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BUTECH 2025] 더 이상 단순 작업 ‘NO’...‘협업’ 넘어 ‘가치’ 더하는 로봇 혁명 Ⅱ

URL복사

공장의 미래상 담은 BUTECH 2025, 제조업 '퀀텀 점프' 시작점...여기서 '터졌다'

 

‘스마트 제조, 미래 혁신의 꿈’을 슬로건으로 한 ‘제12회 부산국제기계대전(BUTECH 2025)’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소재 전시장 벡스코(BEXCO)에서 성황리에 진행됐다. 올해 BUTECH는 단순한 산업·공장 자동화(FA) 분야 전시 콘셉트를 넘어, 인공지능(AI)·로보틱스·디지털트윈·머신러닝·비전 등 제조업의 판도를 뒤집을 ‘게임 체인저(Game Changer)’ 기술들이 총출동했다. 이를 기반으로, 혁신 전략과 경쟁력 확보 방안 등 국내 제조업이 나아갈 길을 제시한 현장이었다. 국내 제조 경쟁력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 이번 BUTECH 2025. 과연 각 분야 혁신·유망 참가업체는 어떤 기술·솔루션으로 참관객의 이목을 사로잡았을까? 이번 <헬로즈업> 특별 기획에서는 대한민국 제조업 ‘퀀텀 점프(Quantum Jump)’의 핵심 기술을 자세히 조망한다.


[Robotics] 인간·로봇 경계 허물다

 

이번 BUTECH 2025는 미래형 제조의 핵심 동력인 로보틱스 생태계가 한데 모여 성장성을 보여줬다. 인간과 협업하며 유연하고 지능적인 생산 환경을 구현하는 각종 로봇 기체가 대거 등장했다. 이는 과거 단순히 위험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대신하던 산업용 로봇을 넘어, 미래 공장의 청사진을 제시한 모습이다. 한계를 뛰어넘는 가반하중과 섬세한 제어 능력, AI·비전·모바일 등 기술이 접목된 로봇은 참관객에게 차세대 제조 혁신의 가능성을 선보이며 관심받았다.

 

로보틱스 2편에서는 초경량 코봇, 고성능 협동 로봇, 고정밀 소형 로봇 등 다양한 형태의 로봇 라인업을 소개한다. 더불어 스마트 물류 로봇 등 지능형 이동 솔루션과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음성 인식 코봇과 같은 AI 융합 사례를 함께 소개한다. 다방면으로 진화하는 로봇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섹션이다.


 

< 이구스 > 플라스틱 소재 경량 코봇

 

독일 소재 플라스틱 기술 업체 ‘이구스’는 지난 1964년부터 고성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기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윤활제를 요구하지 않는 ‘무급유(lubrication-free)’, 직관적 유지 관리를 지원하는 ‘무보수(maintenance-free)’ 특성을 지닌 '모션 플라스틱(motion plastics)' 기술을 핵심으로 한다. 이를 필두로 다양한 산업용 부품과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에너지 체인, 가동형 케이블, 무급유 베어링, 직동 시스템 등이 대표 제품군이다.

 

이구스는 이번 BUTECH 2025에서 자사 저비용 자동화(Low Cost Automation) 전략의 기대주 코봇 제품군 ‘레벨(ReBeL)’을 강조했다. 레벨은 6DoF 이구스의 특수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해 가볍고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비교적 낮은 가격을 목표로 해 중소기업의 자동화 도입 장벽을 낮출 것으로 기대받는다.

 

해당 로봇은 팔레타이징, 픽앤플레이스, 머신텐딩, 품질 검사, 조립, 도장(Painting), 코팅(Coating), 가공(Machining) 등 다양한 작업에서 활약할 전망이다. 여기에 연구·교육용으로도 널리 활용 사례를 확장하고 있다.

 

이구스는 레벨 외에도 다관절 로봇, 델타 로봇, 스카라 로봇, 직교 로봇 등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저비용 자동화 라인업으로 제공하고 있다.

 

< 유니버설로봇 > 거대언어모델 기반 음성 인식 코봇

 

 

덴마크 소재 코봇 솔루션 업체 ‘유니버설로봇’은 로봇 자동화의 대중화를 목표로, 쉽고 효율적인 코봇 혁신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가반하중 3·7·12.5·16kg으로 구성된 ‘e-시리즈’ 모델 네 종을 보유했고, 가반하중 20·30kg으로 세분화된 차세대 고성능 제품군 ‘UR 시리즈’도 활용 사례를 확장하고 있다.

 

특히 이달 공개된 ‘UR 15’는 가반하중 15kg로 설계된 모델로, 공구중심점(Tool Center Point, TCP) 속도 5m/s의 시중 코봇 중 가장 빠른 작업 속도를 지녔다. 이 같은 유니버설로봇 라인업은 올해 2월 기준 총 10만 대가 전 세계 각종 현장에서 활약 중이다.

 

유니버설로봇 코봇은 자유도를 끌어올린 핸드 가이드(Free-drive) 방식을 채택한 3D 그래픽 기반 티치 팬던트(Teach Pendant)를 통해 지관적인 경로 훈련이 가능하다. 로봇 프로그래밍 비전문가도 쉽고 빠르게 로봇 운용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아울러 코봇에 탑재·연동되는 모든 기기를 통합하는 플랫폼인 ‘UR+’를 통해 각종 기술 간 연동 생태계를 구축했다. 이어 차세대 소프트웨어 플랫폼 ‘폴리스코프 X(PolyScope X)’와 코봇 애플리케이션 개발 전용 툴킷 ‘UR AI 액셀러레이터(UR AI Accelerator)’를 통해 엔지니어링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다. 이 중 UR AI 엑셀러레이터는 엔비디아(NVIDIA)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AI 기반 코봇 개발을 지원한다.

 

유니버설로봇은 이번 BUTECH 참관객을 위해 각종 시리즈를 활용한 공정 시연 데모와 파트너십 전략 사례를 소개했다. 그중에서도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음성 인식 AI와 코봇, 로봇 핸드가 접목된 시제품이 참관객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해당 솔루션은 유니버설로봇 코봇을 비롯해, 로봇 솔루션 업체 원익로보틱스의 로봇 핸드, AI 기술 업체 에이아이네이션의 AI 솔루션이 한데 융합된 형태다.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명령하면, 로봇이 음성을 인식한 후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현장에서는 명함을 집는 장면과 여러 과일 중 사용자가 원하는 과일을 파지해 전달하는 과정을 묘사했다. 해당 시스템은 물체 인식 과정에서, 광학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술로 이미지를 인지한 후 로봇의 행동을 구현한다. 주목할 포인트는 과일 전달 시연이다. 사용자가 사과·귤·레몬·배·감자 등 특정 단어를 언급하지 않고, 대상물의 특징 전달만으로 LLM을 통해 이를 분석·추론해 로봇에게 정보를 전달한다.

 

< 엡손 > 스카라 로봇, 다관절 로봇

 

 

‘엡손’은 고정밀 소형 로봇 분야에서 특화된 기술력을 갖춘 업체로 평가받는다. 특히 수평 다관절(스카라, SCARA) 로봇과 6축 다관절 로봇으로 세분화된 다양한 라인업을 제공한다. 엡손 로봇 시리즈의 공통적인 특징은 ‘Micro Precision’의 자사 기술 철학을 바탕으로, 높은 반복 정밀도와 빠른 작업 주기 시간을 구현한다. 또 기체가 소형·경량화 설계를 띄고 있어, 작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연이어 클린룸 인증 ‘ISO Clean’과 정전기 방지 규격 ‘ESD’를 만족해, 다양한 환경에서 활약한다. 'Epson RC+' 등 직관적인 소프트웨어를 통해 프로그래밍 및 운용이 용이한 점도 주목 포인트다.

 

이번 엡손 부스에는 다양한 로봇 모델이 각각의 특화된 공정을 수행하는 시연 과정이 연출됐다. 이때 C4 시리즈, N2 시리즈 등 6축 다관절 로봇 두 종과 GX4 및 GX8 시리즈, LS108 시리즈 등 스카라 로봇 세 종이 프로세스 구현을 시각적으로 선보였다.

 

분광 카메라 기반 색상 검사 공정을 시연한 C4 시리즈는 엡손의 대표적인 콤팩트 6축 로봇이다. 작은 설치 면적을 요구하고, 넓은 작업 반경과 높은 자유도를 제공한다. 높은 고속·고정밀 성능을 갖춰 정밀 조립, 반송, 검사 등 다양한 산업 현장의 자동화 작업에 최적화됐다.

 

반도체 검사 공정 데모를 제시한 존에서는 N2 시리즈와 GX4 시리즈가 함께 협업해 프로세스를 수행했다. 이 중 N2 시리즈는 사람의 팔처럼 안쪽으로 접히거나 몸통에 가깝게 붙어서 움직이는 ‘컴팩트 폴딩 암((Compact Folding Arm)’ 기술이 최초 적용됐다. 이를 통해 매우 좁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작업 범위를 제공한다.

 

GX4 시리즈는 고속·고정밀 하이엔드 스카라 로봇 라인업이다. 빠른 작업 주기 시간과 높은 반복 정밀도를 기반으로, 전자제품 및 정밀 부품 조립, 나사 체결, 도포(Dispensing) 등 정밀 작업에 이상적이다.

 

GX8 시리즈는 GX4 시리즈의 상위 모델로, 최대 가반하중 8kg와 최대 작업 반경 650mm의 성능을 보유했다. 특히 ‘자이로플러스(GYROPLUS)’ 기술이 해당 제품의 하이라이트다. 이는 고속 작업 시 발생하는 로봇 팔의 진동을 실시간으로 억제해 정밀성을 고도로 유지하는 기술이다. 해당 시리즈는 전시장에서 컨베이어 트래킹(Tracking) 픽앤플레이스 공정을 시연했다.

 

끝으로, 엡손의 가성비 로봇 라인업 LS10B 시리즈는 소형·경량화 디자인과 쉬운 조작성으로 산업 자동화 도입을 고려하는 중소기업을 타깃으로 한다. 간단한 조립, 반송, 패키징 공정에 적합한 로봇 솔루션이다. 참관객에게 컨베이어 트래킹 나사 체결 공정을 모사했다.

 

< 한스로봇 > 자체 기술·부품 내재화 코봇

 

 

중국 로봇 제조사 ‘한스로봇’은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 한스 레이저의 자회사로, 코봇 분야에 비즈니스를 집중하고 있다. 범용 코봇 제품군 ‘엘핀(Elfin) 시리즈’, 엘핀 시리즈 개선 제품군 ‘엘핀 프로(Elfin Pro) 시리즈’, 엘핀 모델과 자율주행로봇(AMR)을 융합한 ‘스타(STAR) 시리즈’, 고하중 코봇 제품군 등을 구축하고 있다. 이 같은 로봇 시리즈는 모터·드라이브·엔코더·센서 등 핵심 부품을 한스로봇이 자체 제작해 공급한다.

 

올해 전시회에는 국내 대리점 ‘덕성티에스’가 한스로봇 코봇 모델을 들고 나왔다. 엘핀 시리즈는 6DoF 기반으로, 3~18kg의 최대 가반하중을 갖춘 6가지 모델로 구성됐다. 엘핀 프로는 기존 Elfin 시리즈의 장점을 계승하면서 AI 기술, 로봇 팔 말단장치 힘·토크 제어 통합 기능, 비전 통합 기술 등 첨단 기능을 강화한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엘핀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작동을 통해 더욱 복잡한 협업 시나리오에 대응 가능하다.

 

이어 모바일 매니퓰레이터(Mobile Manipulator)인 스타 시리즈는 AMR 플랫폼 위에 엘핀 및 엘핀 프로 모델이 접목되는 형태다. 현장 안에서 자율적으로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동시적 위치 측정 및 지도화(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기술 기반 자율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해 복잡한 공장 내부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지능형 스케줄링 시스템과 연동해 작업 우선순위와 동선을 최적화한다.

 

< 마로로봇테크 > 메모리·추정 유·무인 스마트 물류 로봇

 

 

국내 로봇 기술 업체 ‘마로로봇테크’는 스마트 물류·주차 로봇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자율 로봇의 핵심 기술 중 위치 인식, 카메라 비전, 모션 제어 등 기술을 기반으로, 무인 이동 로봇을 개발하는 중이다. 특히 독자적인 QR코드 기반 위치 인식 기술을 확보해, 자율 이동 로봇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이번 현장에 등장한 타우저(Thouzer)는 일본 소재 로봇 제조사 두그가 개발한 유·무인 스마트 물류 로봇이다. 마로로봇테크와 두그는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타우저를 국내에 보급하고, 마로로봇테크는 각 현장에 최적화된 SI 설계를 적용하는 중이다.

 

타우저는 공장·물류센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자율적으로 이동하며, 물품을 운반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QR 코드 인식과 SLAM 기술을 기반으로, 주변 환경을 스스로 인지한다. 또 지도를 생성해 복잡한 공간에서도 정밀하고 안전하게 장애물을 회피하며 주행한다. 최대 속도는 7.5km/h며, 최대 20km까지 운행할 수 있다. 0~100%까지 최대 8시간 안에 완전 충전을 지원한다.

 

특히 메모리 추정(Memory Trace) 기능은 사용자가 수동 또는 추종 모드(Follow-me)로 이동시킨 경로를 기억하고, 이후 그 경로를 스스로 재현하며 주행하는 기술이다. 쉽게 말해, 사용자가 로봇을 원하는 경로로 최초 운행한 후 로봇이 이동 경로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어 로봇은 학습된 경로를 자율적으로 반복 주행하게 된다.

 

이 로봇은 최대 1톤(t)까지의 운반 가반하중을 토대로, 소형 부품부터 중량물까지 폭넓은 물류 자동화에 적용 가능하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