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리빅스가 제1회 산업AI 엑스포에서 공개한 ‘산업안전 Gen AMS(Generative AI Monitoring System)’가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번 전시는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마곡 코엑스에서 열렸으며, AI 기반 산업 안전 관리 솔루션의 실제 적용 가능성과 효과를 보여주는 자리로 큰 관심을 끌었다. ‘산업안전 Gen AMS’는 공장, 건설, 물류, 석유화학, 발전소 등 고위험 산업 현장에서 근로자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시스템이다. 단순 감지에 그치지 않고 사고 발생 시 알람을 전송하고, 상황 보고서를 자동 생성해 관리자가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인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이번 전시 부스에는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을 비롯해 삼성전자, 삼성중공업, LG유플러스, S-OIL, HD현대중공업 등 주요 기업 관계자가 방문해 AI 시연을 직접 확인했다. 관계자들은 시스템의 실시간 탐지 성능과 보고 기능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실제 산업 현장 도입 방안에 대해 적극적인 논의를 이어갔다. 인텔리빅스가 선보인 솔루션은 중장비 협착, 화재, 가스와 기
노르딕 세미컨덕터(이하 노르딕)가 자사의 최신 무선 SoC에서 삼성의 스마트싱스 파인드(SmartThings Find) SDK를 공식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통합은 차세대 nRF54L15와 nRF54L10을 비롯해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nRF52840, nRF52833 SoC까지 포함된다. 이에 따라 개발자들은 노르딕의 초저전력 무선 기술과 삼성의 글로벌 스마트싱스 생태계를 결합해 차세대 위치 추적 솔루션을 보다 손쉽게 구현할 수 있게 됐다. 스마트싱스 파인드 SDK는 기기 제조사와 개발자가 기기에 위치 추적 기능을 빠르고 간단히 통합할 수 있도록 돕는 개발 툴킷이다. 이를 통해 초기 단계부터 모든 기능을 직접 구현해야 하는 부담을 줄이고, 제공되는 문서와 기술 지원을 바탕으로 개발 과정에서의 난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는 스마트싱스 생태계를 기반으로 분실하거나 위치를 잃은 기기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어 보안과 편의성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이번 SDK는 노르딕의 개발 환경인 nRF 커넥트(nRF Connect) SDK에 추가 기능 형태로 제공된다.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근거리 무선 기술 부문 부사장 오이빈드 스트롬(Oyvind Strom)
래블업이 미국에서 열리는 ‘AI Infra Summit 2025’에 참가해 AI 인프라 운영의 미래를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전 세계 3500여 명의 AI 전문가와 100여 개 파트너사가 모이는 글로벌 최대 규모의 AI 인프라 컨퍼런스로, 하드웨어부터 데이터센터, 엣지 컴퓨팅까지 최신 기술 동향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래블업은 이번 행사에서 자사의 AI 네이티브 플랫폼 ‘AI:DOL(AI Deployable Omnimedia Lab)’ 베타 버전을 첫 공개했다. AI:DOL은 Backend.AI Core와 PALI 기반 백엔드 서비스를 결합한 생성형 AI 개발 플랫폼으로, 웹 브라우저만으로 접근이 가능해 초보자부터 숙련된 개발자까지 손쉽게 다양한 오픈모델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AI:DOL은 Backend.AI Continuum을 통해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자원을 완전히 통합해 사용자가 직접 서빙하는 모델을 기반으로 내부 및 외부 클라이언트 대상 A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배포할 수 있다. 현재는 채팅 중심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향후 이미지와 비디오 생성, AI 코딩까지 확장해 포괄적 AI 개발 생태계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래블업은 또한 Backe
엔비디아가 3D 객체 생성을 위한 새로운 AI 블루프린트(NVIDIA AI Blueprint for 3D object generation)를 공개했다. 이번 솔루션은 3D 아티스트가 단순한 텍스트 프롬프트만으로 최대 20개의 3D 객체를 자동으로 생성해 특정 장면의 프로토타입을 빠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전통적인 3D 제작 과정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프로토타이핑 절차가 필수적이었다. 아티스트들은 저충실도의 임시 에셋을 제작하고, 장면의 핵심 요소가 자리에 맞게 배치될 때까지 반복적인 수정을 거쳐야 했다. 이후에야 비로소 세부적인 시각 요소를 다듬는 작업이 가능했다. 이 과정은 창의적인 디자인보다는 반복적인 모델링 업무에 많은 시간을 빼앗겼다는 점에서 오랫동안 개선이 요구돼 왔다. 생성형 AI의 등장은 이러한 과정을 크게 단축시켰다. 특히 엔비디아의 AI 블루프린트는 여러 AI 모델을 연결해야 하는 복잡한 기술적 과정을 단순화해, 아티스트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샘플 워크플로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초보자도 손쉽게 고급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각자의 작업 스타일에 맞게 맞춤형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새로운 블루프린트의 핵심은 장면 프로토타
포티투마루가 ‘센텀 디지털 위크 2025’에서 ‘Agentic AI 시대의 인재상’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펼치며 차세대 개발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부산광역시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과 부산정보산업진흥원(BIPA)이 주관하는 대규모 디지털 컨퍼런스로, ‘Next Code 2025 : Beyond AI, Into Agents’를 주제로 AI 에이전트가 바꿔놓을 산업과 비즈니스 전환을 집중 조명했다. 포티투마루 김동환 대표는 기조강연에서 단순 코딩 능력을 넘어 문제 정의, 데이터 해석, 협업, 서비스 기획과 운영까지 아우르는 ‘능동형(Agentic) 엔지니어’가 미래 개발자의 핵심 자질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특히 공공행정, 국방, 제조, 금융, 통신, 법률,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의 도메인별 경험을 예로 들며, 개발자가 도메인 리터러시와 AI 엔지니어링을 결합해야 함을 역설했다. 또한 AI 시스템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만큼, 윤리적 사고와 거버넌스 역량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이는 기술 역량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함께 고려하는 ‘풀스택 엔지니어’로서의 인재상이 요구된
메타가 청소년과 여성의 온라인 안전 강화를 위해 주요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마련한 라운드 테이블이 성료됐다. 이번 행사는 온라인 환경에서 급증하는 안전 이슈에 대응하고, 정책적·사회적 협력의 기반을 다지는 자리였다. 행사는 메타 남아시아 안전 정책 총괄 프리앙카 발라 박사의 기조 발표로 시작됐다. 그는 인스타그램에 도입된 ‘청소년 계정’ 기능의 성과를 공유했다. 올해 4월 기준 전 세계 5400만 명의 청소년 계정 이용자가 자동 전환됐으며, 특히 만 13~15세 이용자의 97%가 기본 제한 설정을 유지 중이라고 밝혔다. 최근에는 청소년 대상 성착취 사기 예방을 위해 다이렉트 메시지(DM)에 ‘위치 알림’ 기능을 추가해, 대화 상대가 다른 국가에 있을 경우 경고를 제공하는 기능을 도입했다. 여성 안전 강화를 위한 기술적 조치도 주목받았다. 메타는 DM 전송 시 나체 사진 탐지 기능을 고도화해, 해당 이미지가 감지되면 흐리게 처리하고 주의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했다. 현재 전 세계 이용자의 99%가 이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다. 또한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누디파이 앱(Nudify app)’과 같은 변형 이미지 광고를 탐지하고, 그 데이터를 다른 기술 기업들과 공
마키나락스가 9월 4일인 오늘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ATTENTION 2025’를 열고 산업 AI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는 ‘생각하고, 행동하며, 산업을 바꾸는 AI’를 주제로, 에이전틱 AI가 어떻게 초생산성 시대를 이끌 수 있는지에 대한 로드맵과 실제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올해로 2회째를 맞은 이번 컨퍼런스는 LG, 퓨리오사AI, 업스테이지, 리얼월드, 한국수자원공사, 두산에너빌리티, 현대오토에버, 육군사관학교, 엔비디아 등 주요 기업과 기관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해 산업별 AI 활용 가능성을 논의했다. 행사장은 1200여 명이 사전 신청해 조기 마감될 만큼 뜨거운 관심을 끌었다. 윤성호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100X 혁신 : 산업 AI가 여는 초생산성의 시대’를 주제로, “GPT와 같은 범용 AI는 대화나 텍스트 생성에는 강점이 있지만 센서 데이터 해석, 도면 판독 등 정밀도가 필요한 산업 업무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조, 국방, 중공업 분야는 AI를 통해 100배 수준의 생산성 향상 잠재력을 가진 만큼, 이제는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중견기업도 수백, 수천 개의 AI 에이전트를 직접 구축하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성능 AI 칩과 GPU의 확산으로 데이터센터를 비롯한 산업 현장에서 발열 문제는 심각해지고 있다. 기존 공랭식과 액체냉각, 액침냉각 기술이 활용되지만, 비용과 유지보수 측면에서 여전히 한계가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차세대 액체냉각 헤드 ‘VC-COOL’과 고성능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오는 9월 18일 열리는 온라인 세미나에서는 (주)인스피라즈 코리아 윤석준 부장이 발표자로 참석해 오후 2시부터 1시간 동안 VC-COOL의 작동 원리와 특징, TIM의 역할, 그리고 실제 테스트 결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웨비나에서는 먼저 VC-COOL의 등장 배경을 짚는다. AI 시대에는 칩의 성능 향상만큼이나 발열 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기존 냉각 시스템은 효율성이나 장기적 유지 관리 측면에서 부족함을 드러냈다. 이에 VC-COOL은 고성능과 고효율을 동시에 충족하는 새로운 냉각 솔루션으로 소개된다. VC-COOL은 칩이나 GPU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흡수해 히트싱크로 전달하는 구조를 통해 기존 마이크로채널 방식과 차별화한다.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고성능 TIM 제품이 소개된다. TIM은 반도체
고성능 AI 칩과 GPU의 확산으로 데이터센터를 비롯한 산업 현장에서 발열 문제는 심각해지고 있다. 기존 공랭식과 액체냉각, 액침냉각 기술이 활용되지만, 비용과 유지보수 측면에서 여전히 한계가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차세대 액체냉각 헤드 ‘VC-COOL’과 고성능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오는 9월 18일 열리는 온라인 세미나에서는 (주)인스피라즈 코리아 윤석준 부장이 발표자로 참석해 오후 2시부터 1시간 동안 VC-COOL의 작동 원리와 특징, TIM의 역할, 그리고 실제 테스트 결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웨비나에서는 먼저 VC-COOL의 등장 배경을 짚는다. AI 시대에는 칩의 성능 향상만큼이나 발열 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기존 냉각 시스템은 효율성이나 장기적 유지 관리 측면에서 부족함을 드러냈다. 이에 VC-COOL은 고성능과 고효율을 동시에 충족하는 새로운 냉각 솔루션으로 소개된다. VC-COOL은 칩이나 GPU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흡수해 히트싱크로 전달하는 구조를 통해 기존 마이크로채널 방식과 차별화한다.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고성능 TIM 제품이 소개된다. TIM은 반도체
세이지가 9월 3일부터 5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리는 ‘국제 첨단 반도체 기판 및 패키징 산업전(KPCA Show 2025)’에 참가한다. KPCA Show는 국내 유일이자 최대 규모의 반도체 기판 및 패키징 전시회로, 올해는 LG이노텍, 삼성전기, 심텍 등 국내외 250여 개 기업이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세이지는 이번 전시에서 자사의 AI 기반 머신 비전 솔루션 ‘세이지 비전(SAIGE VISION)’을 중심으로 PCB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자동 검출하는 실시간 데모를 선보인다. 단순한 시연을 넘어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기술력과 실용성을 보여주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PCB 제작 결함 검사와 더불어 머신러닝 모델의 개발부터 배포, 운영, 모니터링까지 관리할 수 있는 ‘MLOps 플랫폼’을 함께 소개하며, 제조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최적화 가능한 AI 운영 환경을 제시할 예정이다. 세이지 비전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기존 룰 베이스 검사 방식이 놓치던 비정형적 결함까지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품 표면의 불규칙적 손상이나 미세한 결함을 인식해 불량 여부를 판단하고, 이차전지와 PCB 산업을 비롯한 다양한
OpenAI가 한국 창작자 지원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글로벌 창작자 프로그램인 ‘크리에이티브 랩(Creative Lab)’의 첫 한국 사례인 ‘크리에이티브 랩 서울’이 출범하며, 국내 창작자들의 글로벌 무대 진출을 돕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총 21명의 아티스트가 참여한다. 참가자들은 한 달간 OpenAI의 최신 영상 생성 도구 Sora와 ChatGPT 이미지젠을 활용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OpenAI로부터 도구 조기·무료 제공, 실습 중심 학습, 글로벌 창작자 커뮤니티 교류, 작품 발표 기회 등의 지원을 받는다. OpenAI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네 가지 핵심 가치를 구현한다. 첫째는 창작자 중심 원칙으로, 모든 작품의 소유권은 아티스트에게 귀속된다. 둘째는 투명성과 신뢰로, 도구의 가능성과 한계를 명확히 공개한다. 셋째는 커뮤니티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창작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실질적 지원을 통해 즉시 적용 가능한 단계별 노하우를 제공한다. 제이크 윌크진스키 OpenAI 아시아태평양 지역 커뮤니케이션 총괄은 “아티스트가 주도하고 도구가 뒤따를 때 전혀 새로운 형태의 창작이 탄생한다”며, 크리에이티
망고노트가 엔비디아의 글로벌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엔비디아 인셉션’에 공식 선정됐다. 인셉션은 전 세계 혁신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전문가 멘토링, 개발 리소스, 클라우드 크레딧과 하드웨어 지원, 공동 마케팅, 글로벌 네트워킹, 투자자 연결까지 제공하는 맞춤형 성장 프로그램이다. 망고노트는 국내 보안 회의록 서비스 중 유일하게 인셉션에 이름을 올리며 기술력과 시장성을 동시에 입증했다. 망고노트는 회의 대화를 자동으로 회의록, 액션 아이템, 검색 가능한 지식으로 구조화하는 맥락 인지형(Context AI) 솔루션이다. 모든 데이터 처리는 사용자 기기 내부에서만 이뤄지고 클라우드에는 저장되지 않는다. 운영자와 개발자도 콘텐츠에 접근할 수 없도록 설계돼 민감한 기업 정보 보호에 특화됐다. 이미 Mac 기반 보안 회의록 PoC에서 안정성을 검증했으며, 국내 대기업 임직원과 스타트업 리더들의 추천사가 축적되고 있다. 특히 망고노트는 오는 9월 웹 버전 ‘무제한 무료’ 서비스를 출시한다. 현재 국내 회의록 AI 서비스가 주로 시간이나 용량을 기준으로 과금하는 방식인 것과 달리, 상시 무제한 무료 정책을 채택해 도입 장벽을 낮추고 반복 사용성을 높이는 전략이다. 개인과
모티프테크놀로지스 임정환 대표 인터뷰 많은 AI 스타트업이 오픈소스 기반 모델을 적절히 조합하고 조정해 서비스를 구현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흐름에 대응하고, 현실적인 자원 제약 속에서 효과를 내기 위한 합리적인 선택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모델 구조 자체를 고민하고, 핵심 기술을 직접 설계하려는 새로운 시도가 주목받는다. 조립에서 설계로의 전환, 그 방향성을 실천하는 모티프테크놀로지스의 이야기다. 이들은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를 아우르는 멀티모달 모델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고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빠르게 존재감을 넓히고 있다. ‘오픈소스 생태계에 기회 있다’ 모티프의 전략은? 생성형 AI 기술이 급속히 진화하는 가운데, 모티프테크놀로지스(이하 모티프)가 AI 모델 자체 개발과 오픈소스 전략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텍스트를 넘어 이미지, 비디오까지 아우르는 멀티모달 모델 개발 역량과 자체 아키텍처 설계로 차별화한 기술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점이 강점으로 부각된다. AI 분야에서 대기업 중심의 개발이 이뤄지는 흐름 속에서, 창업 6개월 만에 이 같은 성과를 기록한 모티프의 행보는 국내 AI 생태계에 신선한 자극을 줬다.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대한 전략적
모빌린트가 글로벌 임베디드 플랫폼 기업 에티나(Aetina)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모빌린트의 AI ASIC 기반 가속기 카드와 에티나의 엣지 컴퓨팅 솔루션을 결합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양사는 AI 엣지 컴퓨팅 상용화를 가속화한다는 전략을 내세웠다. 에티나는 다양한 산업 맞춤형 GPU 및 AI 솔루션을 공급해온 글로벌 기업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사는 모빌린트의 고성능·저전력 NPU 기술과 에티나의 시스템·플랫폼 제품을 결합한 공동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를 기반으로 고객사에 최적화된 패키지를 제공하고, 공동 영업(co-selling)과 솔루션 번들링을 추진해 시장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협력 범위는 제조, 스마트시티, 보안, 로보틱스 등 다양한 산업군을 아우른다. 특히 시장 수요에 따라 자사 및 제휴사 제품을 상호 추천·도입하는 방식으로 산업별 적용 사례를 확대한다. 이는 단순한 기술 협력 차원을 넘어, 실제 비즈니스 기회 창출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염두에 둔 전략적 협력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모빌린트 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자사의 독자적인 AI 반도체 기술이 에티나 플랫폼과 결합해 글로벌 확산
올거나이즈가 자사의 LLM 기반 업무 자동화 솔루션 ‘Alli(알리)’를 SaaS 버전으로 확장하며, 무료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체험판은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 회사 이메일 계정을 통해 가입 후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2주 동안 최대 20명의 사용자가 실제 협업 환경에서 검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알리는 사용자 중심의 ‘Alli Works(알리 웍스)’와 관리자를 위한 ‘Alli Dashboard(알리 대시보드)’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알리 웍스를 통해 AI와 대화하며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고, 관리자는 알리 대시보드를 활용해 산업과 업무에 특화된 앱을 직접 제작할 수 있다. 앱 제작 과정은 비개발자도 수행할 수 있도록 직관적으로 설계됐다. 알리-사스의 핵심 기능은 내부 문서 기반 검색과 실시간 웹 탐색을 결합한 ‘딥 리서치(Deep Research)’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내 문서에서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으며, 외부 정보가 필요할 경우 즉시 웹에서 데이터를 탐색해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결과물은 요약본과 출처와 함께 PDF나 워드 파일로 내려받을 수 있어 보고서 작성이나 회의 준비에 곧바로 활용 가능하다.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