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중현 강남세브란스병원 연구팀, 척추 수술 회복 과정서 로봇 보조 보행 훈련 성과 발표해 일상생활 수행능력 38.6% 향상 효과 도출...기능적 보행지수, 수정 바델 지수 등 지표서도 효과 드러내 전 세계적으로 본격적인 로봇 시대가 열린 모양새다. 이에 의료계에서도 로봇 도입의 효용성을 입증하는 성과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박중현 강남세브란스병원 연구팀이 척추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로봇 기반 재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박 교수팀은 척추 수술 후 조기 재활 치료 방법 중 로봇보조보행훈련(Robot Assisted Gait Training, RAGT)을 방법론으로 채택하고 연구를 실시했다. 해당 연구는 지난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됐고, 32명의 환자와 물리치료사 5명이 실험을 전개했다. 환자는 로봇의 도움을 받아 보행 재활 훈련을 진행했다. RAGT는 수술 후 평균 약 18일이 경과된 환자를 표본으로 했다. 서기, 균형 잡기, 평지 보행, 계단 오르내리기 등 동작을 반복하는 형태로 설계됐다. 이 결과로 보행 능력 평가·분류 지표 ‘기능적 보행지수(Functional Ambulation Categries, FAC)’가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FA
CJ대한통운이 질병이나 분쟁, 기후변화 등으로 식량난이 악화된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식량원조협약에 참여하며 세계 식량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17일 전라북도 군산항 제5부두에서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하는 ‘FAC(식량원조협약) 쌀 10만톤 원조 출항 기념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세계식량계획 및 수원국 방글라데시 대사관 관계자, CJ대한통운 안재호 영업본부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World Food Programme)을 통해 식량위기국에 정부가 지원하는 쌀 10만 톤 중 첫 출항에 맞춰 준비됐다. 오늘 선적된 쌀 1만500톤은 방글라데시로 보내지며 나머지 8만5000톤의 쌀은 목포항, 울산항, 부산신항에서 6월 말까지 순차적으로 보내질 예정이다. CJ대한통운은 정부의 계획에 따라 국내 운송과 선적을 담당했다. CJ대한통운은 전국 정부관리양곡 창고 및 농협 창고에서 보관중인 쌀을 도정공장으로 운송했고, 도정된 쌀을 군산항, 목포항, 울산항, 부산신항 창고로 운송했다. 또한 수원국으로 출발하는 선박에 쌀을 선적했다. CJ대한통운은 정부양곡 운송,