링에 적합하며 전기기사용 튜브 넘버링기는 PVC 튜브와 라벨을 모두 지원해 케이블과 배선 넘버링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다. 두 제품은 빠른 출력 속도, 다양한 매체 지원, 높은 내구성을 갖춰 제조 및 전기 현장에서 작업 편의와 생산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솔루션으로 소개됐다.

 

현장에서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연동 시연 장비를 통해 자동화 라벨링 프로세스를 시연해 참관객의 관심을 끌었다. 또한 브라더코리아는 ‘P-touch Editor’ 소프트웨어를 함께 전시해 산업용 라벨의 제작과 출력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강조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기호, 바코드, 심볼 등 다양한 지원 기능으로 산업 표준에 맞춘 라벨링을 지원한다.

 

브라더코리아 관계자는 “AMXPO 2025를 통해 브라더 라벨링 솔루션이 다양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소개했다”며 “앞으로도 산업 현장을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솔루션을 지속 제공하겠다”고 전했다.

 

<에어비젼> ‘AV 필터’로 공기청정기 없는 실내공기 안심존 구현

 

 

에어비젼은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에어비젼 필터(AV 필터)’로 공기청정 솔루션을 선보였다. AV 필터는 기존 에어컨, 선풍기, 창문, 환기 유닛, 공조기 등에 간단히 부착해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를 제거하며, 별도 장치 없이도 공간 전체를 청정구역으로 바꿀 수 있다.

 

필터의 핵심 기술은 ‘바람은 통과시키면서도 먼지는 걸러내는 교차점’에 있다. 이를 통해 초미세먼지까지 차단하고 냉난방기의 효율 저하를 막아 전기요금을 절감하며 장비의 수명도 연장한다. AV 필터는 절취선과 자석 부착 방식을 적용해 교체와 설치가 간편하고 필터 글씨가 사라지면 교체 시기를 알 수 있어 유지 관리가 쉽다.

 

제품군은 에어컨·선풍기·창문·환기장치·공조기 전용 필터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돼 있다. 특히 에어컨 필터는 송풍 기능을 활용해 사계절 공기청정기로 전환할 수 있으며 창문 필터는 빗물 유입과 사생활 노출을 동시에 차단하는 기능을 갖췄다. 산업 현장에서는 AV 롤 필터와 환기장치용 제품을 통해 공장 내 오일미스트, 분진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플랜> 회로도 설계 자동화·문서화 지원하는 ‘EPLAN Electric P8’

 

 

이플랜은 전기 엔지니어링 전문 업체로 기계 및 플랜트 시스템을 위한 통합 전기 엔지니어링 솔루션 ‘EPLAN Electric P8’을 선보였다. 이 소프트웨어는 회로도 생성부터 표준화·템플릿 기반 설계까지 다양한 방식을 지원하며 입력된 프로젝트 데이터를 토대로 기계 및 플랜트 시스템 문서화를 자동으로 완성할 수 있다.

 

EPLAN Electric P8은 단순한 회로도 작성 기능을 넘어 데이터 일관성과 설계 자동화를 동시에 제공한다. 이를 통해 엔지니어는 반복 작업 시간을 줄이고 설계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업은 프로젝트 진행 속도를 앞당기고 인력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문서화를 자동으로 구현해 협업 환경에서도 호환성을 강화한다.

 

이플랜은 이번 전시에서 EPLAN Electric P8을 비롯해 디지털 엔지니어링 환경을 지원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를 함께 선보였다. 부스에서는 실제 프로젝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회로도 자동화와 문서화 시연이 진행돼 참관객들이 제품의 활용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 마이클앤선솔루션 > "튜브 가공은 우리에게"...배선 자동화 품질 향상 노려

 

 

마이클앤선솔루션은 배선·튜브 가공 자동화 장비 브랜드 ‘튜브터치(Tube Touch)’를 전면에 내세웠다. 전시 현장에는 자동 튜브 절단·인쇄·수축 라벨링 장비가 가동됐다. 참관객들은 케이블이 장비에 투입된 뒤 절단·피복 인쇄·수축 라벨이 부착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대표 전시 제품은 ‘T-9100UL’ 모델로, 전선 피복 위에 바로 인쇄하는 ‘UV 인쇄 라벨링’ 기능을 탑재했다. 이 장비는 배선 작업의 일관성을 보장하고, 수작업 대비 생산성과 안정성을 대폭 높인다. 특히 항공·자동차·전자 기기 배선 작업처럼 규격과 안전성이 중요한 분야에서 품질 향상 효과가 크다.

 

또 다른 장비는 튜브와 케이블에 히트 수축 튜브를 자동 장착·수축시키는 설비다. 작업자는 케이블만 공급하면 자동으로 라벨링·수축까지 완료돼, 다품종 소량 생산 체계에도 유리하다.

 

관계자는 “튜브터치 시리즈는 작업 효율화뿐 아니라 인적 오류를 줄여 품질 이력을 명확히 남길 수 있다는 점에서 스마트 제조 기반에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 쓰리디시스템즈 > "산업용 3D 프린팅, 현장 맞춤 솔루션으로 진화한다"

 

 

글로벌 3D 프린팅 기술 업체 쓰리디시스템즈는 산업용 적층제조 장비 ‘프로젯 MJP 2500(ProJet MJP 2500)’을 중심으로 부스를 꾸렸다. 해당 장비는 멀티젯(MultiJet, MJP) 방식을 적용해 정밀도가 높고 표면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정교한 디테일을 요하는 의료용 부품, 전자기기 하우징, 산업용 프로토타입 제작에 강점을 지닌다.

 

이번 전시에서 쓰리디시스템즈는 3D 프린팅이 최종 사용 부품(End-use Parts) 생산 단계로 진화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다재료 프린팅, 고내열성 레진 등 신소재와 결합해 제조 현장의 활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현장 관계자는 “ProJet 시리즈는 복잡한 형상과 미세 구조물을 단시간에 구현해, 금형 제작 시간을 단축시키고 맞춤형 생산을 가능케 한다”며 “스마트 제조·헬스케어·항공·자동차 산업 등에서 점점 더 보편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최재규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