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버설 디스플레이 코퍼레이션(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이하 UDC)가 PPG와 아일랜드 클레어 주 섀넌에 최첨단 OLED 제조시설을 설립했다고 19일 밝혔다. 신규 제조시설은 성장하는 OLED 시장 수요에 발맞춰 UDC의 에너지 효율적인 인광 OLED 발광재료의 생산력을 두 배로 늘리고 글로벌 제조 기반을 다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UDC는 천만 유로(약 145억 원)를 초기 투자하고 향후 수백만 유로 규모의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단계적인 확장을 이뤄 나간다는 방침이다. PPG는 신규 제조시설에서 UDC의 고효율·고성능 유니버설PHOLED 소재를 생산하게 된다. 현재 50명의 직원이 이 제조시설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추가 투자가 진행됨에 따라 엔지니어, 운영, 공급망, 합성 화학 및 분석 기술 인력 등을 포함해 최대 10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PPG는 2000년부터 UDC의 인광 OLED 에미터(emitter) 소재를 독점 제조하고 있다. 이번 섀넌 제조시설 또한 양사 간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PPG는 기존의 펜실베니아 주 먼로빌과 오하이오 주 바버튼에 이어 아일랜드 섀넌에도 OLED 제조시설을
유니버설 PHOLED 소재 및 기술로 에너지 효율적인 디스플레이와 조명을 구현하는 유니버설 디스플레이 코퍼레이션(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이하 UDC)이 2023 OLED 코리아 컨퍼런스에 후원사로 참여해 세션 발표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시장조사기관 유비리서치가 주최하는 2023 OLED 코리아 컨퍼런스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인천 송도 센트럴파크 호텔에서 개최된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UDC의 비즈니스 개발 담당 부사장인 마이크 핵 박사가 연사로 나서 행사 마지막 날 'UDC의 최신 인광유기발광다이오드(PHOLED) 기술 개발 현황'을 주제로 발표를 갖는다. 특히 마이크 핵 박사는 UDC의 인광 및 플라스모닉 PHOLED 기술은 물론, 고효율 OLED TV를 위한 UDC의 새로운 드라이 프린팅 공정인 OVJP(유기기상제트프린팅) 등에 걸친 획기적인 연구성과를 포함한 기술 로드맵과 연구개발(R&D) 프로그램 전반을 공유할 예정이다. 스티븐 V 에이브럼슨 UDC 사장 겸 CEO는 "UDC가 참여하고 후원하는 이번 OLED 코리아는 UDC의 R&D 프로그램에 대한 최신 현황을 공유하고 한국 내 주요 업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LG디스플레이가 국내·외 소재/부품 주요 협력사들과 미래기술 개발에 대한 협력을 통해 상호 신뢰를 강화키로 했다. LG디스플레이는 머크, UDC, 동진쎄미켐 등 디스플레이 소재 및 부품 각 분야에서 국내·외 주요 협력사 23개사를 초청, 10월 12일부터 15일까지 '2021 테크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10회째를 맞이한 2021 테크포럼에서 LG디스플레이는 코로나 이후 디스플레이의 변화와 진화, 제품 경쟁력 확보와 기술 혁신을 위한 R&D 전략과 비전 등을 소통하고 함께 성공할 수 있는 Win-Win 체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대형 OLED 및 P-OLED 중장기 기술 로드맵, 미래 디스플레이 R&D 전략 등을 공유하며 주요 협력사와 미래핵심기술 관련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추진키로 했다. 이번 테크포럼은 코로나로 인해 온택트(on-tact) 방식으로 실시되며, 테크포럼 기간 중 ‘테크포럼 웹진’을 발행, 시장 및 R&D 방향성 강연, 사전 질의응답 등을 운영해 주요 협력사들의 글로벌 제조경쟁력 강화에 도움을 제공한다. LG디스플레이 CTO 윤수영 전무는 이날 테크포럼에서 “한계를 뛰어넘는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