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2자]<br>
자료 출처/국토교통부 /자가가구 연 소득 대비 주택 가격 비율(좌) 임차 가구 월 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율(우)](http://www.hellot.net/data/photos/20241252/art_17352612409636_84ae7d.png)
국토교통부의 2023년 주거 실태조사 결과, 전국의 자가 보유율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자가 보유율은 60.7%로, 2022년 61.3% 대비 0.6%P 하락하며 주거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도 지역의 자가 보유율이 68.6%로 가장 높았으며, 광역시 등이 62.3%, 수도권이 55.1%로 뒤를 이었다. 하지만 모든 지역에서 전년 대비 자가 보유율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전년 대비 0.7%P 감소하며 주택 가격 상승과 맞물려 주거 불안감이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자가를 보유하고 실제 거주하는 비율인 자가점유율은 57.4%로, 전년 대비 0.1%P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광역시 등이 0.2%P 상승했지만상승한 반면, 수도권은 전년과 동일했고, 도 지역은 0.2%P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결과에 대해 "높은 주택 가격과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주택 구매가 어려워지면서 자가 보유율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수도권의 경우, 청년층을 중심으로 주거 불안이 심화하고 있어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택 시장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청년층의 주거 지원 확대와 주택 공급 확대를 통해 주거 안정성을 높이는 데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