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5는 엔비디아(NVIDIA) 블루필드(BlueField)-3 DPU(데이터처리장치)에 배포되는 F5 BIG-IP Next Cloud-Native Function(CNFs)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기능을 통해 양사 간의 기술 협력을 강화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솔루션은 F5의 네트워크 인프라 기능인 엣지 방화벽, DNS, DDoS 방어 등을 경량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능으로 제공한다. 엔비디아 블루필드-3 DPU로 가속화돼 쿠버네티스(Kubernetes) 환경에서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하고 새롭게 등장하는 엣지 AI 사용 사례를 지원한다. F5 애플리케이션 딜리버리 및 보안 플랫폼은 전 세계 대다수의 1등급(tier-1) 5G, 모바일 및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사용되고 있다. 모바일 서비스 제공업체는 분산된 환경에서 AI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는 흔히 AI 추론을 실용화하는 데 필요한 처리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엔비디아 DPU에서 실행되는 F5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기능은 엣지 및 원거리 엣지 인프라에 내장되어 컴퓨팅 리소스를 최적화하고 기가비트 당 전력 소비를 크게 줄이며, 전
씨이랩이 제조 기업 고객을 위한 ‘2025 AWS 파트너 클라우드 솔루션 컨퍼런스’에 참가해 제조업 대상 AI 자동화 및 클라우드 전환 사례 발표를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된 이번 컨퍼런스는 매년 1000명 이상의 제조 산업 관계자가 참석하는 대규모의 IT 행사다. AWS 파트너사들의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제조 산업 내 첨단 클라우드 기술과 구축 사례를 공유하며, 기업의 디지털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자리다. 이날 씨이랩은 Vision AI 솔루션을 활용한 AI 자동화 및 클라우드 전환 사례를 주제로 제조업 내 시스템 운영 효율성 증대 및 분석 정확도 향상을 위한 VLM(Vision Language Model) 모델 활용 방안을 소개했다. 특히 AWS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AI 분석 모델을 운영함으로써 품질 개선, 운영 최적화, 비용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Vision AI 모델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결합해 제조 현장의 자동화 수준을 향상시키고 스마트 팩토리 효율화 구축을 용이하게 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세션 발표와 함께 씨이랩은 부스 현장에서 신제품인 ‘XAIVA On-Device’를 공개했다. XAIV
잉카엔트웍스는 새로운 도약을 위해 사명과 제공 서비스인 앱실링, 팰리컨을 모두 ‘도브러너(DoveRunner)’로 변경하고 리브랜딩을 단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새로운 사명 도브러너는 자유와 평화를 상징하는 ‘Dove’, 민첩성과 진보를 의미하는 ‘Runner’가 결합된 단어로 혼란스러운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평온함을 가져오고 자유를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자 고객사 비즈니스의 속도에 맞춰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뜻을 담았다. 이번 리브랜딩은 북미를 비롯한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한 전략적 변화의 일환으로, 새로운 이름 아래 회사의 모바일 앱 보안 서비스 ‘앱실링(AppSealing)’과 콘텐츠 보안 솔루션 ‘팰리컨(PallyCon)’을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결정이다. 도브러너는 모바일 앱 보안과 디지털 영상 콘텐츠 보호를 위한 디지털 권리 관리(DRM), 영상 포렌식 워터마킹 등 다양한 보안 기능을 통합 제공한다. 국내외 대형포털, OTT 서비스, 게임사 등에서 해당 기술을 채택해 사용 중이다. 회사는 리브랜딩 후에도 기존과 동일하게 가볍고 강력한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며 업무 환경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디바이스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LG디스플레이는 업계 최초로 글로벌 인증기관 UL솔루션즈로부터 ‘아이세이프 3.0’ 인증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인증은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율이 DCI-P3 기준 90% 이상인 동시에 ‘일주기 리듬 보호 지수’와 ‘블루라이트 차단 지수’가 모두 35 이상을 만족할 때 부여된다. 검증 결과 LG디스플레이가 양산하는 모든 OLED TV 및 모니터 패널은 일주기 리듬 보호 지수 60, 블루라이트 차단 지수 40을 기록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니터, 휴대전화 등 전자기기에 부착하는 화면 보호필름과 유사한 수준이다. 토드 데니슨 UL 솔루션즈 글로벌 총괄 수석 부사장은 “시청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블루라이트가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우려하는 소비자들에게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기준으로 검증된 디스플레이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LG디스플레이의 OLED TV 및 모니터 패널은 글로벌 인증업체로부터 ‘플리커 프리’, ‘리플렉션 프리’ 등의 인증을 획득하며 사용자 친화적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은 “이번 검증은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기관의 검증을 통해 고객들이
MDS인텔리전스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차세대전파측정기술연구센터와 6G 시대를 대비한 통신·센싱 통합(Integrated Sensing and Communication, 이하 ’ISAC’) 핵심기술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6G 통신과 센싱 기술의 융합 연구를 더욱 강화하고 차세대 무선통신 분야에서의 기술 선점을 목표로 협력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ISAC 기술은 통신과 센싱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해 미래의 6G 네트워크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지능적인 통신 환경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예정이다. MDS인텔리전스와 GIST 차세대전파측정기술연구센터는 ISAC 기술 개발을 위한 알고리즘 및 시스템 최적화 연구, 시뮬레이션과 실증 실험 등을 포함한 공동 연구를 통해 관련 분야에서 기술 우위를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산업계 및 연구기관과 협력을 확대해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높일 예정이다. MDS인텔리전스는 디지털 트윈과 IoT 기술을 핵심 역량으로 갖춘 기업으로 6G와 5G 어드밴스드 환경에서 ISAC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으로 실제 환경을 가상 모델로
오케스트로가 ‘Early Access Tech Forum’을 개최하고 클라우드 기술 변화와 패러다임 전환을 주제로 전략을 공유했다. 이번 포럼은 오케스트로가 자체 조찬 세미나 브랜드로 기획한 첫 번째 행사다. 국내 제조, 전자, 항공, 정유, 자동차, 제철 등 산업 분야의 CIO 2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김범재 오케스트로 대표의 환영사로 시작됐다. 첫 번째 세션은 오픈인프라 재단이 진행했다. Jimmy McArthur 사업개발 총괄과 Allison Price 마케팅 및 커뮤니티 부사장이 ‘오케스트로 콘트라베이스, 다음 세대의 오픈스택 기술을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를 주제로 발표했다. 오케스트로 콘트라베이스와 글로벌 협력 전략, 탈VMware 기술 대안을 다뤘다. 오픈인프라 재단은 이번 포럼을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 오케스트로는 2024년부터 재단 이사회 플래티넘 멤버로 활동 중이다. 콘트라베이스 기술 기여와 글로벌 리더십이 강조됐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나연묵 오케스트로 CVO가 ‘클라우드 컴퓨팅 2025’를 주제로 발표했다. 클라우드 산업의 변화와 기술 혁신 방향을 제시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서영석 오케스트로 기술총괄 부사장이 ‘Welcome to
매스웍스가 인텔의 자회사인 알테라와 함께 알테라 FPGA(프로그래머블 반도체)의 무선 개발 가속화를 위해 협력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를 통해 무선 시스템 엔지니어들은 AI 기반 오토인코더를 사용해 채널 상태 정보(CSI) 데이터를 압축하고 프론트홀 트래픽과 대역폭 요구사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5G 및 6G 무선 통신 시스템을 다루는 엔지니어는 사용자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뢰성과 성능 표준을 유지하는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 피튼 알테라 버티컬 시장 담당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는 “매스웍스와 알테라의 협력을 통해 기업은 5G RAN(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5G 및 6G 무선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AI의 강력한 힘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발자들은 알테라의 FPGA AI 스위트(suite)와 매스웍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알고리즘 설계부터 하드웨어 구현에 이르는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하고, AI 기반 무선 시스템이 현대 애플리케이션의 엄격한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보장할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매스웍스는 알테라 FPGA에 특
카스퍼스키가 ‘보안사고 대응 분석 보고서 2024(Kaspersky Incident Response Analyst Report 2024)’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2023년 보안 사고 대응 과정에서 수집된 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협 동향을 분석한 연례 자료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보안 사고 중 35.2%가 한 달 이상 지속된 장기 공격으로 나타났다. 장기 지속형 공격의 평균 지속 기간은 중앙값 기준 253일에 달했다. 대응 과정에서 소요된 시간은 중앙값 기준 50시간으로 조사됐다. 카스퍼스키는 이러한 수치가 장기 침투형 공격의 복잡성과 탐지·대응의 어려움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공격의 주요 초기 침입 경로는 공개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한 익스플로잇, 신뢰된 관계를 활용한 접근, 유효 계정 악용 등이 포함됐다. 장기간 공격의 주요 영향은 데이터 암호화 및 유출로 확인됐다. 카스퍼스키는 이 같은 결과가 기업의 정보 자산과 핵심 인프라에 지속적인 위협을 초래한다고 설명했다. 이효은 카스퍼스키 한국지사장은 “대한민국은 디지털 혁신 선도 국가로서 이제 공격자의 체류 시간 증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지사장은 공격자들이 즉각적인 피해 유발보다 장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이 고효율·저전력 ARM 서버 ‘그린코어(GreenCore)’를 출시했다. 그린코어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IT 인프라를 지원하는 차세대 서버 솔루션이다. 기존 x86 서버부터 GPU 서버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ARM 아키텍처의 강점을 활용해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한다. 최근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와 운영 비용 절감이 수익성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전력 효율성과 코어 밀도를 극대화하는 ARM 서버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과 엑세스랩이 협력해 출시한 그린코어는 암페어(Ampere) 최신 컴퓨팅 칩을 비롯한 다양한 ARM 기반 칩을 활용해 국내에서 자체 개발된 유일한 국산 ARM 서버다. ARM 아키텍처에 대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체 서버 개발 인력과 다양한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는 엑세스랩과 함께 전문적인 기술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를 위한 차별화된 가치를 고객에 전달할 계획이다.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x86서버부터 GPU 서버까지 다양한 워크로드에 대응하기 위한 그린코어 3가지 제품
텔레픽스는 지난 3월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적으로 발생한 산불과 관련해 위성 데이터 분석 결과를 25일 공개했다. 텔레픽스 산하 데이터 분석 기관인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연구소(이하 지지연)’는 22일 오후 5시 15분경 천리안 해양관측위성(GOCI-II)을 통해 촬영된 한반도의 영상을 분석한 결과, 총 3개 지역에서 뿌연 연기가 피어오르는 장면을 포착했다. 같은 기간 산림청이 발표한 산불 발생 정보에 따르면 21~23일 사이에 국내에서 총 48건의 산불이 발생했으며 이 중 대응 단계가 3단계로 격상된 지역은 ▲경상남도 산청군 ▲경상북도 의성군 ▲울산광역시 울주군이다. 유럽우주국(ESA)의 센티넬2(Sentinel-2) 위성을 통해 산불 피해 규모도 확인됐다. 22일 오전 11시 15분 기준 산청군의 산불 피해 면적이 약 5.48㎢로 추산됐다. 24일 오후 6시 기준 의성군은 약 108.47㎢, 울주군은 약 4.56㎢ 규모의 피해를 입었다. 천리안 환경위성(GEMS)을 통해 자외선 에어로졸 지수(UVAI)를 분석한 결과 산불 발생 지역의 지수가 급격히 상승하며 붉은 색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기나 재 등 흡수성 에어로졸(대기 중 부유 입자)이 대량으로
클라우드플레어가 AI 애플리케이션의 보안과 활용을 전방위로 지원하는 통합 솔루션 ‘AI용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 for AI)’를 공개했다. 이번에 발표된 솔루션은 AI 모델의 배포·활용·오용 방지까지 포괄하는 종합 보안 툴로 구성됐으며, 조직의 보안팀이 ‘직원의 AI 툴 오용’, ‘유해한 프롬프트’, ‘개인정보 유출’, ‘신규 취약점’ 등 AI 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주요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클라우드플레어는 AI용 방화벽으로 조직 내 모든 AI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식별하고 보안정책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AI 게이트웨이를 활용해 직원들의 AI 사용 현황, 프롬프트 패턴 등을 분석하고 유해한 프롬프트를 차단해 기밀 정보 유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글로벌 GPU 인프라를 기반으로 구축된 워커스 AI(Workers AI)는 보안을 내장한 상태에서 전 세계 190개 도시에서 AI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배포할 수 있게 해준다. 이와 함께 애플리케이션 보안 기능을 통해 크롤링, 봇 공격 등 외부 위협으로부터 모델을 보호하고 트래픽 부하 분산과 최적화를 통해 안정성과 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매튜
앤시스(Ansys)가 엔비디아, 볼보자동차와 협력해 공기역학(Aerodynamics) 시뮬레이션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고 24일 밝혔다. 앤시스는 엔비디아 블랙웰(NVIDIA Blackwell) GPU 8개를 시뮬레이션 솔버에 활용하고 CPU 코어를 메싱에 적용한 결과, 전체 시뮬레이션 실행 시간을 기존 24시간에서 6.5시간으로 단축했다. 이번 성과는 반복적인 설계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배터리 전기차(BEV) 최적화 연구를 더욱 심도 있게 지원하고 개발 기간 단축과 시장 출시 속도 가속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또한 이번 협업은 자동차 산업을 비롯한 항공우주, 모터스포츠, 소비자 전자제품 등 정밀한 유체 흐름 시뮬레이션이 요구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볼보자동차는 전기차 배터리 성능 향상을 위해 고성능 컴퓨팅(HPC)과 전산유체역학(CFD)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의 주행거리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기역학적 항력을 최소화하는 작업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이를 최적화하기 위해 정밀한 시뮬레이션이 필수로 요구된다. 그러나 고정밀 전산유체역학(CFD) 시뮬레이션은 상당한 시간과 연산 자원을
뷰웍스가 24일부터 26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북미 병리학회 학술 전시 ‘USCAP Annual Meeting 2025’에 참가해 자사 슬라이드 스캐너 ‘VISQUE DPS(Digital Pathology System)’를 북미 시장에 처음 선보였다고 밝혔다. 슬라이드 스캐너는 조직병리, 액상세포, 면역병리 검사 분야에서 암 등의 질환 진단, 임상 연구실험 등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디지털 병리 진단의 핵심장비다. 이에 뷰웍스는 지난 2021년 시제품 모델 개발 착수, 2023년 국내 인허가 취득에 이어 추가로 기능성 등을 업그레이드한 ‘VISQUE DPS’를 올해 초 내놓으며 본격 상용화에 들어갔다. 해당 제품은 뷰웍스 바이오 영상 솔루션 브랜드 ‘VISQUE’ 시리즈에 본격 편입되며 주력 사업의 완성도를 한층 더 높였다. VISQUE DPS는 유리로 구성된 조직 슬라이드를 고해상도 WSI(Whole Slide Image, 전체 슬라이드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초고속 디지털 병리진단 스캐너다. 현미경을 활용한 아날로그 방식의 진단법에서 벗어나 디지털 방식으로 환자의 조직 슬라이드를 반영구 보
애브포인트가 구글 클라우드 및 구글 워크스페이스 환경을 위한 데이터 보안 솔루션을 출시했다. 이번 확장으로 자사의 SaaS 기반 플랫폼 ‘애브포인트 컨피던스 플랫폼(AvePoint Confidence Platform)’의 멀티 클라우드 보호 기능을 강화하고 협업 환경 전반의 데이터 보안과 관리 역량을 한층 높였다. 애브포인트는 이번 솔루션에 ‘데이터 보호’, ‘위험 인텔리전스’, ‘정보 수명 주기 관리’,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등 4가지 핵심 기능을 통합해 기업의 사이버 복원력과 민감 정보 보호 능력을 향상시킨다. 특히, 멀티 클라우드를 도입하고도 보안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을 겨냥해 안정적인 백업, 지능형 위협 식별, 자동화된 거버넌스, 마이크로소프트 365에서 구글 워크스페이스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원활하게 지원하는 기능이 포함됐다. 기업은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유지하면서도 데이터 유실 위험을 줄이고 데이터 주권과 규정 준수를 준수하는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애브포인트는 글로벌 클라우드 환경에 대응하는 보안 리더십을 확대하고 다양한 규모의 조직이 데이터 보호와 업무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애브포인트 관계자는 “구글
노조미 네트웍스가 Fast Company가 발표한 ‘2025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Most Innovative Companies)’ 목록에서 보안 부문 3위를 차지했다. Fast Company는 전 세계 기업 중 혁신을 통해 산업과 문화를 형성한 50대 기업과 함께 부문별 609개 조직을 선정했다. 노조미는 산업 제어 시스템 보안을 위한 기술 혁신성과 중요 인프라 보안 대응 역량을 인정받아 이번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노조미는 2024년, 미쓰비시 전기의 PLC에 내장 가능한 산업용 제어 시스템 보안 센서 ‘Arc-Embedded’를 선보였다. 이 센서는 자동화 설비의 내부 명령 흐름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위협을 차단하고 장비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높은 수준의 가시성을 제공한다. 또한, 노조미는 미 공군 혁신 부서(AFWERX)와 125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고 무선 위협 탐지용 센서 ‘Guardian Air’를 개발 중이다. 여기에 더해 미쓰비시 전기와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참여한 시리즈 E 펀딩 라운드를 통해 1억 달러를 추가 유치하며 총 누적 투자금 2억 5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노조미는 Mandiant와의 보안 플랫폼 통합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