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반려동물의 엑스레이(X-ray) 사진을 분석해 수의사의 진단을 돕는 ‘AI 기반 수의(동물)영상진단 보조서비스’가 국내 최초로 상용화됐다. SK텔레콤은 25일 열린 서울수의임상컨퍼런스(서울시수의사회 주관)에서 AI 기반 수의영상진단 보조서비스 ‘엑스칼리버(X Caliber)’를 공개하고, 서비스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엑스칼리버’는 병원에서 촬영한 반려견의 근골격(근골격계 질환 7종) 및 흉부(흉부 질환 10종) 등 엑스레이 사진을 클라우드에 올리면, AI가 약 30초 내(인터넷속도 100Mbps 기준) 비정상 소견 여부와 위치정보 등 분석결과를 수의사에게 제공하는 웹기반 서비스다. 전국에는 약 4,000개의 동물병원이 있지만 영상진단을 전공한 전문 수의사가 수백 명에 불과한 수준으로, AI 기반 영상 진단보조서비스의 보급으로 빠른 영상 판독과 진단이 기대된다. 이와 함께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1500만 명에 달하는 시대를 맞아, SKT가 보유한 AI 기술을 활용해서 반려동물의 의료 복지를 증진시키는 사회적 가치도 담고 있다. ◇ AI 분석 결과 30초 내 받아봐…월 30만원 구독형서비스로 이용 SKT가 공개한 ‘엑스칼리버’는 수의사가 반려견의 엑
“전북TP는 전국 최초로 중소기업 성장사다리 구축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기업체 매출 규모, 종업원 수 등을 고려하여 5단계로 구분하고, 맞춤형 기업지원 사업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의 성장을 단계적으로 이끌고 있다.” 전북테크노파크(TP) 스마트제조혁신단의 유기현 단장은 기업이 점프업 성장할 수 있도록 단계별 맞춤지원하여 제조혁신 모범 선례를 만들겠다고 말한다. 이와는 별도로 전북은 2015년도부터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해왔으며, 2021년 말 기준 762개의 스마트공장이 구축됐고, 이중 325개가 테크노파크 지원사업에 의해 구축되었다. 올해는 72개사(기초 49, 고도화 23)를 선정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한다. 전북지역 제조혁신 사업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테크노파크의 정책과 세부 계획을 유기현 단장에게 들어봤다. Q. 현재 전북지역 제조업의 경쟁력을 평가하신다면. A. 전북지역 내 제조업 총생산량은 전국 대비 2.7% 정도이며, 전국 17개 시도 중 12위로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제조업 비중 또한 전북 내 15만4천여 개 기업 중 약 5.2%인 7,956개로 약 11만 명이 종사하고 있다. 종업원 300명 이상 업체는 33개로 전체의 약 0.4%이며,
“한국 시장 2~3년 안에 제품의 브랜드 구축을 강화하고 서비스 세계화에 힘을 보태겠다.” 베이치 일렉트릭(VEICHI ELECTRIC)은 지난 3월, 더 나은 비즈니스와 기술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대한민국 서울에 베이치 지사를 설립, 한국 시장 진출의 의지를 알렸다. 베이치 일렉트릭 골든 자오 매니저는 이제 막 한국 시장에 진입한 만큼 채널 에이전트와 협력을 강화하고 제품을 시장에 더 잘 추천할 수 있도록 교육을 병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한다. 17년 전 설립된 이후, 베이치 일렉트릭은 적극적으로 판매 채널을 확장했으며 서비스는 전 세계 100여 개 국가와 지역에 걸쳐 있다. 현재 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터키, 이집트, 모로코, 유럽 등 주요 시장에 완전자본 자회사와 사무소를 두하고 있다. 글로벌 선도 산업 자동화 및 시스템 솔루션 공급업체를 지향하는 베이치 일렉트릭의 골든 자오 매니저를 만나 사업 전략을 들어봤다. Q. 베이치 일렉트릭은 올해 17년째로, 매년 성장을 거듭해왔다. 그만큼 기술력 또한 남다를 것 같다. 기업 경쟁력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한다면. A. 베이치 일렉트릭(웨이창전기)은 설립 이래 줄곧 전기 전동과 산업 제어 분야에
“더욱 진화된 이더넷 기반 모션제어기 개발로 국내 자동화 시장 구심적 역할 하겠다.” 파익스 김영호 대표는 지난 18년간 이더넷 통신 제어 기술력을 기반으로 범용 다축 모션 컨트롤러 제조에 힘써왔다며 앞으로 더욱 진화된 신제품 개발 및 공급으로 모션제어 시장의 장악력을 높이겠다고 말한다. 현재 이 회사의 주력 제품인 RTEX 통신타입 MASTER와 I/O 모듈 제품이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신제품인 EtherCAT I/O 모듈 NMF-EC 시리즈도 반응이 좋은 상황이다. 공격적인 마케팅을 준비하고 있는 김영호 대표를 만나 모션제어 시장의 최근 이슈와 영업 전략을 들어봤다. Q. 파익스는 18년 업력의 기술력과 함께 꾸준한 성장을 거듭해왔다. 어떤 차별화 전략이 주효했다고 보나. A. 자동화 시장에서 파익스가 꾸준히 성장을 거듭할 수 있었던 것은 남다른 콘셉트의 제품 개발을 위해 노력해 왔기 때문이라고 본다. 모션컨트롤러의 경우 단순히 제어용 모터만을 동작시키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자동화 장비의 성장 변화, 즉 더 정밀하고 빠르며 비전과의 연계 및 고도화되는 변화에 맞추다 보니 우리 기술도 성장해 왔다. 특히, 타사 제품과의 차별화를 위해 기존 국내
시리얼통신 전문기업 시스템베이스가 아이솔레이션 기능이 탑재된 USB 컨버터 ‘Multi-1/USB all-ISO’ 컨버터를 출시했다 Multi-1/USB all-ISO는 USB 버스를 통해 시리얼통신 포트를 시스템에 손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게 해주는 시리얼통신 어댑터이다. USB Full-Speed와 시리얼통신 속도 921.6Kbps 지원, ±30KV 서지 프로텍터와 ±3KV 아이솔레이션 기능이 장착되어 뛰어난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시리얼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LED는 디버깅 용도 외에 미려한 디자인과도 잘 어울린다. Multi-1/USB all-ISO는 RS232/RS422/RS485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두 지원하는 all 모델로 제작되어 뒷면에 부착된 스위치를 통해 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로의 설정이 용이하며, 다양한 통신 선로 상황에 맞게 터미널 저항 및 슬루 레이트 설정도 가능해 연구개발, 사무 자동화, 공장 자동화 등 다양한 부문에서 보다 널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Locking USB 케이블 탑재 시스템베이스 기존 USB 시리얼 제품들과 같이, 이 제품에도 Locking USB 케이블이 탑재되었다. 커넥터 부분의 잠금장치로 외
산업 자동화 전문기업 오토닉스가 10월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 제 1전시장에서 개최되는 ‘한국산업대전 2022(DTon 2022)’에 참가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오토닉스는 SCADA, IO-Link 통신 제품군, LiDAR, 머신비전, 세이프티 제품군, 변위센서 등을 주력제품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오토닉스의 SCADA인 △SCADAMaster로는 원거리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한 곳으로 모아 집중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원격 감시 제어 프로그램으로, SVG 형태의 수천 개 라이브러리 무료 제공, 다수의 DBMS 지원, 네트워크 이중화 지원, Alias 기능 지원, OPC UA Server/Client 통신 프로토콜 무상 지원 등으로 출시 전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제품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스마트 팩토리, 빌딩 자동화 시스템, 수처리 공정 관리, 전기 차량 충전 등의 SCADAMaster 현장 작화는 물론, 그 외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IO-Link 통신 제품군으로는 통신을 통해 센서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위기기에 전달하는 중계박스형 리모트 I/O(ADIO, 상위 프로토콜 : EtherCAT, EtherNet/IP,
경기도·서울대학교 공동출연법인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이하 융기원)은 ‘K-골든코스트 시흥 메타버스 플랫폼’을 9월 23일부터 개최되는 제17회 시흥갯골축제 기간 선보이고, 실증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K-골든코스트는 레저, 관광, 문화, 의료 등 첨단 산업이 집약된 시흥시의 미래 먹거리 거점을 연결한 15㎞의 해안선 월곶, 배곧, 오이도, 거북섬을 잇는 광역 경제·관광 벨트다. 융기원은 시흥시, 하트버스와 함께 K-골든코스트를 가상으로 즐길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시흥갯골생태공원’의 메타버스를 먼저 공개하고 오이도, 연꽃 테마파크 등도 추가로 개발해 시민에게 차례로 개방할 예정이다. 시흥갯골생태공원 메타버스는 확장형 3D 웹 기술을 활용해 별도의 설치 없이 PC로 즐길 수 있으며 아바타 꾸미기, 음성 채팅, 비대면 문화 해설, 보물찾기, 스탬프 투어, 동식물 관찰, 전동 킥보드 탑승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시흥갯골축제 기간 현장 체험 부스를 통해 메타버스 도장 깨기, 소셜 미디어 인증 사진 남기기 이벤트가 함께 진행된다. 융기원 김관철 연구 책임자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관광·문화 콘텐츠를 개발하기
요꼬가와는 AU Olkaria 제1 발전소 추가 유닛, 제2, 제4 및 제5 발전소에 통합 원격 성능 관리를 수행하는 모바일 통신 및 기타 기술을 활용하여 케냐 전력 발전 회사(이하 ‘KenGen’)용 IoT 시스템 설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경제 산업성이 UNIDO에 제공한 자금을 활용하여 2020년 1월에 최종 확정된 UN 산업 개발 기구(UNIDO)와의 협정에 따라 수행됐다. 케냐는 인구 증가와 경제 발전이 이어지면서 2021년 전력 소비량이 2000년 대비 3배 증가하여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화력 발전소는 상당 부분 수입 연료유에 의존하고 있으며, 수력발전, 태양광발전과 같은 재생에너지원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케냐 공화국은 세계 최대의 지열 자원 중 하나이므로 케냐 정부는 매우 안정적인 전력 공급원일 뿐만 아니라 낮은 CO2 배출이라는 이점도 있는 지열 발전 사용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케냐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 용량을 늘렸으며, 2021년 현재 지열 에너지는 케냐의 발전 용량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케냐 최대 에너지원이다. KenGen은 아프리카 최대 규모의 Olkaria 지열 단지
스마트 팩토리 설비예지보전 솔루션 전문기업 퓨처메인이 9월 20일과 21일 양일간 뉴욕 Pier17에서 개최된 ‘한-미 스타트업 서밋’에 참가, AR 기술 적용된 설비관리 솔루션을 선보였다. ‘한-미 스타트업 서밋’은 중기부의 ‘K-스타트업 글로벌 진출 전략’을 일환으로 한국 스타트업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과 미국 투자 유치를 위해 마련된 행사로 스타트업 생태계와 IT기술이 발달한 뉴욕(실리콘 앨리)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에는 구글, 현대자동차, 네이버클라우드 3개 대기업과 15개 스타트업이 공동 전시관을 구성하여 스타트업의 우수한 기술력과 아이템을 선보였다. 퓨처메인은 이번 서밋에서 네이버클라우드 공동관으로 참여하여 스마트 팩토리 설비 관리 솔루션인 ExRBM과 증강현실(AR)기술이 적용된 설비 유지보수 및 안전관리 플랫폼인 ExrBM AR+를 직접 시연해 미국 현지 투자자와 테크 유튜버 등 미디어의 이목을 끌었다. 퓨처메인이 이날 시연한 ExRBM AR+는 증강현실(AR) 기술을 적용한 플랫폼으로 현장에서 설비에 대한 정보와 설비의 상태, 센서 부착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제 설비와 똑 같은 3D 실감 설비를 확인하면서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
카카오클라우드 스쿨의 교육운영기관인 한국전파진흥협회(RAPA)는 10월 10일까지 디지털선도기업 아카데미 ‘카카오클라우드 스쿨’ 2기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카카오클라우스 스쿨 1기의 경우 6월 개소식을 시작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12월 수료식 및 카카오클라우드 스쿨 1기 클래스메이트 대상 카카오 채용설명회를 앞두고 있다. 10월 31일부터 6개월간의 교육 과정에 참여하게 될 2기 클래스메이트는 ‘카카오클라우드 개발자 양성과정’, ‘카카오클라우드 엔지니어 양성과정’ 2과정, 총 50명 규모로 9월 8일부터 10월 10일까지 모집한다. 서류전형과 사전평가 및 인성검사, 카카오의 실무진이 참여하는 면접을 거쳐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만 34세 이하 미취업자라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이번 교육과정은 카카오가 주도적으로 6개월간의 집중교육을 통해 카카오클라우드 개발자와 엔지니어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이며, 카카오클라우드 사내망을 활용한 특화실습 및 기업 실무중심의 프로젝트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특히, 이번 교육 과정은 카카오에서 현재 클라우드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10여 명이 강의 진행 및 멘토로 교육에 직접 참여하며, 실제 카
서울 봉천동 한 아파트 재개발 현장에서 진행된 발파 작업으로 인근 아파트가 흔들리고 날라온 파편에 유리창이 파손되어 주민들이 불안에 떨었다. 관계 기관과 주민들에 따르면, 지난 15일 오후 1시께, 현대건설이 서울 관악구 봉천동 4-1-2 재개발 공사 현장에서 발파 작업 중 발생한 파편이 인근 아파트 베란다로 날아들어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는 것. 사고 원인에 대해 현대건설 관계자는 “공사 현장에 있는 암석을 폭발하기 위해 화약을 쓰다가 파편이 날아간 것으로 보인다”며 “다행히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재산 피해 부분은 피해 주민과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건설은 이날 공사를 위해 폭약을 사용했는데 파편 등이 인근 아파트로 튈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암석의 특성을 고려해 파편을 막을 안전 펜스를 주변에 설치해야 하는데 이를 무시했다. 이 폭파 사고로 인근 5000여 세대 아파트 단지에 진동과 소음 피해가 생겼고 유리 파손 등 재산상 피해도 발생했다. 특히 건설 현장 바로 뒤에 위치한 200세대 규모 아파트에서는 날라온 파편 등으로 유리창이나 텔레비전 등 가전제품이 파손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한편, 해당 건설 현장은 심
창립 25주년을 맞은 어드밴텍 한국지사가 지난 15일, 황중조 주한대만대표부 참사관을 비롯한 총 50분의 주요 파트너사분들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서비스센터 준공 기념식을 거행했다. 인천서비스센터는 국내 재고 보유율을 확대해 주문 제품의 납기를 혁신적으로 단축함과 동시에 품질 관련 다양한 안전 보장 환경을 구축으로, 고객의 요구에 맞춘 더 완벽한 제품 생산을 제공하게 된다. 어드밴텍케이알 관계자는 “인천서비스센터는 어드밴텍케이알 본사가 자리하고 있는 서울 마곡지구와의 접근성이 좋고, 인천국제공항, 인천항과 매우 가까운 거리이기 때문에 부평 국가산업단지 내에 장소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인천서비스센터는 기존 물류 창고 대비 5배 정도의 크기로 대량의 적재 공간과 20여 개의 개별적인 생 라인을 통해 고객의 요구사항에 따른 맞춤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주문형 서비스 조립 라인도 갖추고 있다. 또한, 고객 서비스 센터 운영으로 고객 맞춤형 바이오스 및 신속 정확한 RMA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어드밴텍 한국지사 정준교 대표이사는 “인천서비스센터를 준공함으로써 한국 내 영업 관련 서비스를 담당함과 동시에 국내에서 발생하는 워런티 인/아웃 통합 수리를 담당함으로써 신속
협동로봇 전문기업 뉴로메카는 가트너의 신흥기술(Emerging Technologies: Tech Innovators in Smart Robotics) 보고서에서 ‘스마트 로봇공학 기술혁신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가트너 ‘신흥기술’ 보고서에 따르면 뉴로메카는 소규모 기업 환경에 특화된 경제적인 스마트 로봇 전문 제조사로 평가받았다. 뉴로메카의 협동로봇 ‘인디7(Indy7)’과 최근 이슈가 함께 소개되었다. 해당 보고서에는 미국의 푸트테크 기업 Dexai, 로봇 자동화 기업 Levatas, 독일의 로봇 외골격 수트 제조사 German Bionic 그리고 대한민국의 로봇 제조사 뉴로메카 총 4개의 기업이 포함됐다. 이번 가트너 연구의 주요 목표는 스마트 로봇공학에서 가장 혁신적인 공급업체를 식별하는 것이다. 2021년 8월부터 6개월 동안 심층 인터뷰 및 데이터 수집을 수행하는 6명의 분석가 팀이 참여했다. 이 프로젝트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50개의 주요 로봇 공급업체가 참여했고 185개의 고객 사례 연구를 분석했다. 뉴로메카는 종합 로봇 제조사로 협동로봇, 산업용 로봇, 자율이동로봇, 델타로봇을 제조하고 자동화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 제품으로
블록체인 P2E 플랫폼 제미터는 블록체인 전문기업 네오핀과 디파이(De-FI) 서비스 및 토큰 생태계 확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제미터는 최근 NFT 마켓 플레이스 출시, ‘드래곤라자 오리진 On ZEMIT’ 온보딩 등 생태계 조성을 위한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어비스 On ZEMIT’의 퍼블리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네오위즈 계열 블록체인 전문기업 네오핀은 KYC(Know-Your-Customer) 인증 시스템과 자금세탁방지 정책 등 엄격한 보안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신뢰’와 ‘안정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스테이킹, 일드파밍, 스왑 등 다양한 디파이 서비스를 중심으로 P2E(Play to Earn), S2E(Service to Earn), NFT 등으로 생태계를 연결 및 확장해 나가고 있다. 제미터와 네오핀의 이번 업무협약으로 네오핀 스왑 서비스를 통해 제미터의 기축통화인 ZEMIT을 다양한 블록체인 토큰과 스왑할 수 있으며, 스왑풀에 유동성을 공급할 시 예치 비율에 따라 NPT(네오핀 토큰)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 손려 제미터 최고운영책임자는 “디파이(De-FI) 서비스를 기반으로 P2E, NFT 등
인공지능 검사 설비 전문기업 트윔(대표 정한섭·정해주)이 에너지 시장 진출을 위해 북미 조지아주 법인을 설립하고, 자동차 산업과 에너지 산업을 타겟으로 한 인공지능 검사 설비 중심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북미 조지아주 법인은 미국 법인으로는 2번째 설립이며, 베트남과 인도 해외 법인에 이은 4번째 해외 법인이다. 북미의 조지아주는 배터리 기업은 물론 세계적 자동차 업체까지 전기차 공급망 구축으로 부상하고 있는 지역으로 국내 다수의 대기업은 물론 관련 기업들이 활발하게 투자를 하고 있다. 앞서 설립된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법인은 인공지능 시장 조사와 연구를 목적으로 2016년도에 설립된 반면, 이번에 설립한 조지아주의 법인은 에너지와 자동차 시장의 사업 확대 목적으로 차이가 있다. 트윔은 해외 법인을 각 목적에 맞게 운영 중이다. 베트남은 디스플레이 시장에, 인도 법인은 디스플레이 및 인공지능 검사에 특화해 운영 중에 있다. 트윔의 정한섭 대표는 “조지아주 투자가 한국기업의 새로운 기술력과 상품의 우수성을 시험하는 잣대가 될 것"이며 "트윔은 이를 발판으로 조지아주에 있는 글로벌 고객을 발굴하는 계기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