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 플랫폼으로 기업용 LLM 인에이블러 서비스 제공 올거나이즈가 16일 DDP 아트홀에서 열린 'The AI Show(TAS 2023)'에 참가해 기업용 LLM 인에이블러 '알리(Alli)'를 선보였다. TAS 2023은 AI 전시회를 비롯해 컨퍼런스, 시상식 등이 함께 열리는 AI 축제로, 올해 첫 걸음을 뗐다. TAS 2023에서는 화두인 생성형 AI와 관련해 기술을 보유한 기업과 연구기관, 대학이 참가해 대중에게 AI 기술을 쉽게 알릴 예정이다. 올거나이즈는 알리 플랫폼을 통해 기업용 LLM 인에이블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알리 LLM 앱 빌더’를 활용해 노코드 형태로 보고서 요약, 데이터 분석 등 기업 맞춤형 앱을 쉽게 제작한다. 오픈AI의 GPT-3.5, GPT-4, 구글의 팜2, 앤트로픽의 클로드2,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등 원하는 LLM을 선택해 사용 가능하며, 올거나이즈의 산업 특화 sLLM도 온프레미스 형태로 쓸 수 있다. 특히 국내 유일의 LLM 앱 마켓인 ‘알리 LLM 앱 마켓’ 솔루션의 보급을 확장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기업이 앱 마켓에 등록된 LLM 앱 중 필요한 앱을 골라 직군별 업무에 활용하거나, 앱을 노코드로
투자 전략 혁신과 인지 편향 감소 목표로 AI Sight 개발해 NR2(엔알이)가 16일 DDP 아트홀에서 열린 'The AI Show(TAS 2023)'에 참가해 AI 기반 투자 플랫폼 'AI Sight'를 선보였다. TAS 2023은 AI 전시회를 비롯해 컨퍼런스, 시상식 등이 함께 열리는 AI 축제로, 올해 첫 걸음을 뗐다. TAS 2023에서는 화두인 생성형 AI와 관련해 기술을 보유한 기업과 연구기관, 대학이 참가해 대중에게 AI 기술을 쉽게 알릴 예정이다. NR2가 개발한 AI Sight는 투자자의 사고 과정을 복제함으로써 데이터 기반의 객관적인 투자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AI Sight는 데이터 수집을 넘어 정확성, 전문성, 미묘한 투자 심리를 담은 투자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AI Sight는 다국어로 작성된 문서를 원활하게 수집해 데이터를 정보로 변환하고, 영어와 한국어로 결과를 도출한다. 사용자는 선택한 패키지에 따라 포함된 모듈을 통해 분석한 자료를 받아볼 수 있다. NR2는 액셀러레이터를 위한 프로그램과 기업 맞춤형 커스텀 AI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2019년에 설립된 NR2는 영국과 한국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고유의 AI
기업 맞춤 생성형 AI 개발과 튜닝 강화하는 엔드 투 엔드 솔루션 제공 엔비디아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에 AI 파운드리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는 스타트업을 포함한 기업들에게 맞춤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튜닝 강화를 제공한다. 엔비디아 AI 파운드리 서비스는 ▲엔비디아 AI 파운데이션 모델 ▲엔비디아 네모 프레임워크 ▲엔비디아 DGX 클라우드 AI 슈퍼컴퓨팅 서비스를 통합해 기업이 맞춤 생성형 AI 모델을 제작할 수 있는 엔드 투 엔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지능형 검색, 요약, 콘텐츠 생성 등을 지원하는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해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와 함께 맞춤형 모델을 배포할 수 있다. 업계 선두주자인 SAP SE, 암독스(Amdocs), 게티 이미지는 해당 서비스를 사용해 맞춤형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는 "기업들은 각 기업의 고유한 DNA, 즉 데이터를 기반으로 훈련된 전문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맞춤형 모델이 필요하다"며 "엔비디아 AI 파운드리 서비스는 엔비디아의 생성형 AI 모델 기술, 대규모 언어 모델(LLM) 트레이닝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지난 7월 아토스(Atos) 그룹과 독점 협상을 착수한 데 이어 기후 컨설팅 및 넷제로 솔루션을 제공하는 자회사 에코액트(EcoAct)의 인수를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앞으로 에코액트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지속가능성 사업부에 합류하게 된다. 에코액트는 2006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이래 다양한 글로벌 기업에 넷제로와 자연기반 솔루션을 제공해온 글로벌 컨설팅 기업으로 기후 리스크 평가 및 넷제로 전략 수립, 에너지 효율 향상 및 관리, 재생에너지 조달과 ESG 공시 등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에 관련된 다양한 부문에서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글로벌 지속가능성 비즈니스 솔루션을 보다 확대하고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두 조직이 보유한 지속가능성 솔루션을 통합함으로써 그간 인공지능(AI) 주도의 디지털·데이터 관리 툴을 기반으로, 넷제로 전략 수립 및 감축목표 설정을 포함해 온실가스 배출 범위 전반(Scope 1, 2, 3)에 걸쳐 기업의 탈탄소 전환을 지원해 온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엔드-투-엔드 자문 서비스 역량이 한층 강화될 예정이다. 스티브 윌하이트 슈나이더 일렉트릭 지속가능성 사업부 사장은 "우리는 오랜 기간 에코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국무조정실 산하 형사 및 법무 분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고 16일 밝혔다. 공공 부문에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례가 매우 드문 가운데,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과 카카오클라우드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행정·공공기관 클라우드 전환 사업의 일환으로 약 1년 여 가량의 기간에 걸쳐 진행했다.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이하 형정원)은 범죄의 실태와 원인 및 그 대책을 종합적·체계적으로 분석·연구함으로써 국가의 형사정책 및 법무정책의 수립과 범죄방지에 기여하는 국책연구기관으로 범죄와 형사사법 통계정보 제공, 국가별 형사법 비교 플랫폼, 전자도서관 등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형정원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추진하는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전략에 발맞춰 단순한 '리프트앤시프트(이전)' 방식이 아니라 클라우드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전면 전환했다. 다수의 기업 및 기관들이 기존 시스템과 유사한 구조 그대로 클라우드로 인프라만 전환하는 방식을 택하는 반면 형정원은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기업용 클라우드
슈퍼마이크로컴퓨터가 AI 및 HPC 랙 공급량과 최신 수냉식 냉각 솔루션을 강화한다고 16일 밝혔다. 슈퍼마이크로는 랙 스케일 AI 및 HP 솔루션 포트폴리오에 대한 수요 증가에 맞춰 미국, 대만, 네덜란드, 말레이시아의 최첨단 통합 시설에서의 생산량을 늘리며, 향후 제조 및 지역 확장을 고려하고 있다. 찰스 리앙 슈퍼마이크로 사장 겸 CEO는 "슈퍼마이크로는 전 세계에 위치한 자사 시설을 통해 월 5000여 개의 랙을 생산 가능하며, 그로 인해 랙당 최대 100kW가 필요한 완전 통합형 수냉식 냉각 랙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지원하게 됐다"며 "AI 및 하이퍼스케일 데이터 센터의 설계 및 구축 프로세스 초기에 완전한 랙 스케일 솔루션과 수냉식 냉각 솔루션을 고려한다면, 긴급한 구축 요건을 충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한다"고 말했다. 슈퍼마이크로는 대규모의 '골든 SKU' 재고를 보유하며, 그로 인해 최첨단 AI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대규모 CSP 및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센터에 대한 글로벌 배송 시간을 단축할 예정이다. 데이터 센터부터 엣지(IoT)까지 슈퍼마이크로의 광범위한 서버는 원활한 통합이 가능해 도입 및 참여 고객이 많다고 슈퍼마이크로는 밝혔다
AI 혁신과 변화 예고한 100여개의 기술과 업데이트 공개 마이크로소프트가 현지시간 15일 '마이크로소프트 이그나이트 2023'를 개최하고, AI 혁신과 변화를 예고한 100여개의 기술과 업데이트를 공개했다.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마이크로소프트 CEO 겸 이사회 의장은 기조연설에서 “지난 한 해 동안 혁신의 속도는 놀라울 정도로 빠르게 진행됐다”며, “우리 모두는 코파일럿의 창의성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이해하기 시작했고 이는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코파일럿은 전 세계와 조직의 지식에 접근하는 새로운 AI가 될 것이며, 그 지식을 바탕으로 행동하도록 돕는 에이전트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올 한해 동안 AI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며 다양한 산업군에서 완전히 새로운 업무 수행 방식을 발견하는 등 총체적인 변화의 시기를 겪었다. 특히 AI가 업무를 혁신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가 발표한 업무동향지표에 따르면, 코파일럿 사용자의 70%가 생산성 향상을 경험했으며, 87%는 문서 초안 작성이 쉬워졌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창의적인 작업을 시작하는 데에 도움을 받았다는 응답도 68%에 달했다. 이러한 결
높은 수준의 보안 강도 및 작은 키에 대한 하위 호환성 유지해 차량의 커넥티비티 기능이 향상돼 더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기술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높은 수준의 보안 조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최근 정부 및 자동차 OEM들은 사이버 보안 요구 사항에 더 큰 키 사이즈와 Edwards Curve ed25519 알고리즘 표준을 포함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이하 마이크로칩)는 가장 복잡한 자동차 및 임베디드 보안 사용 사례에 적용하는 최신 트러스트 앵커 보안 집적회로(IC) 'TA101'을 출시했다. TA101은 최대 ECC P521, SHA512, RSA-4K 및 AES256의 대형 키 크기를 지원해 현재 규정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 강도를 제공한다. TA101은 더 작은 키에 대한 하위 호환성도 유지해 향후 규정 변경에 대해 조정 가능성도 제공한다. 산업용 등급 제품군인 CryptoAuthentication 보안 IC와 1 AEC-Q100 1등급 인증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CryptoAutomotive 보안 IC,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된다. 마이크로칩의 보안 IC 포트폴리오에서 최신 보안 디바이스에 속하는 TA
달파 AI 솔루션 도입 고객사 중 최다 AI 솔루션 제공 사례로 꼽혀 달파는 16일 어이사마켓에 ‘이미지 서치’ 등 AI 솔루션 8종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어이사마켓 측은 8종의 AI 솔루션을 도입해 생산성 향상 효과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어이사마켓의 달파 AI 솔루션 도입은 고객사 중 최다 AI 솔루션 제공 사례로 꼽힌다. 지난 5월 이미지 서치 AI 제공을 시작으로 텍스트 서치, 유사 상품 추천, 상품 속성 태깅, 상품명 생성, 인페인팅, 노출 부적합 이미지 검출, 상품 사이즈표 정보 추출 등의 AI 솔루션을 도입, 운영하고 있다. 텍스트 서치 AI는 상품 이미지와 텍스트 유사도를 이용한 검색엔진 기능으로, 중국에서 공급되는 상품 내 상품명이 제대로 돼 있지 않아 일반적인 텍스트 검색엔진 도입에 어려움을 겪는 크로스보더 사업자를 위한 솔루션이다. 이미지와 텍스트의 유사도를 이용하는 검색엔진을 적용, 상품명 퀄리티가 떨어지는 이유로 원하는 상품을 쉽게 찾기 어렵던 기존 텍스트 검색엔진에 비해 상품을 쉽게 찾도록 해 기존 불가능하던 ‘해변과 잘 어울리는 옷’과 같은 자연어 기반의 검색도 가능하다.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비슷한 상품을 검색하는 검색엔진인 ‘이
초거대 AI 기술 및 상용화 사례 소개와 한글 문서 활용 방안 공개 포티투마루가 한국IT서비스학회 ‘2023 추계학술대회’에서 한글과컴퓨터와 함께 초거대 AI를 활용한 공공 및 교육 분야 혁신 방안 전략을 공유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행정안전부 등의 정부기관이 후원하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함께 주최하는 2023 추계학술대회는 ‘글로벌 디지털 혁신의 주역,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정부에서 추진하는 디플정 정책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각 기관의 역할을 살펴보고, 민간기업의 IT 서비스 사례와 연구자의 연구 결과도 공유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포티투마루는 Track F2 : 개방형 문서 포맷과 인공지능 학습 세션에서 ‘OWPML(HWPX) 포맷 인공지능 활용 사례’를 주제로 초거대 AI 기술 및 상용화 사례에 대한 소개와 한글 문서 활용 방안 등을 주제로 권혁성 CBO가 발표를 진행한다. 지난 9월부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과 함께 공공기록물을 활용한 대규모 학습용 데이터 및 초거대 AI 시범 서비스 구축 사업을 진행 중으로,
“AI 분야 경험, 에코시스템 인지도 격상 등 실적 입증...마케팅 활동의 적임자” Arm 홀딩스(이하 Arm)이 아미 바다니(Ami Badani) 前 엔비디아(NVIDIA) 마케팅 및 개발자 제품 부문 부사장을 신임 최고마케팅책임자(CMO)로 선임했다고 전했다. 바다니는 엔비디아와 더불어 소프트웨어 업체 큐뮬러스 네트웍스(Cumulus Networks), 네트워크 통신 업체 시스코 시스템스(Cisco Systems), 투자은행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및 JP 모건(J.P. Morgan) 등에서 활약했다. 특히 엔비디아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DPU) 개발자 에코시스템을 육성하고, 생성형 AI 데이터 전략을 추진했다. 아울러 데이터센터 포트폴리오 제품 및 기술 마케팅 활동을 주도한 데 인정받았다. 바다니는 앞으로 Arm 글로벌 마케팅 조직을 총괄하며, 르네 하스(Rene Haas) Arm CEO에게 업무 현황을 보고하는 역할을 맡는다. 르네 하스 Arm CEO는 “바다니는 AI 분야에서 축적한 경험과 개발자 에코시스템의 인지도를 높이는 등 실적을 입증했다”며 “Arm에서 컴퓨팅의 미래를 구축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을 이끌 적임자”라고 Arm 신임
AI 교육 현황과 유다시티 교육 프로그램 소개, 적용 사례 등 공유 유다시티가 지난 14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 무궁화홀에서 '제1회 유다시티 AI 포럼(Udacity AI Forum)'을 개최했다. 유다시티는 대학, 기업, 해외 사례 공유를 통한 미래 양성을 목표로 삼은 AI 교육 플랫폼이다. 유다시티 교육 프로그램은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일주일에 약 10시간 정도의 학습 과정으로 수료가 가능하다. 특히 유다시티 나노디그리는 세련된 프레젠테이션과 사용자 수준에 따른 초급, 중급, 고급 단계별 설계, 합리적인 학습 분량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유다시티는 이번 포럼에서 대학교 AI 및 빅데이터 등 IT 관련 학과 교수 등 교육계 관계자를 대상으로 AI 교육 현황과 유다시티 교육 프로그램 소개, 적용 사례 등을 공유했다. 이날 세바스찬 스런(Sebastian Thrun) 유다시티 대표와 필 듀건(Phill Duggan) 유다시티 성장시장 부사장이 환영사를 맡았으며, 카이스트 최재식 교수가 축사를 전했다. 축사 이후 진행된 주제발표에서는 서울대학교 김홍기 교수가 '이종결합 융복합 시대 : 인간과 기계(AI)의 공존'이라는 주제로 첫 번째 연
한국ESG평가원은 15일 '2023년 4분기 정례 상장대기업 ESG(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 평가'에서 SK와 삼성전자, KB금융지주가 최우수 S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다음 등급인 A+는 KT와 SK텔레콤, KT&G, 삼성SDS, 신한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삼성물산, 기아, LG전자 등 10개 사가 받았다. A 등급에는 포스코홀딩스, 현대모비스, 삼성생명,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네이버, LG에너지솔루션 등 29개 사가 이름을 올렸다. 한국ESG평가원은 2021년부터 지속가능 경영 보고서를 발표하는 160여 상장 대기업 중 상위 100개 사를 선정, 정례적으로 ESG 평가를 실시하고 자산운용사 등 기관 투자자와 이해 관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평가 등급은 S(~80점), A+(~75점), A(~70점), B+(~65점), B(~60점), C+(~55점), C(55점 미만) 등 7개로 구분된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 '2023년 10월 자동차 산업 동향' 발표 올해 1∼10월 자동차 수출액이 580억 달러에 육박해 지난해 전체 수출액을 이미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국산 전기차,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프리미엄 차량 등 고부가가치 차량의 수출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가 뚜렷해 K-자동차 산업의 체질이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5일 발표한 '2023년 10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자동차 누적 수출액은 579억60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33.9% 증가했다. 이는 연간 역대 최대를 기록했던 지난해 전체 수출액 540억7000만달러를 이미 넘긴 것이자 산업부가 올해 수출 목표로 설정한 570억 달러도 뛰어넘은 실적이다. 물량 기준으로 보면 1∼10월 자동차 수출은 총 2275만 대로, 작년 동기 대비 22.0% 증가했다. 다만, 이는 지난해 전체 수출량(2312만 대)에는 다소 못 미치는 물량이다. 이미 수출액이 작년 수준을 넘어섰는데, 수출 물량은 작년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은 그만큼 '비싼 차'를 많이 수출했다는 의미여서 한국 자동차 산업에는 고무적인 통계다. 실제로 자동차 1대당
포터블 SSD 진출 8년만에 용량 8배로...외장 HDD 대비 전송속도 3.8배 빨라 삼성전자가 포터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진출 8년 만에 용량을 8배로 늘린 신제품을 선보였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대 수준 8테라바이트(TB) 용량을 구현한 포터블 SSD 신제품 'T5 EVO'를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8TB는 포터블 SSD 업계 최대 용량으로, 1200만 화소(삼성 갤럭시 기준)인 3.5메가바이트(MB) 크기 사진 216만 장 또는 50기가바이트(GB) 크기 4K UHD 영화 160편 이상을 저장할 수 있는 수준이다. 비디오 촬영 기본 설정(1080p HD 30fps) 1분짜리 영상(130MB)은 5만8000개를 담을 수 있다. 삼성전자는 2015년 포터블 시장에 진입해 최대 용량 1TB의 'T1'을 출시했으며, 이번에 8년 만에 T5 EVO로 업계 최대 8TB 고용량 포터블 SSD를 시장에 선보이게 됐다. T5 EVO는 외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대비 데이터 전송 속도가 3.8배 빠르며, 초당 최대 460MB의 연속 읽기·쓰기 성능으로 사용자가 고화질 파일을 손쉽게 옮길 수 있도록 지원한다. 2TB와 4TB, 8TB 등 3가지 용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