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공 솔루션 업체 슈말츠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진공 기반 자동화 기술로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독일 소재 슈말츠는 진공 자동화·핸들링 원천기술을 보유했다.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자동차·전기전자·물류·식음료(F&B)·우주항공·목재 등 다양한 영역에 진공 기술을 전파해왔다. 지금까지 진공 자동화 부품, 진공 리프터·크레인, 로봇팔 종단장치(EOAT) 등을 개발·생산했다. 지난해 11월에는 핑거 그리퍼 ‘엠그립(mGrip)’을 출시하고, 비즈니스 순항을 알렸다. 지난 2005년 설립된 한국 지사를 통해 국내 시장에서도 활발한 활약을 전개하고 있다. 슈말츠는 이번 AW 2025 전시장에
소프트로보틱스社 핑거 그리퍼 엠그립 사업 부문 인수 핑거 그리퍼 하드웨어, 기술 데이터, 특허, 원천기술 등 확보 “기술 지원 강화해 한국 시장에 기술 최적화할 것” 슈말츠가 지난 5일 미국 자동화 솔루션 업체 소프트로보틱스(Soft Robotics)의 핑거 그리퍼 사업 부문 ‘엠그립(mGrip)’을 인수했다. 슈말츠는 이번 인수를 통해 엠그립 제품군을 비롯해 기술 데이터, 특허, 원천기술 등 엠그립의 핑거 그리퍼 전반을 흡수하게 됐다. 여기에 미국 메사추세츠주 보스턴 소재 소프트로보틱스 생산 시설도 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기반으로 식음료(F&B) 핸들링 산업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엠그립은 모듈식 설계를 통해 유연한 구동이 가능하고, 사용자 요구사항에 맞춰 구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제과·과일·채소·육류·어류 등 작업물을 정밀하게 다루도록 다양한 옵션이 갖춰져 F&B 산업의 위생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 쿠르트 슈말츠(Kurt Schmalz) 슈말츠 회장은 “엠그립의 새로운 핑거 그리퍼 포트폴리오를 통해 식품 핸들링 자동화 공정에 최적화된 핑거 그리퍼 솔루션을 제공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정만석 슈말츠코리아 대표이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