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테크가 레이저 라벨 프린터 제품군을 들고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했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전시장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주요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로봇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하는 신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투테크는 세계 최초로 지워지지 않는 레이저 라벨 프린터를 개발한 인쇄 기술 업체다. 기존 열전사 프린터 표면 인쇄 방식의 단점을 극복한 레이저 라벨 프린터로 여러 산업을 공략하고 있다. 투테크 레이저 라벨 프린터는 레이저 기반 라벨 중간층 인쇄 기법을
누비콤이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다양한 계측 솔루션을 소개했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전시장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주요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로봇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하는 신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누비콤은 미국 측정·테스트 솔루션 업체 ‘내쇼날인스트루먼트(NI)’의 총판 대리점으로, 각종 전기·전자 계측기기를 전 세계 50여 개국에 유통하고 있다. 여기에 전 세계 전자 계측 장비를 약 8,000여 대 운용하는 중이다. 해당 장비는 교육·컴퓨팅·통신·
엠아이큐브솔루션, AI 솔루션 기반 자율제조 달성 방법론 공유해 AI 통한 품질 최적화, 예지 보전, 이상 탐지 혁신법 강조 “제조 공정 전주기서 AI 기반 자율제조로 트렌드 변하고 있어”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Software Defined Everything 이하 SDx)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조명받고 있다. SDx는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모든 시스템 요소가 제어·운영·작동되는 개념이다. 스마트폰으로 예를 들면, 기기 교체 없이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만으로 새로운 기능을 지속 창출하는 것과 유사한 시스템이다. 제조업에서는 큰 범주로 ‘소프트웨어 정의 제조(Software Defined Manufacturing)’가 떠오르고 있다. 이 안에는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DF)’·‘소프트웨어 정의 공급망(SDS)’·‘소프트웨어 정의 자동화(SDA)’ 등 세부 SDx 요소가 포함된다. 이 중 SDF는 소프트웨어가 공장 내 모든 인프라를 관장하는 기술이다.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클라우드·빅데이터·디지털 트윈 등 차세대 기술 활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자동화 요소 강화, 비용 절감, 효율성 향상, 수율·생산성 최적화, 인프라 유연
헵코모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벡호프의 XTS 시스템과 호환되는 GFX 가이드 시스템을 제공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헵코모션이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GFX(Guidance System for Beckhoff XTS)는 이송 중 발생하는 가속 및 감속 시의 힘을 흡수하여 시스템 수명을 연장하고, 정확한 위치 정밀도를 제공한다. 또한 XTS와 GFX의 결합으로 다양한 모션 프로파일과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의 유연성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고 밝혔다. 한편, 헵코모션은 V 가이드 기술 기반으로 생산성 높이고 다운타임 줄이는 솔루션 만들어서 전 세계 63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PRT2, HDRT 등 곡선 운동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솔루션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전자·자동차 같은 산업에서 주로 쓰여 벡호프(Beckhoff
한국쯔바키모토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고강도와 내구성을 갖춘 체인 시리즈를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한국쯔바키모토가 이번 AW 2025에서 공개한 체인 시리즈는 고강도와 내구성을 갖춘 체인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동력 전달용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제공되어 특정 용도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고속반송이 가능한 프리플로우체인 역시 자리하고 있다. 한편, 한국쯔바키모토는 산업용 체인 및 동력 전달 제품 분야에 힘쓰고 있으며 드라이브 체인, 소형 컨베이어 체인은 물론, 대량의 물류 이송에 적합한 대형 컨베이어 체인부터 시작해 속도 조절과 토크 변환이 가능한 감속기, 변속기는 물론 동력의 전달과 차단을 제어하는 클러치 기능까지 주요 제품군으로 다루고 있다. 이번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
하이덴하인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로봇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KCI 120 Dplus 듀얼 엔코더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하이덴하인코리아가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KCI 120 Dplus 듀얼 엔코더는 하나의 엔코더로 모터 축과 기어박스 출력 축의 위치를 동시에 측정하여, 로봇의 설계상 발생할 수 있는 비정밀성을 보정한다. 낮은 프로파일(약 20mm)로 설계되어, 공간이 제한된 로봇 관절에도 쉽게 통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하이덴하인코리아는 국내 공작기계 산업에 CNC 컨트롤러 및 공작기계용 엔코더 제품의 공급과 기술 지원을 하고 있다. 기계적 간섭 없이 선형 축의 위치를 측정하여, 기계에서 탁월한 위치결정 정밀도와 가공 속도를 구현할 수 있는 리니어 엔코더부터, 밀폐식, 모듈형 및 고도로 통합된 내장
오르고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물류 로봇의 성능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오르고 리프트 DC 제어기를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오르고가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오르고 리프트 DC 제어기는 DC 모터 기반의 리프트 시스템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물류 로봇의 안정적인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BLDC 모터를 탑재한 오르고 리프트는 최대 300kg의 추진력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다양한 물류 로봇의 요구 사항에 맞게 리프트와 제어기를 구성할 수 있어 시스템 통합이 용이하다. 한편, 오르고는 물류 로봇 부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중심형 기업으로, 물류 로봇의 핵심 부품인 리프트를 설계 및 제작하고 있다. 특히 자동화된 물류 시스템에서의 적재 및 하역 작업에 활용되어, 작업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생산 라인에서의 부품 이동 및
시스템베이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중·장거리에서 저전력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솔루션 Lory 시리즈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시스템베이스가 이번 AW 2025에서 전시한 Lory 시리즈는 중·장거리에서 저전력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솔루션으로, 특히, 통신 음영 지역이나 재난 상황 등 기존 통신망이 불안정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함께 공장 자동화 및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용으로 활용 가능하다. 한편, 시스템베이스는 리얼 통신의 핵심 부품인 반도체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으며, 리얼 통신의 핵심 부품인 반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RS232, RS422, RS485 등 다양한 시리얼 통신 규격 간의 변환기는 물론 시리얼 장비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을
세우산전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기계적 변환 장치 없이도 직선 운동을 생성하는 리니어 모터 라인업을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세우산전이 이번 AW 2025에서 공개한 리니어 모터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존의 모터와 달리, 직접적으로 직선 운동을 생성하는 모터로, 양측식과 편측식 등 50여종의 다양한 모델을 생성하고 있으며, 반도체 장비 등 Factory Automation(FA) 장비의 정밀 제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세우산전은 BLDC 모터 및 드라이버, 리니어모터와 광학식 엔코더를 조합하여 위치와 정밀도를 제어하는 리니어 로봇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산업용 초고속 고정밀 모터 리니어 모터를 통해 소형 정밀 BLCD/DC MOTOR 연구 개발과 생산을 진행한다. 이번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
삼정오토메이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산업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으로 설계된 앱솔루트 로터리 엔코더 라인업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삼정오토메이션이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앱솔루트 로터리 엔코더 라인업은 수술로봇 등 초정밀/고성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며, 산업 자동화 및 모션 제어용으로 설계된 위치 센서로도 활용된다. 특히 열악한 환경을을 위해 설계되어 광범위한 항공우주 및 방위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고 알려졌다. 한편, 삼정오토메이션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필요한 정밀 부품을 공급하고, 국산화 개발을 통해 국내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구동부 및 모션제어에 대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AW 2025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비케이인스투르먼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신속한 스펙트럼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초분광 이미징 시스템을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비케이인스투르먼트가 이번 AW 2025에서 공개한 초문광 이미징 시스템은 제품의 품질 검사, 폐기물 감소, 안전성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신속한 스펙트럼 데이터의 분석으로 제품의 유사 색상, 결함, 이물을 식별하고 분류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비케이인스투르먼트는 초분광 이미징 시스템을 비롯해 분광학 장비를 제공하고, 초분광 카메라를 활용한 품질검사 솔루션을 선보이며 다양한 샘플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앤드 투 엔드(End-to-End) 솔루션으로 고객이 연구와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학술 및 산업 분야 전반에서 정확하고 반복 가능한 측정을 보장한다. 이
MICRO-EPSILON(이하 마이크로엡실론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레이저 라인 스캐닝 기술을 활용한 2D/3D 레이저 스캐너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마이크로엡실론코리아가 이번 AW 2025에서 선보인 레이저 스캐너 솔루션은 고해상도 2D/3D 프로파일 측정이 가능하며, 여러 개의 스캔 데이터를 결합하여 넓은 영역의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는 스티칭 기능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대형 부품이나 연속적인 생산 라인의 품질 검사가 가능해진다. 최대 4,000Hz의 스캔 속도로 빠른 생산 라인에서도 실시간 품질 검사 역시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마이크로엡실론코리아는 레이저, 유도성, 정전용량성, 초음파 및 와이트 라이트 간섭계 기술을 활용한 고정밀 센서를 개발하며 뿐만 아니라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 센서와 열화
WEBER(이하 웨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작업 속도를 향상시키는 자동 핸드 스크루 드라이버를 제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웨버가 이번 AW 2025에서 제시한 자동 핸드 스크루 드라이버는 인체공학적 설계와 자동화된 나사 공급 기능을 통해 작업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여주는 도구로, 자동 나사 공급이 가능하여 수동으로 나사를 집어넣는 번거로움을 줄여준다. 웨버의 고정형 스크루드라이빙 시스템 또한 정확한 토크 및 깊이 제어를 통해 일관된 품질의 체결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웨버는 자동 핸드 스크루 드라이버 및 고정형 스크루드라이빙 시스템 개발, 생산에서 70년간 기준을 설정해 왔으며, 자동화된 삽입 및 프레스 시스템으로, 스테이션형 또는 핸드헬드 시스템을 제공하며, 자동 공급 및 지능형 제어를 통해 높은 프로세스력을 제공한다. 뿐만 아
Weda(이하 웨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비전문가도 머신러닝 활용이 가능한 분석 플랫폼 GreenWhales를 제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웨다가 이번 AW 2025에서 제시한 GreenWhales는 머신러닝 분석 환경을 제공하고 실시간 모델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테이너 기반의 분석 플랫폼으로, 자유롭고 독립적인 운영 환경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GUI 워크플로우로 쉽고 빠르게 서비스를 배포할 수 있다. 또한 부족한 데이터는 증식하여 인공지능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웨다는 AI 기반의 딥러닝 비전 검사 솔루션으로, 제조 현장에서 생산되는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품의 불량을 검증하고, 제품 수치를 자동으로 측정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컨테이너 기반의 분석 환경 및 API 배포 서비스 솔루션을 통해 인터
이달 12일 열린 AW 2025 부대행사 ‘한·중·베 로봇융합기술 컨퍼런스 2025’ 개막 한국·중국·베트남 로보틱스 혁신 관점 담아 “제조·물류·서비스 등 주요 분야 자율화 핵심은 로보틱스” 여러 빅테크 기업이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에 시선을 돌린 가운데, 이 로봇을 구현할 다양한 연계 기술이 지속 조명되고 있다. 이 차세대 로봇은 인간의 생각과 움직임을 그대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로봇 최종 진화형’으로 기대받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로봇의 인지를 담당하는 인공지능(AI)부터 구동부에 필요한 하드웨어 부분까지 수많은 기술을 아우르는 기술 총체로 인식된다. 그만큼 글로벌 로보틱스 업계가 하나의 관점에서 융화돼야 함을 시사한다. 이달 12일 ‘한·중·베 로봇융합기술 컨퍼런스 2025’가 열렸다. 해당 콘퍼런스는 올해 35회 개막을 맞은 산업 자동화 축제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 부대행사로 진행됐다. 한국·중국·베트남 3개국의 로봇 전문가가 연사로 나서 로보틱스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했다. 이 자리에는 한국로봇산업협회·Bejagu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