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생산성 1%의 위대함' 업스테이지 LLM으로 바꾸는 일의 미래

URL복사

 

산업 맞춤형 소형언어모델에 집중해 문서 중심 업무 자동화 추진

 

업스테이지 김성훈 대표가 "2025년은 AI가 거의 모든 영역에서 인간을 넘어서는 해가 될 것이다. 이에 우리는 고성능의 엔진을 기반으로 '일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업스테이지가 16일인 오늘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개최한 미디어 데이를 열고, 산업 전반의 업무 자동화 혁신과 글로벌 확장을 향한 전략을 밝혔다. 이날 업스테이지는 문서 기반의 AI 기술력과 산업 특화 소형언어모델(SLM) 경쟁력을 바탕으로 ‘일의 미래(Future of Work)’를 앞당기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김성훈 대표, 이활석 CTO 등 주요 임원진이 참석했다. 

 

김성훈 대표는 발표에서 “AI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업무가 사람 손을 거쳐 이뤄지고 있다”며 “경제활동인구의 업무 생산성이 단 1%만 향상돼도 연간 14조 원의 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AI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산업 전체의 업무 구조를 혁신할 핵심 인프라임을 언급했다.

 

업스테이지는 그간 독자 개발한 문서 처리 AI ‘다큐먼트 파스(DP)’와 한국어에 최적화한 거대언어모델(LLM) ‘솔라(SOLAR)’를 활용해 문서 중심 업무의 자동화를 구현해 왔다. 특히 파이차트를 표 형식으로 재구성하는 등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정보를 전환하는 기능은 국내 금융권을 중심으로 높은 수요를 기록하고 있다.

 

업스테이지의 경쟁력은 범용 LLM이 아닌 산업 맞춤형 소형언어모델에 있다. GPU 한 장으로도 구동 가능한 경량 모델 개발에 성공했으며, 허깅페이스 랭킹에서 3위를 기록한 바 있다. 4월 공개된 ‘솔라 프로 1.3’은 GPT-4o나 클로드 3.5와 비교해도 한국어 처리 성능에서 경쟁력을 갖췄으며, 6월에는 330억 개(33B) 사이즈로 확장한 ‘솔라 프로 1.5’ 버전과 오픈AI o 시리즈, 딥시크 R1에 준하는 생각 사슬(CoT)을 구현한 첫 추론 모델도 공개할 것으로 밝혔다.

 

업스테이지는 OCR과 LLM을 융합한 멀티모달 모델 ‘솔라DocVLLM’도 오는 6월 공개를 예고했다. 이 모델은 문서에서 주요 정보를 추출하고 보고서를 자동 작성하는 과정을 단일 플랫폼에서 처리하며, 실제 테스트 결과는 메타의 ‘라마 4 스카우트’나 구글 ‘제미나이 2.5 프로’를 능가하는 정확도를 보였다. 이는 단순한 기술 시연을 넘어 다양한 기업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질적 해법으로 기대를 모은다.

 

 

실제 적용 사례도 빠르게 확대됐다. AI 교열 시스템을 구축한 조선일보, 법률 특화 LLM을 개발한 로앤컴퍼니, 업무지원 플랫폼 ‘한컴 어시스턴스’, A 증권사의 생성형 AI 플랫폼, A 생명사의 수술보험금 지급심사 자동화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250억 원 규모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약 5배 증가한 수치로 AI 기술의 실질적 수익화 가능성을 입증한 셈이다.

 

김성훈 대표는 글로벌 확장에 대한 포부도 밝혔다. 업스테이지는 태국 지역에 태국어 특화 LLM을 공급하며 국내 최초의 해외 소버린 AI 구축 사례를 만들었다. 이와 함께 약 1년간의 준비 끝에 일본 도쿄에 현지 사무소를 개소하고, 현지 특화 LLM 및 파트너십 확대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마츠시타 히로유키(Hiroyuki Matsushita) 업스테이지 일본 법인장은 “일본은 경량 모델 중심의 전략을 추진 중이지만, 업스테이지는 고성능 모델로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며, “한국에서 입증된 기술력과 일본어 최적화로 AI 생태계의 중심이 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일본 파트너사 카라쿠리와 함께 일본어 특화 모델 'Syn'을 선보였고, 규슈 지역 진출을 위해 Fusic과의 전략적 파트너십도 진행 중이다.

 

생태계 확장을 위한 투자도 병행되고 있다. AWS와 공동으로 공익적 AI 프로젝트 ‘AI 이니셔티브’를 출범했으며, 국내외 대학과 해커톤 및 공동 연구를 통해 AI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김성훈 대표는 “업스테이지의 AI는 사람을 대체하는 기술이 아니라, 사람을 더 창의적인 업무로 이끄는 도구”라며, “우리는 한국에서 검증된 업무용 AI의 표준을 글로벌로 확산시키고, 그것이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증명하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