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마모성과 내유성에 강점, 작은 외경 크기로 설치도 간편해 토마스케이블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클린룸에 적용할 수 있는 케이블 제품을 선보였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클린룸 케이블은 클린룸 환경에서 설계된 특수 케이블로, 먼지, 오염 등의 방출을 최소화해 깨끗함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반도체 산업을 비롯해 제약, 바이오 테크, 의료 장비, 정밀 기계 등 깨끗한 환경이 필수적인 산업 분야에서 사용된다. 토마스케이블의 대표 제품인 'S 771'은 가동용 클린룸 케이블이다. 이 케이블은 내마모성과 내유성이 좋고 외경이 작아 설치가 간편하다. 'S 775 C'는 가동용 클린룸 차폐 케이블로, S 771과 마찬가지로 내마모성과 내유성이 뛰어나며
40% 이상의 R&D 엔지니어와 자사 공장 기반으로 제품 신뢰성 높여 크래비스(CREVIS)는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머신비전 카메라 라인업을 소개했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였다. 크래비스는 국내 머신비전 카메라 및 산업용 네트워크 제조 기업이다. 40% 이상의 R&D 엔지니어와 자사 공장을 기반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신속한 배송 및 기술 지원을 수행해 왔다. 표준 머신비전 카메라 외에도 3CMOS, Polarization, SWIR 등 다양한 특수 카메라를 개발 및 제조하고 있다. CMOS 기반의 경제형 SWIR 카메라의 경우 CMOS 방식의 SWIR 센서가 적용된 제품으로 InGaAs 기반 SWIR 카메라 대비 합리
반도체 공정에 적용되는 설비 제품 전시해 한즈모트롤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자사의 모션 컨트롤 기술을 선보였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넵콘 재팬은 기판, SMT, IC & 센서 패키징, 테스트 등 전자 산업을 세분화해 7개 전문 전시회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동시 개최되는 주요 전시회는 자동차, 스마트제조, 물류, 웨어러블 등 각광받는 산업을 다루며, 현장에 적용되는 기술 및 솔루션을 선보인다. 한즈모트롤은 기존 수입에 의존하던 인덱스의 국산화로 국내 자동화 설비 제작 시 비용 절감 및 제품 생산의 생산량 증대 그리고 고정밀화를 위한 기술을 개발했다. 대표적으로, 롤러 기어 캠 간헐 할출 장치인 'INDXIA'는 자사의 독자적인 캠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이 장치는 고도의 생산성을 바탕으로 반도체를 비롯해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서보 감속기 'GTB', 'DSR'를 개발하였으며, 고정밀·고토크 사양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차체 용접 설비 등 다양한 분야
옵토메카트로닉스 기술과 화상 처리 기술 기반으로 검사장비 생산해 고영테크놀러지(이하 고영)이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자사의 SPI 장비, AOI 장비, 반도체 검사장비 라인업을 전시했다. 고영은 고도의 옵토메카트로닉스 기술과 화상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세계 시장에 검사장비를 공급해 왔다. 독자적인 3D 측정기술을 구축한 고영은 현장에서 겪는 공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 개발을 진행했다. 또한, 생산 현장에서 요구되는 품질 관리나 공정 최적화를 위한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고영은 특허기술인 양방향 프로젝션으로 양쪽에서 광원을 제공함으로써 끝이 뾰족하거나, 골짜기와 같은 임의의 형상을 지닌 대상물의 모든 영역에 광이 도달해 솔더링 페이스트 전체 체적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한다. 이를 통해 그림자 효과 및 난반사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높은 측정 정밀도와 신뢰성 높은 검사 결과를 제공한다. 이처럼 고영은 의미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인쇄 공정의 최적화를 실현하고 있다. 고영은 이번 전시회에서 엔트리급 SPI 장비인 'KY8030 NOVA'를 공개했다. 이 장비는 중소기업이
3차원 정밀측정 및 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반도체 검사장비 개발 및 공급 펨트론이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참가해 마이크로볼 범프 검사장비 '포세이돈 S'를 비롯한 장비 라인업을 소개했다. 펨트론은 3차원 정밀측정 및 비전 기술을 기반으로 SMT, 반도체, 전장, 이차전지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납도포 검사장비(3D SPI), 3차원 장착 검사 장비(3D AOI, MOI), 웨이퍼 범프 3D 검사장비, 와이어 본딩 3D 검사장비, 이차전지 리드탭 공정·검사장비를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코팅검사기(CI), Pin 검사기, 하부 검사기 등 시장이 필요로 하는 신규 장비를 지속해서 출시하며, 주사 전자현미경(SEM) 기술을 활용해 나노 및 바이오 등의 응용 분야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장비 라인업에는 3D 인라인 솔더 페이스트 검사장비 '새턴(SATURN)', 3D AOI '아테나(ATHENA Series)', '이글 3D 8800TH(EAGLE 3D 8800TH)', '이글 3D 8800TWIN(EAGLE 3D 8800TWIN)', '트로이 8800 CI 시리즈(TROI 8800
17개 회원사로 구성된 공동관 구성...반도체 관련 소부장 전시 소부장기술융합포럼(이하 소부장 포럼)이 포럼 회원사와 함께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에 공동관으로 참가했다. 넵콘 재팬 2025는 1월 22일부터 24일까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다. 올해는 일본, 한국, 대만 등의 국가에서 1800개 이상의 참가 업체가 참여했으며, 주최 측은 전시가 열리는 기간 동안 8만7000명 이상의 방문객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소부장 포럼은 지난 2020년 비영리 법인으로 창립된 단체다.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국내 중견·중소 기업 및 외국계 기업의 국내지사 대표를 비롯해 기업과의 협력이 가능한 학계 교수 및 공공기관 전문가, 투자사, 회계 및 기업 관련 변호사 등 약 300명이 회원으로 등록돼 있다. 소부장 포럼은 세미나 및 소규모 모임을 활용해 기술·사업 정보 교류, 공동 협력 과제 추진 등 네트워킹과 같은 효과를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기술 분야의 융합을 매개로, 이를 시장 니즈와 연결하는 코디네이팅으로 기존 사업의 시너지 극대화 및 신규 비즈니스 창출에 주력하고 있다. 넵콘 재팬에
넵콘 재팬 2025는 1월 22일부터 24일까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다. 올해는 일본, 한국, 대만 등의 국가에서 1800개 이상의 참가 업체가 참여했으며, 주최 측은 전시가 열리는 기간 동안 8만7000명 이상의 방문객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넵콘 재팬 2025는 1월 22일부터 24일까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다. 올해는 일본, 한국, 대만 등의 국가에서 1800개 이상의 참가 업체가 참여했으며, 주최 측은 전시가 열리는 기간 동안 8만7000명 이상의 방문객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마에조노 유히 사무국장 "새로운 기술에 발맞춰가는 창의적인 전시회 만들 것"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이 22일 도쿄 빅사이트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넵콘 재팬은 일본을 대표하는 전자 제조 및 R&D 전시회로, 전자 산업계의 기술 트렌드와 업계 동향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행사로 거듭나고 있다. 넵콘 재팬을 비롯해 동시 개최되는 전시회 역시 현재를 넘어 미래를 바라볼 수 있는 산업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넵콘 재팬을 전시를 총괄하는 RX 재팬 마에조노 유히(Maezono Yuhi) 사무국장을 만나 이야기 나눠봤다. Q : 넵콘 재팬 2025의 주제, 관통하는 트렌드는 무엇인가? A : 넵콘 재팬은 전자 산업 전반을 다루지만, 동시 개최하는 오토모티브 월드나 로보덱스 등 다양한 산업을 총망라하는 거대한 전시회로 거듭나고 있다. 넵콘 재팬의 경우 파워 디바이스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는 전기차와 연관돼 오토모티브 월드와의 시너지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반도체 분야에서는 후공정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유리 기판도 조명받고 있다. 관련 업체들이 다수 참여했으며, 관련 컨퍼런스 역시 예상 참석인원을 모
1800개 이상의 참가 업체 참여...전자, 자동차, 물류 등 주요 산업 혁신 기술 공개 아시아 최대 전자 제조 및 R&D 전문 전시회인 '넵콘 재팬 2025(NEPCON Japan 2025)'이 3일간의 대장정을 시작했다. 넵콘 재팬 2025는 1월 22일부터 24일까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다. 올해는 일본, 한국, 대만 등의 국가에서 1800개 이상의 참가 업체가 참여했으며, 주최 측은 전시가 열리는 기간 동안 8만7000명 이상의 방문객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로 39회째를 맞은 넵콘 재팬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의 전자 산업과 함께 발전해 온 전시회다. 그동안 넵콘 재팬은 일본 전자 산업 성장에 다각도로 기여했으며, 세계 각국의 기업이 일본 및 아시아 전자 시장에 진출하는 관문 역할도 도맡았다. 이뿐 아니라 오랜 역사를 가진 만큼 기술의 변천사를 선보이며, 새로운 소재와 제품, 기술 등을 적극 받아들임으로써 변화하는 업계 트렌드에 적극 대응해 왔다. 이와 함께 넵콘 재팬은 업계 전문가가 혁신을 공유하고 주요 이해관계자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가치 있는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협력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지난해에는 호주, 오스
슈퍼마이크로 액체 냉각 시스템의 실제 적용사례 공유 예정 디에스앤지가 슈퍼마이크로의 최신 액체 냉각 솔루션을 직접 체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디에스앤지는 올해 상반기 대만에 위치한 슈퍼마이크로 사이언스 파크에서 슈퍼마이크로 액체 냉각 솔루션 참관 투어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최근 관심이 증대되는 AI 데이터 센터 운영 최적화와 지속 가능한 IT 인프라 구축에 도움을 주기 위해 기획됐다. 참석대상은 IT 관리자와 데이터 센터 운영자, 기술전문가, 에너지 효율 솔루션 담당자 등 관련 기술 및 솔루션에 관심이 있는 전문가들로 사전등록을 통해 참석이 가능하다. 이번 행사에서는 고성능 컴퓨팅(HPC) 및 AI 워크로드를 지원하도록 설계된 슈퍼마이크로의 액체 냉각 시스템의 실제 적용사례가 소개될 예정이다. 슈퍼마이크로에 따르면, 이 솔루션은 기존 공기 냉각 방식 대비 최대 40%의 에너지 절감과 운영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특히 고밀도 서버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면서 친환경 데이터 센터 운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강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슈퍼마이크로는 이 기술을 바탕으로 테슬라 xAI의 액체 냉각 시스템을 GPU부터 전체 액체 냉각
소셜 챗봇과의 정기적 상호작용, 외로움 점수 15% 감소 및 사회 불안 점수 18% 완화 스캐터랩이 유니스트(UNIST)와 연구 협업을 통해 소셜 AI 챗봇이 사용자의 외로움과 사회 불안 완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 스캐터랩은 지난 2022년 AI 챗봇 ‘이루다 2.0’을 출시하고 여러 대학교와 협업해 AI 챗봇이 사용자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했다. 이 중 유니스트 연구팀이 ‘이루다 2.0’을 활용한 실험을 통해 소셜 챗봇이 외로움과 사회 불안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입증했다. 유니스트 연구팀의 ‘외로움과 사회적 불안을 완화하는 소셜 챗봇의 치료 잠재력: 준실험적 혼합 방법 연구’ 논문은 유니스트 의과학대학원 정두영 교수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철현 교수가 공동 저자로 참여했다. 해당 논문은 지난 1월 14일 권위 있는 의료정보학·헬스케어 분야 국제 학술지인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 27)에 게재됐으며, 디지털 기술을 정신 건강 관리에 접목시킨 혁신 사례로 평가받았다. 연구팀은 총 176명의 실험 참여자에게 4주 동안 주 3회 이상
기업 생산 환경에 특화한 AI 솔루션 도입 가속할 계획 밝혀 마키나락스가 자동화 기업인 ‘쿠카(KUKA)’의 자회사이자 IoT/데이터 분석 기업인 ‘디바이스 인사이트’와 산업용 AI 솔루션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기업의 생산 환경에 특화한 AI 솔루션의 도입을 가속할 예정이다. 데이터 수집에서 데이터 거버넌스, 맞춤형 알고리즘과 AI 에이전트 개발에 이르기까지 생산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AI 구현 속도를 획기적으로 앞당기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글로벌 산업용 로봇 메이커인 쿠카 로봇에 특화된 AI 기반 예지보전과 산업용 AI LLM 등을 공동 개발해 유럽 현지의 제조 기업에도 공급할 예정이다. 디바이스 인사이트는 산업용 IoT, 데이터 엔지니어링 및 데이터 기반 프로세스 최적화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한 기업이다. 디바이스 인사이트는 쿠카 자회사로, 독일 뮌헨에 본사를 두고 있다. 데이터 기반 팩토리 접근 방식으로 게롤슈타이너(Gerolsteiner), 코스타(COSTA) 등 글로벌 고객에게 생산 현장의 디지털화와 최적화를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마키나락스는 자체 개발한 AI
인텔 파운드리는 미국 국방부(DoD) 연구·엔지니어링 차관실(OUSD(R&E))의 T&AM(Trusted & Assured Microelectronics) 프로그램 하에 진행되는 RAMP-C(Rapid Assured Microelectronics Prototypes - Commercial) 프로젝트 3단계의 일환으로, 신규 방위 산업 기반(DIB) 고객사인 트러스티드 세미컨덕터 솔루션스와 릴라이어블 마이크로시스템스의 참여를 발표했다. S²MARTS(Strategic & Spectrum Missions Advanced Resilient Trusted Systems) OTA(Other Transaction Authority)를 통해 수주된 RAMP-C 프로젝트는 DIB 고객들이 인텔 파운드리의 최첨단 18A 공정 기술과 첨단 패키징 기술을 사용해 미 국방부를 위한 일반 상업용 및 국방용 제품의 프로토타입 제작과 대량 생산을 지원한다. 인텔 파운드리 서비스 카필 와드헤라(Kapil Wadhera) 정부 협력 및 비즈니스 운영 그룹 총괄은 “트러스티드 세미컨덕터 솔루션스와 릴라이어블 마이크로시스템스가 국방부와 함께 진행 중인 RAMP-C
탐색 기능 추가 및 대시보드·대화 검색 기능 개선해 콕스웨이브가 얼라인 AI의 기능을 확대했다고 22일 밝혔다. 얼라인 AI는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 개선을 위한 AI 제품 분석 플랫폼이다. AI와 사용자 간의 대화 데이터를 분석해 대화형 LLM 제품 성능의 평가 및 고도화를 돕는다. 이번 업데이트로 ‘탐색 기능’을 새롭게 추가했으며 기존 기능인 ‘대시보드’과 ‘대화 검색’ 기능도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해 개선했다. 탐색 기능은 대시보드 내 다양한 성과 지표를 분석하는 패널 탐색, 전체 대화를 자유롭게 분석하는 자유 탐색 두 가지로 구성된다. 두 기능 모두 얼라인 AI 내 탑재된 AI 코파일럿을 통해 사용자에게 심층적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분석을 제공한다. 특히 자유 탐색 기능에는 AI 코파일럿이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재질문을 하는 등의 상호 작용 기능도 포함됐다. 기존에 제공하던 대시보드, 대화 검색 기능도 강화됐다. 대시보드는 이번 업데이트로 20개 이상의 정량적·정성적 지표를 새롭게 제공하며, 특히 사용자 불만족 추이와 주요 원인 분석 등 분석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보여준다. 대화 검색 기능은 기업 사용자에게 익숙한 필터 형식의 UI로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