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사이버 레질리언스 확보를 위한 보안기술 개발 과제’에 참여한다. 이 과제는 공공 안전 서비스 분야에서 사람을 대신해 고난도 임무를 수행하는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보안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안랩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 공동연구개발기관이 개발한 로봇 보안기술 실증(PoC), 실증된 기술을 통합한 로봇 보안 프레임워크 개발, 로봇 보안 솔루션 기획 및 사업화를 수행할 예정이다. 안랩 컨버전스개발실 한태수 실장은 “안전한 국가 사이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에 참여하게 되어 뜻깊다”며 “안랩의 보안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차세대 로봇 보안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 전했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교육 실습 플랫폼 기업 엘리스그룹이 지난 6일 열린 '디지털 인재 얼라이언스 총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표창은 '디지털 인재 리더스클럽' 선정 우수기업에게 수여됐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디지털 인재 얼라이언스는 지난 9월 자체 디지털 교육과정 운영으로 디지털 인재 양성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우수 기업을 '제1호 디지털 인재 리더스클럽'으로 선정했다. 리더스클럽 선정 기업은 디지털 인재 양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장관 표창을 받게 됐다. 엘리스그룹은 초·중·고교 SW·AI 교육 프로그램인 디지털새싹 캠프 운영을 통해 4300여명의 미래 인재를 양성 중이며, K-디지털 트레이닝 프로그램으로 1300여명의 청년 디지털 인재를 배출했다. 또한 정부 부처, 기업, 기관의 디지털 전환(DX) 교육을 기획 및 운영하며 학습이수자 1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전국민 디지털인재 양성을 이끌고 있다. 이날 총회에서 김재원 엘리스그룹 대표는 발표자로 나서 '전국민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 대상별 추진 전략을 소개했다. 김 대표는 "AI 기반의 교육 실습 플랫폼 엘리스LXP를 활용한 실습 중심의 SW∙AI 교육으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5일 부산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국립수산과학원(수산과학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디지털 해양수산 신성장 전략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정보통신기술(ICT) 핵심기술을 통해 해양수산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고 신성장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자리로, 국내 디지털 해양·수산 분야 전문기관들이 디지털 신성장 협력을 모색하기 위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댔다. 포럼 1부에서는 KIOST가 '디지털트윈 기술을 이용한 해양공간 개발'에 대한 내용을, ETRI가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최적의 양식장 운영플랫폼 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이어 수산과학원이 '양식산업의 디지털 추진을 위한 스마트 양식 구축 목표, 전략 및 향후 계획' 등 해양수산의 포괄적 디지털 추진 계획을 발표했고, IITP가 '해양수산분야 디지털트윈 R&D 비전'을 발표했다. 2부에서는 '디지털 선도를 위한 해양수산 미래 대응 전략'을 주제로 관련 기관장과 기업대표가 토론을 펼쳤다. 이번 포럼을 공동 주최한 IITP 전성배 원장, 수산과학원 우동식 원장, KIOST 김웅서 원장, ETRI 김형준 소장은 "앞으로 해
헬로티 김진희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디지털 뉴딜의 핵심인 디지털 트윈 분야의 올해 사업 성과와 내년 사업 추진방향을 공유하기 위한 ‘디지털 트윈 커넥트 데이(Connect Day)’ 행사를 온라인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트윈 커넥트 데이’는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공동 주관했으며,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과기정통부 유튜브와 네이버TV 및 NIPA 카카오TV 등 온라인으로 생중계됐다. 지난 9월 6일 ‘디지털 트윈 활성화 전략’ 발표 이후 디지털 트윈 범부처 행사로는 처음 개최된 이번 커넥트 데이에는 국토교통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복건복지부, 산림청 등 관계부처가 동참했다. 행사는 올해 사업성과 보고와 내년 사업설명회 등 두 개의 세션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소·부·장 기업에 디지털 트윈을 적용해 불량률 개선과 생산비용 절감 등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킨 제조산업 혁신 사업 ▲통신·전력·상수도 등이 지나는 시설인 지하 공동구의 화재·재난에 대응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 기술 개발 사업 등 올해 과기정통부 사업 성과보고가 이뤄졌다. 두 번째
[첨단 헬로티] 2018 사물인터넷 기술 및 융합서비스 워크숍 개최 사물인터넷융합포럼(IoTF)과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11월 29일(~30일), 제주도 대명리조트에서 ‘2018 사물인터넷 기술 및 융합서비스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정부의 사물인터넷(IoT) 관련 추진 사업과 R&D 사업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뤘다. 특히 IoT 분야 네트워크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는 통신3사의 2019년 IoT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서도 살펴보는 시간이 마련됐다. 워크숍은 트랙1과 2로 나눠 진행됐다. 트랙1에서는 ‘정부의 IoT 관련 추진 사업 및 글로벌 시장 동향’이라는 주제로 ▲IoT 신산업 육성선도 사업 추진 현황(NIPA 송자영 수석) ▲IoT 분야 TTA 표준 현황과 적용 사례(TTA 강석규 팀장) ▲정부의 스마트시티 사업 소개(스마트시티 국가전략 프로젝트 사업단 유영화 부단장) ▲IoT 관련 글로벌 칩 시장 동향(셈텍코리아 김태엽 이사)이 발표됐다. 이어 통신3사의 2019년도 IoT 사업 추진 방향이 발표됐고, IITP 박병주 수석이 자율형 IoT 중장기 기술 개발 내용이 담긴 &lsq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