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타카에 소형 물류 로봇 ‘RBM-S100’ 공급한다...물류 자동화 기반 효율 극대화 도전 “피킹 작업 속도 30% 향상 기대...맞춤형 로봇 개발·공급 박차 가할 것” 레인보우로보틱스가 통합 물류 플랫폼 업체 테크타카와 본격 협력한다. 양사는 물류 자동화 사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물류센터 현장에 최적화된 운영 솔루션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소형 물류 로봇 ‘RBM-S100’ 5대를 테크타카 현장에 배치해 개념증명(PoC)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해당 기체 30대를 이달 안에 추가 공급할 계획이다. RBM-S100은 a·b 두 가지 타입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a 모델은 가로 510mm, 세로 510mm, 높이 1250mm로 설계된 소형 크기로, 좁은 공간에서도 활약 가능한 기체다. 최대 가반하중 120kg의 성능을 보유했고, 정확한 위치를 인식하는 3D 라이다(LiDAR) 기술을 차용해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한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이 같은 물류현장 특화 모바일 로봇을 개발·공급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현장 최적화를 위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 프로토콜을
성태호 지사장, 지난 8년 가성비 있는 제품과 솔루션으로 국내 산업발전에 기여 평가 뉴랜드 코리아가 한국 시장에 첫 발을 내딛은 지 8년이 지났다. 자동인식산업(AIDC) 분야에서 이제는 친숙한 이름이 된 뉴랜드는 그동안 가성비 높은 제품을 꾸준히 공급하며 산업 발전에 기여해왔다. SCM FAIR 2024에서 선보인 최신 산업용 스캐너와 PDA 제품군을 통해 뉴랜드는 한층 더 발전된 기술력과 확장된 제품 라인업을 자랑하고 있다. 향후에도 뉴랜드는 기술력에 기반한 제품과 전략으로, 고객과 파트너사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뉴랜드코리아 성태호 지사장을 만나 8주년의 의미와 함께 앞으로의 각오에 대해 들어봤다. Q. 뉴랜드가 한국에 지사를 설립한 지 올해로 8주년을 맞이했습니다. 감회가 남다를 것 같은데요. A. 그렇습니다. 세월이 무척 빠르게 흘렀습니다. 세월의 흐름과 더불어 뉴랜드 코리아도 차근차근 성장을 거듭해 왔고 수많은 고객사와 파트너사들과 함께 일할 수 있어서 무척 감사한 시간들이었습니다. 나름 가성비 높은 제품을 국내에 공급함으로써 고객사들에게 조금이나마 일조할 수 있었다는 데에 보람을 느낍니다. Q. 이
뉴랜드 제품군 소비자 직접 소개 통해 국내 시장 인지도 확대 뉴랜드 AIDC의 한국 지사인 뉴랜드코리아는 10월 12일부터 14일까지 경 개최되는 'SCM 페어 2022'에 참가하여 뉴랜드 AIDC의 첨단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인다. 뉴랜드코리아는 2016년 8월에 설립되었으며 한국 시장에서 성능이 뛰어난 솔루션을 공급하는 선도적 AIDC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뉴랜드코리아는 AIDC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인 뉴랜드 AIDC가 올해 하반기에 출시할 예정인 스캔엔진 EM3088-W를 비롯해 탁상형 스캐너인 FR42, 모바일 컴퓨터인 MT95, 고정형 바코드리더인 FM510, FM515 등 다양한 제품들을 선보인다. 이 가운데 EM3088-W는 바이오테스트나 보딩 패스 및 티켓 검증용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좌우측으로 2개의 일루미네이션을 장착해 어두운 환경에서도 훌륭한 성능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뉴랜드의 스캔엔진 중 가장 넓은 화각을 제공하며, 가로로 넓은 1D 바코드 및 고밀도 2D바코드를 근거리에서 정확히 스캔할 수 있다. 탁상형 스캐너인 FR42는 현대적인 디자인의 데스크톱 스캐너로 특히 매장 POS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인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쿠팡이 물류센터에 로봇 등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직원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있다. 주문된 물건을 옮기고 포장 및 출고하는 등 일부 물류센터 업무 전 과정에 적용된 쿠팡의 자동화 기술들이 때문이다. 쿠팡 물류센터에 도입된 자동화 기술을 살펴보면, 넓은 물류센터 내에서 이동할 때는 직원 별로 지급된 개인 PDA가 가장 가까운 동선을 알려줘 길을 잃거나 헤맬 염려가 없다. 주문된 물건을 배송하기 위한 작업에는 로봇이 등장한다. 선반에 보관 중인 물건을 로봇이 직접 픽업해 바닥에 있는 바코드를 읽으며 포장 및 송장을 붙이기 위한 작업대까지 옮겨준다. 이동 중에는 로봇 앞에 장착된 장애물 감지 센서가 로봇끼리 충돌을 막아준다. 작업대에 도착한 로봇은 블루 라이트를 통해 배송할 물건이 어느 칸에 있는지 표시해 줘 물건을 찾는 시간도 덜어준다. 자동화 기술은 작업대에서도 직원들의 업무를 지원한다. 물건을 포장할 때는 자동으로 나오는 포장백에 간단하게 물건만 넣으면 돼 일일이 플라스틱 백을 손으로 열고 닫는 과정이 필요 없다. 부피가 큰 물건의 경우 기계가 자동으로 송장을 붙여준다. 작업이 끝난 물품은 레이저 터널을 지나며 스캔 된 후 지역별로 자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한국하니웰이 Voice solution 전담 인원을 배치하면서 본격적으로 국내에서 voice picking 기술을 통한 시장 공략에 나선다. 글로벌 voice 전문업체인 보콜렉트를 인수한 후 국내에서는 협력사와 함께 몇몇 프로젝트를 통해 voice picking 기술이 선보인 바는 있다. 한국하니웰에 따르면, voice picking 기술을 도입한 대부분 업체에서 12개월 이내의 ROI를 달성하였으며, 창고 내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고정식 설비에 비해 유연하고 신규 작업자의 트레이닝 시간이 60% 이상 단축됐다. 한국하니웰은 현재 보이스 피킹 시스템 도입 논의가 가장 활발한 산업 영역인 이커머스와 식품 시장을 집중 공략할 계획이다. 한국하니웰 정연욱 차장과 진행한 인터뷰를 정리했다. 질문. 하니웰이 voice 전문업체인 보콜렉트를 인수한 지는 꽤 흐른 것으로 알고 있다. 여전히 voice picking 기술에 대해 단순히 음성인식 기술정도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정확하게 어떤 기술인가? 답변. 물류창고나 유통센터에서 피킹 작업자의 생산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음성 프로세스라고 보면 된다. 작업자는 음성 인식&합성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뉴랜드(Newland) AIDC는 뉴랜드(Newland) 그룹의 일원으로서 AIDC에 특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Top5에 속하는 회사다. Newland Korea는 2016년 8월 한국에 설립되었으며 한국시장의 수많은 고객들에게 가성비 뛰어난 솔루션을 공급하는 명실상부한 선도적 AIDC회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Q. 2021년을 돌아봤을 때 주요 성과와 아쉬웠던 점을 꼽는다면 무엇이 있나? A. 이미 2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의 엄혹한 상황 가운데서도 뉴랜드와 파트너사들은 합심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고객들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전년대비 꾸준한 성장을 이루어 내고 있다. 다만, 세계적인 원자재 수급의 어려움과 가격상승으로 인해 제품 인도기간의 불안정이 있었지만, 치밀한 원자재 수급계획과 신속한 대체 원자재 발굴을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그러한 각고의 노력으로 특히 무선 스캐너 제품의 수급에 있어 여타 경쟁사에 비해 훨씬 안정적인 제품 수급을 가능하게 하였다. Q. 뉴랜드는 인더스트리 4.0, 스마트제조의 영역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나? A. 4차 산업시대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데이터로직이 7월 1일 한국 파트너사와 '2021 Partner Summit'을 진행했다. 데이터로직은 이탈리아 볼로냐에 본사를 둔 자동 데이터 캡처 및 공장 자동화 시장에서 바코드 판독기, 모바일 컴퓨터, 감지, 측정 및 안전용 센서, 비전 및 레이저 마킹 시스템의 설계 및 생산 전문 기업이다. 즉, 자동 데이터 캡처를 통한 이력관리를 위한 마킹부터 판독까지 Total Solution Provider로 자리잡고 있다. 2021 데이터로직-파트너사와의 협력 7월 1일 인터컨티넨탈 코엑스 호텔에서 국내 10여 개의 파트너사들과 '2021 Partner Summit'을 통해 데이터로직의 올해 사업 방향, 신제품, 산업 동향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다. 온라인 영상으로 한국 파트너들에게 인사를 전한 Valentina Volta Group CEO는 "데이터로직은 고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파트너사와 함께 미래를 이겨낼 것이다"라고 말했다. 데이터로직의 최형탁 지사장도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강조했다. 데이터로직의 2021년 슬로건은 'winning the future together'다. 슬로건의 의미와 같이 데이터로직은 코로나19로 매출이 주춤했
[헬로티] 대신정보통신(주)는 ‘국제물류산업대전 2021’에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스마트 PDA를 선보였다. ▲국제물류산업대전에 참가한 대신정보통신(주) 전경 (출처 : 첨단) 대신정보통신(주)는 도·소매장, 물류 센터, 운송, 헬스케어 및 국방 분야에서 영업 및 자재관리, 출입 관리 및 위치추적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스마트 PDA 제조 기업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26개국의 글로벌 파트너들과 함께 생산 관리, 물류 관리, 재물 조사, 창고 관리, 모바일 마케팅 자동화, 환대 산업의 서비스 가능한 기업용 모빌리티를 공급하고 있다. ▲DS6 (출처 : 첨단) 대신정보통신의 DS6는 우정사업본부의 우편업무용 PDA로 공급되고 있다. 현재 전국 18000여 대가 도입됐다. 대신정보통신 관계자는 우정사업본부에서 요구하는 까다로운 조건에 자사의 DS6 PDA가 충족했다고 밝혔다. 선정된 이유로는 업무 시간 단축을 꼽았다. 집배원은 일일이 택배의 바코드를 스캔하며 정보가 일치한 지 확인해야 했다. 기존의 일직선의 PDA들은 스캔하고 다시금 단말기를 들어 올려 택배의 정보가 일치한 지 화면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대신정보통신의 DS6는 일직선이 아닌
[헬로티] 솔바텍과 손잡고 해외 시장에서 검증된 제품 통해 국내 시장 본격 공략 나서 해외 시장에서 검증된 젠투웨이브가 솔바텍과 손잡고 국내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그동안 일부 채널을 통해 국내 시장에 제품이 유통돼 오긴 했지만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총판 파트너와 함께 본격적으로 국내 시장에 발을 들여놓은 것은 12년 만이다. 국내 업체와 글로벌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한 국내 산업용PDA 및 태블릿 시장에서 젠투웨이브가 얼마나 선전할지 벌써부터 궁금하다. 젠투웨이브 이찬호 대표와 인터뷰를 통해 해외 시장에서의 입지와 그동안의 성과, 그리고 국내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사진1. 젠투웨이브 이찬호 대표이사 Q. 젠투웨이브 어떤 회사인가? A. 젠투웨이브는 국내 고객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제조사입니다. 2009년 설립 이후 해외 수출에만 주력해왔기 때문입니다. 해외에서는 특히 유럽과 남미에서 상당한 인지도와 신뢰도를 쌓아 왔습니다. 젠투웨이브는 산업현장과 군/경찰 업무에서 주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를 개발 제조하는 전문기업입니다. 이들 단말기들은 현장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자동인식기능이 구현되어 있습니다. 특히, 젠투웨이브는 바코드부터
[헬로티] (주)포인트모바일 강삼권 대표가 (사)한국자동인식산업협회에서 수여하는 '2020년 올해의 자동인식인 상'을 수상했다.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회장 송준원, 이하 KAIIA)는 지난 18일 서울 금천구 가산동에 위치한 포인트모바일에서 2021년 정기이사회를 개최하는 자리에서 2020년 올해의 자동인식인 상을 수여했다. 산업용 PDA 제조업체로 2006년 출범한 포인트모바일은 2012년까지는 OEM과 ODM에 주력하면서 차별화된 기술력과 경험, 노하우를 쌓았고, 2013년부터는 자체브랜드를 출시하고 전세계 시장으로 수출하기 시작했다. 검증된 실력으로 국내외 PDA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온 포인트모바일은 지난해 12월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다. 사진. 포인트모바일 강삼권 대표(좌)가 (사)한국자동인식산업협회 송준원 회장으로붵 올해의 자동인식인 상을 수상하고 있다. 포인트모바일 강삼권 대표는 "올해의 자동인식인 상을 수상하게 돼 영광이다. 자동인식 기술은 다양한 현장의 산업영역에서 중요한 기술"이라며 "국내 자동인식산업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자동인식산업협회 송준원 협회장은 "포인트모바일이 협회 회원사로써 코스
[첨단 헬로티] 스캐닝 솔루션, OEM 스캔 엔진, 모바일 컴퓨터 등 신제품 대거 소개 뉴랜드 한국지사는 국내 총판사인 유니정보와 함께 지난 4월 10일 서울 구로에 위치한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구로호텔에서 뉴랜드데이(Newland Day) 2019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자동인식 분야의 세계적인 선두기업 뉴랜드 Auto-ID에서 검증된 신뢰성을 기반으로 개발한 새로운 개념의 모빌리티, 스캐너 솔루션 및 OEM 스캔엔진이 대거 소개됐다. 뉴랜드가 치열한 글로벌 AIDC 시장에서 주목받을 수 있었던 대표적인 제품은 스캐너 솔루션이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휴대형 바코드 스캐너 HR1580-BT 1D 블루투스 스캐너는 Bluetooth 5.0 기반으로 뉴랜드 콘픽 설정 툴 'EasySet'을 지원하고, 스캐너 거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충전/무선 통신 크래들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최대 50m의 블루투스 무선 통신 거리를 지원한다. 사진1. 뉴랜드 한국지사는 국내 총판사인 유니정보와 함께 지난 4월 10일 서울 구로에 위치한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구로호텔에서 뉴랜드데이(Newland Day) 2019를 개최했다. 성태호 지사장이 인사말씀을 전하고 있다. 뉴랜
[첨단 헬로티] RFID 전문업체인 에이펄스테크는 9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사물인터넷국제전시회에 참가해 a811 RFID 리더 등 차별화된 RFID 제품을 선보였다. 일체형 Handheld PDA인 a811 RFID 리더는 현재 RFID의 일체형 PDA에 가장 작업자가 사용이 편리한 장비다. RFID의 핵심 기능인 멀티 인식과 인식거리가 우수하다. 기업이 RFID을 적용한 후에, 유지 보수하기 가장 편한 장비인 a811 RFID 리더는 우수한 확장기능으로 USB RFID 동글, 바코드 리더, NFC 기능 모두를 하나의 장비를 사용하면서, DeskTop(MS OS)에서도 한 장비로 통합관리가 가능하다. 에이펄스테크는 RFID 관련된 비즈니스에 20년 동안의 경험으로 RFID 휴대형 리더를 제조 개발하고 있다. 이번 사물인터넷국제전시회에서는 국내외 200여개 기업이 참가하여 개인 생활, 가정, 공공 서비스, 산업 현장 등 다양한 분야의 사물인터넷 서비스와 제품을 소개한다. 전 세계 45개국에서 약 2만 3천여명이 참관할 것으로 예상된다. 9월 10일(월)부터 21일(금)까지 개최되는 IoT진흥주간은 ‘사물인터넷, 생각을 넘어
[첨단 헬로티] "보이스 솔루션은 물류현장에서 생산성, 정확성, 용이성, 안정성, 가시성, 유연성의 효과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이다" 한국하니웰이 오는 28일 '보이스를 활용한 물류경쟁력 강화' 웨비나를 통해 이같은 특장점을 갖고 있는 보콜렉트 음성기반 솔루션을 소개한다. 한국하니웰에 따르면, 물류현장의 피킹시 에러발생의 요인은 상품누락, 다른 상품 피킹, 수량 오류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문제를 보콜렉트의 음성기반 솔루션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보콜렉트의 음성 기술은 데이터 시스템 통합을 위한 헤드셋을 포함한 통합 토탈 솔루션으로, 까다로운 산업환경에 최적화된 음성인식 기술 플랫폼을 제공한다. 창고 관리자는 중앙 관리 콘솔로부터 예정보다 앞서 있는 작업자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창고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해 작업을 함으로써 효율성을 더할 수 있다. 근로자는 작업을 하는데 있어 종이나 스크린을 읽기 위해 멈출 필요가 없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음성기술의 직관적인 특성으로 근로자는 자율적으로 일할 수 있다. 특히, 현재 물류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DPS 및 DAS, PDA 보다 보콜렉트의 음성기반 솔루션이 갖는 장점이 크다는 분석
[첨단 헬로티] 휴대형 스캐너, 모바일컴퓨터, 차량용 탑재 컴퓨터, 평판 스캐너 등 잇따라 출시 데이터로직이 올 하반기 물류센터, 매장, 그리고 제조현장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차별화된 신제품을 내놨다. 이들 제품들은 데이터로직의 여러 특허기술이 녹아 있어 성능면에서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가격 및 성능에서 평준화 되어 가는 각 영역에서 이들 제품들이 어떤 활약을 펼칠지 주목된다. 미래 지향적 스캐너 ‘QuickScan Lite QW2400’ 데이터로직은 QuickScan Lite QW2400 2D 에어리어 이미저를 도입하여 QuickScan 제품군을 더욱 확장했다. 이 미래 지향적인 스캐너는 스마트폰 화면에서 모바일 쿠폰을 읽는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소매점의 스캐닝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탁월한 선택 뿐만 아니라 은행, 금융 및 보험 기관의 문서 및 청구 처리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QuickScan Lite QW2400 스캐너는 근거리에서 그리고 다른 스캐닝 각도에서 더 큰 2D 코드 뿐만 아니라 까다로운 또는 잘린 1D 코드를 캡처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헬로티] PDA 제조 17년 노하우를 담은 라인업과 고객의 업무 환경에 최적화된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며 산업용 PDA의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M3모바일. 품질과 기술력으로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 시장에서도 인정받으며 오는 9월 SM10 모델의 업그레이드 버전 ‘SM10 LTE’ 출시를 앞두고 큰 기대를 하고 있다. Q. M3모바일의 활동이 최근 들어 눈에 띄고 있던데요. (웃음) M3모바일(이후 엠쓰리모바일)은 산업용 PDA를 제조하는 업체로 2000년 설립된 이래 기술력과 품질을 인정받아 국내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높은 인지도를 구축하고 있는 게 사실이지요. 이를 바탕으로 해외 사업에 진출하여 해외에서도 큰 인기를 끌며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수출로 '1천만불 수출의 탑'을 받을 정도로 세계 시장에서 M3의 기술력과 품질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Q. 제품 라인업과 제품의 경쟁력은 무엇인지요. 엠쓰리모바일은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통해 고객이 요구하는 업무 환경에 최적화된 다양한 제품 공급이 가능합니다. 최신 안드로이드 OS를 탑재한 풀터치 스마트폰형 SM10, 다양한 터미널 에뮬레이터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