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25년 6월 주택시장, 수도권 회복세 뚜렷…. 지방은 공급 감소

URL복사

 

국토교통부가 2025년 6월 주택 통계를 발표했다. 전반적으로 수도권 주택 시장은 인허가와 착공, 준공 지표에서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며 회복 기미를 나타냈다. 반면 비수도권은 공급 지표가 감소하는 등 지역별로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감소세를 이어갔고, 주택 거래량은 전월 대비 크게 증가하며 활기를 띠었다 .

 

수도권 건설 지표 긍정적 흐름…. 분양은 감소세

 

지난 6월 주택 건설 인허가 실적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13,792호로 전년 동월 대비 53.3% 증가했고, 누적 실적도 22.7% 늘었다. 특히 서울은 3,569호로 전년 동월 대비 35.0% 상승, 누적 실적은 73.8%나 급증하며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비수도권 인허가는 14,226호로 4.4% 감소했고, 누적 실적은 28.0% 줄어 대조를 이루었다.

 

주택 착공 실적에서도 수도권은 20,416호로 전년 동월 대비 152.1%라는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다. 서울 역시 2,079호로 99.9% 증가하며 지난달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늘어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비수도권은 8,455호로 33.0% 감소하며 전반적인 착공 감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분양 실적은 전반적인 감소세를 보였다. 수도권 분양은 8,832호로 전년 동월 대비 30.8% 감소했고, 서울은 946호로 56.1%나 급감했다. 비수도권 또한 6,151호로 30.8% 감소하는 등 전국적으로 분양 물량이 줄었다.

 

준공 실적에서는 수도권이 22,121호로 전년 동월 대비 42.2% 증가했고, 서울은 무려 9,178호로 196.1% 증가하며 주택 공급이 크게 늘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비수도권은 17,994호로 11.7% 감소했다.

 

미분양 감소세 지속…. 주택 매매 활기 띠어

 

2025년 6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3,734호로 전월(66,678호) 대비 4.4% 감소하며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이 중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26,716호로 전월 대비 1.1% 감소하며 전체적인 미분양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 수도권 미분양은 13,939호, 비수도권 미분양은 49,795호로 집계되었다.

 

주택 거래량을 살펴보면, 6월 전체 주택 거래량은 73,838건으로 전월(62,703건) 대비 17.8% 증가하며 매수 심리가 개선되었음을 시사했다. 특히 수도권 매매는 42,967건으로 32.8% 크게 증가했고, 서울 아파트 매매는 10,814건으로 전월 대비 49.8%나 급증하며 시장의 활력을 이끌었다. 비수도권 매매도 소폭 증가했다.

 

 

전월세 거래량은 242,305건으로 전월 대비 4.1% 소폭 감소했다. 수도권 전월세 거래는 163,503건, 비수도권은 78,802건으로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