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인간 영역에 파고든지 약 반세기가량이 지났다. 여기에 시발점을 마련한 로봇 형태가 바로 ‘산업용 로봇’이다. 산업용 로봇은 단순 반복 작업에서 인간을 대체하며 수차례에 걸친 산업혁명을 경험했다. 특히 소품종 대량생산 시스템의 꽃으로 인식되는 만큼, 제조업에서 다양한 레퍼런스를 축적하며 활약했다. 이러한 흐름은 10여 년 전부터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로봇의 활약 무대가 조금씩 확장되면서 촉발된 현상인데, 이 시점부터 로봇은 물류·서비스·의료·농업·식음료(F&B) 등 분야로 진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인운반차(AGV), 자율주행로봇(AMR), 서비스 로봇, 드론 등 새로운 형태로 로봇 형태가 다양화됐다. 이러한 차세대 로봇은 인공지능(AI)·빅데이터·정보통신기술(ICT)·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등 차세대 기술을 한데 업고 새로운 혁신으로의 도약을 앞두고 있다. 이 양상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로봇 중 하나가 협동로봇(Cobot)이다. 협동로봇은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로봇’이라는 콘셉트를 정립한 로봇 플랫폼이다. ‘작업자 안전 확보’를 테마로 한 산업안전 인식을 확산시킨 주체기도 하다. 협동로봇은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로의 전환이
킴 포블슨 CEO 최초 방한...협력체계 강화 의지 피력해 “미·중 이어 한국에 글로벌 서비스센터 구축할 것” 파트너십 생태계, 기술력, 품질·성능, 소프트웨어 역량 등 강조...터닝포인트로 ‘폴리스코프 X’ 지목해 우리나라는 로봇 도입에 적극적인 시장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특히 제조업에서 그 양상이 뚜렷하다.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제조 현장에 배치된 로봇은 총 400만 대로, 한국은 ‘로봇 밀도(Robot Density)’ 측면에서 1위를 차지한 국가다. 여기서 로봇 밀도는 작업자 1만 명을 기준으로 사용하는 로봇 대수를 평가하는 지표다. 우리나라는 지난 2023년 로봇 밀도 1012대를 기록하며 싱가포르 770대, 중국 470대를 크게 따돌리고 독보적인 선두를 달리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8조 원이 넘는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협동로봇(Collaborative Robot, 이하 코봇)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형국이다. 자동차·전기전자·반도체·이차전지 등 제조 분야를 비롯해, 조선·항공우주·농업·의료·서비스 등 현장에서 코봇 도입률을 크게 늘리고 있다. 이에 전 세계 코봇 시장점유율 40%에 달하는 유니
‘코봇 이노베이션 포럼’서 협동로봇 혁신 전략 ‘대공개’...솔루션, 도입 사례, 지속가능 전략 총망라 “협력 생태계 구축, 인력 양성, 레퍼런스 확장이 혁신 가속화할 것” 협동로봇(Collaborative Robot, 이하 코봇)은 명칭 그대로 인간과 협력하는 로봇이다. 안전용 울타리(Fence)를 필수로 갖춰야 했던 산업용 로봇과 달리 작업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으로, 제조·물류·서비스 등 산업에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코봇은 산업 자동화 영역에서 공고히 유지된 산업용 로봇의 점유율을 양분하는 중이다. 그만큼 다양한 산업에서 코봇에 대한 요구사항이 증가하는 추세로 풀이된다. 국제로봇연맹(IFR)이 주목한 올해 5대 글로벌 로봇 기술 동향에 ‘코봇 애플리케이션 확장’이 한 축을 담당할 만큼 코봇에 대한 기대감이 남다르다. 글로벌 코봇 시장은 지난 2015년부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주춤했던 2020년을 제외하고, 매년 연평균 성장률(CAGR) 10~20%를 기록하며 순항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높은 수준으로 투자가 이어지고 있고, 시장 내 경쟁이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덴마크 소재 글로벌 코봇 솔루션 업체 유니버설로봇(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